|
암호화폐가 6월 3일 대선에서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열정을 반영한 투표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 문제의 핵심은 행정부에서 오랫동안 지연되어 온 현물 암호화폐 상장지수펀드(ETF)의 합법화입니다여당인 국민의힘과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주요 대선 후보들은 현물 거래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암호화폐의 현물 ETF 허용은 대세로 보입니다.
Legalization of spot ETFs takes center stage as key presidential campaign pledge
현물 ETF 합법화가 주요 대선공약으로 등장
By Lee Kyung-min 이경민 기자
Value context and insight. lkm@koreatimes.co.kr
가치 맥락과 통찰력. lkm@koreatimes.co.kr
Published May 15, 2025 4:04 pm KST
Korea Times
Cryptocurrencies are emerging as a central voting issue in the upcoming June 3 presidential election, reflecting investor enthusiasm for virtual assets, market watchers said Thursday.
암호화폐가 다가오는 6월 3일 대통령 선거에서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열정을 반영하여 중앙 투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고 시장 관계자들이 목요일 밝혔다.
Central to the issue is the legalization of spot cryptocurrency exchange-traded funds (ETFs), a long-stalled initiative under the previous administration due to concerns over speculation-dominated market volatility and subsequent declines in the soundness of crypto trading and custody service providers.
이 문제의 핵심은 투기가 지배하는 시장 변동성과 이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및 보관 서비스 제공업체의 건전성 저하에 대한 우려로 인해 이전 행정부에서 오랫동안 지연되어 온 현물 암호화폐 상장지수펀드(ETF)의 합법화이다.
If legalized, institutional and retail investors will be able to invest in the virtual assets using only brokerage accounts, without the time-consuming and cumbersome registration with the crypto exchanges.
합법화되면 기관 및 개인 투자자는 암호화폐 거래소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번거로운 등록 없이 중개 계좌만 사용하여 가상자산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Also expected are increased crypto holdings by pension funds and asset managers. Currently, Korean financial entities are not allowed to hold cryptocurrencies, meaning their ETF issuance is not possible.
연기금과 자산운용사의 암호화폐 보유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내 금융기관은 암호화폐 보유가 허용되지 않아 ETF 발행이 불가능하다.
Embracing spot ETFs
현물 ETF 수용하기
Leading presidential candidates of both the ruling People Power Party (PPP) and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Party of Korea (DPK) maintain that spot trading should be allowed.
여당인 국민의힘(PPP)과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DPK)의 주요 대선 후보들은 현물 거래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Candidate Lee Jun-seok of the minor conservative Reform Party is seeking to designate ETFs as a key national strategic asset.
소수 보수 개혁신당의 이준석 후보가 ETF를 주요 국가 전략 자산으로 지정하려고 한다.
DPK’s Lee Jae-myung has pledged to introduce spot ETFs to help the younger generation build wealth.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젊은 세대가 부를 쌓을 수 있도록 현물 ETF를 도입하겠다고 약속했다.
In a May 6 message on Facebook, Lee said young people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assets, aided by spot cryptocurrency ETFs.
5월 6일 페이스북에 올린 메시지에서 이 후보는 젊은이들이 현물 암호화폐 ETF의 도움을 받아 자산을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We will build an integrated market surveillance system. We will seek to lower trading fees on crypto exchanges," he said in the post.
"우리는 통합시장 감시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다. 암호화폐 거래소의 거래 수수료를 낮추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라고 그는 게시물에서 말했다.
PPP’s Kim Moon-soo rolled out a similar pledge.
국민의 힘의 김문수 후보도 비슷한 공약을 발표했다.
He said spot ETF legalization will be part of a key initiative to bolster middle-class wealth growth.
그는 현물 ETF 합법화가 중산층의 부의 성장을 강화하기 위한 핵심 이니셔티브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Kim said he planned to allow government entities to invest in cryptocurrencies and identify spot ETFs as an asset for portfolio diversification.
김 후보는 정부 기관이 암호화폐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현물 ETF를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한 자산으로 식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The main opposition launched a digital asset committee under the election task force during its policy meeting on Tuesday.
제1야당은 화요일 정책회의에서 선거 태스크포스 산하 디지털 자산 위원회를 출범시켰다.
The committee aims to draft a bill concerning stablecoins, non-fungible tokens (NFTs) and security token offerings (STOs).
위원회는 스테이블코인,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및 보안토큰 제공(STO)에 관한 법안 초안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imilarly, the PPP outlined seven crypto-related policies last month.
마찬가지로 지난달 국민의 힘은 7가지 암호화폐 관련 정책을 설명했다.
