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마트, 올리브영, 쿠팡이 각각 슈퍼마켓, 뷰티제품, 이커머스분야의 선두자리를 굳건히 했습니다.
올해 1분기 쿠팡은 11조5천억원, 이마트는 4조6천억원, 올리브영은 1조2천억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전년동기대비 쿠팡 21%, 이마트 10.1%, 올리브영 14.4%의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이마트의 매출증가는 홈플러스의 재정난의 반사이익으로 보이며, 쿠팡의 증가세가 얼마나 클지 주목됩니다.
Emart, Olive Young, Coupang solidify market leadership in Q1
이마트, 올리브영, 쿠팡, 1분기 시장 리더십 강화
By Ko Dong-hwan
Covering the food & beverage industry, beauty, fashion, retail market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related people and entities worldwide
고동환 기자
식음료 산업, 뷰티, 패션, 소매 시장,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및 전 세계 관련 인사 및 단체를 대상으로 취재
Published May 19, 2025 8:00 am KST Updated May 19, 2025 1:46 pm KST
Korea Times
Loyal consumers, price competitiveness key factors
충성도 높은 소비자, 가격 경쟁력 핵심 요소
Top players in Korea's retail sector further solidified their market dominance in the first quarter, as more consumers opted to stay with familiar shopping platforms rather than explore new channels.
더 많은 소비자들이 새로운 채널을 개척하기보다는 익숙한 쇼핑 플랫폼에 머물기로 선택하면서, 한국 소매업계의 주요 업체들이 1분기에 시장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했다.
Emart dominated the superstore market, while Olive Young stood out in the beauty product sector and Coupang led the e-commerce space. Their strong market leadership reflects a broader trend of large companies securing more loyal customer bases through greater price competitiveness.
이마트는 슈퍼마켓 시장을 장악했고, 올리브영은 뷰티 제품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쿠팡은 이커머스 분야를 선도했다. 이들의 강력한 시장리더십은 가격경쟁력 강화를 통해 더 충성도 높은 고객층을 확보하는 대기업의 광범위한 추세를 반영한다.
Dominating the e-commerce sector in the first quarter was Coupang. The New York Stock Exchange-listed company posted 11.5 trillion won ($7.9 billion) in sales in the January-March period, achieving a 21 percent year-on-year jump to set a new high in its quarterly sales.
1분기 이커머스 부문을 지배한 기업은 쿠팡이었다.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쿠팡은 1~3월 매출 11조 5,000억 원(79억 달러)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하며 분기 매출 신기록을 세웠다.
According to data analysis by IGAWorks, consumer transaction volume on Coupang’s online shopping platforms during the period is estimated to have reached 9.3 trillion won. This accounts for 63.3 percent of the combined volume of the country’s top 10 e-commerce companies, up 6 percentage points from the previous year.
IGA웍스의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이 기간 쿠팡의 온라인 쇼핑 플랫폼 소비자 거래량은 9조 3,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국내 10대 이커머스 기업 전체 거래량의 63.3%로 전년 대비 6%포인트 증가한 수치이다.
Coupang stocks its own merchandise and runs a logistics network consisting of 200