Included are legalizing spot ETFs and crypto trading for institutional entiti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여기에는 기관 및 금융 기관에 대한 현물 ETF 및 암호화폐 거래 합법화가 포함된다.
Also on the list are legislation for STOs, a policy framework for stablecoins and a tax system for digital assets.
또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정책 프레임워크인 STO 법안과 디지털 자산에 대한 세금 제도도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Meanwhile, Lee of the Reform Party said he would recognize bitcoin as a strategic national asset.
한편, 개혁당의 이 대표는 비트코인을 전략적 국가 자산으로 인정하겠다고 말했다.
Still, he said the proportion of bitcoin as the national asset should be limited. “The virtual assets should not account for too large a portion of the overall asset portfolio and should be held in forms such as ETFs,” he said during an interview on a YouTube program last month.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국가 자산으로서 비트코인의 비중을 제한해야 한다고 말했다.그 는 지난달 유튜브 프로그램 인터뷰에서 "가상 자산이 전체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너무 큰 비중을 차지해서는 안 되며 ETF와 같은 형태로 보유해야 한다"고 말했다.
Clearer regulations and definition of crypto needed
암호화폐에 대한 명확한 규정 및 정의 필요
Most pressing, according to Shin Yong-woo, an attorney at law firm Jipyong, is for the financial authorities to recognize bitcoin as a legitimate financial investment vehicle or a commonly traded commodity under the law governing capital markets.
법무법인 지평의 신용우 변호사에 따르면 가장 시급한 것은 금융 당국이 비트코인을 자본시장을 규제하는 법률에 따라 합법적인 금융 투자 수단 또는 일반적으로 거래되는 상품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The revision of the Capital Market Act will lay the groundwork for the recognition," he said.
"자본시장법 개정은 인정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라고 그는 말했다.
"Also needed are crypto exchanges to meet the current regulations on the price or indices for the digital coins as an underlying asset. The role of the exchanges will include listing and delisting, market monitoring, investor protection and overall oversight of fair trading practices,” he added.
"또한 디지털 코인을 기초 자산으로 하는 가격 또는 지수에 대한 현재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 암호화폐 거래소가 필요하다. 거래소의 역할에는 상장 및 상장 폐지, 시장 모니터링, 투자자 보호, 공정 거래 관행에 대한 전반적인 감독이 포함될 것이다."라고 그는 덧붙였다.
A clearer definition of cryptocurrencies and regulatory guidelines are critical for effective market functioning, in his view.
암호화폐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규제 지침은 효과적인 시장기능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그는 생각한다.
“Whether the financial regulators will conclude bitcoin qualifies as an underlying asset will determine the level of legal uncertainty.”
"금융 규제당국이 비트코인을 기초자산으로 간주할지 여부가 법적 불확실성 수준을 결정할 것이다."
Also needed are bitcoin custody and management service providers, he added.
또한 비트코인 보관 및 관리 서비스 제공업체도 필요하다고 그는 덧붙였다.
“The service providers will have to be able to incorporate technical and standards aspects of bitcoins into the context of regulatory framework."
"서비스 제공업체는 규제 프레임워크의 맥락에 비트코인의 기술적 및 표준적 측면을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The much-anticipated spot crypto ETF legalization will encounter major roadblocks without preparatory steps, he added.
많은 기대를 모았던 현물 암호화폐 ETF 합법화는 준비 단계 없이는 큰 장애물에 부딪힐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The ETFs can be introduced through discretionary legal interpretation by financial authorities, in his view.
그는 ETF가 금융 당국의 재량적 법률 해석을 통해 도입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However, clearer regulations are pivotal to reduce uncertainty, underpinned by a regulatory environment that fosters investor protection and market growth.
그러나 투자자 보호와 시장 성장을 촉진하는 규제 환경에 힘입어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보다 명확한 규제가 필수적이다.
“The success of spot bitcoin ETFs in the United States was promoted by institutional support, greater customer accessibility and strong market demand. Korea needs a similar overarching regulatory framework for brokerage, trading and custody services," he said.
"미국에서 현물 비트코인 ETF의 성공은 제도적 지원, 고객 접근성 향상, 강력한 시장 수요에 의해 촉진되었다. 한국도 중개, 거래 및 커스터디 서비스에 대해 유사한 전반적인 규제 프레임워크가 필요합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Spot ETFlegalization현물ETF합법화 #Presidentialelectionpledge대선공약 #Cryptocurrencyregulation암호화폐규제 #Institutionalinvestment기관투자 #Investorprotection투자자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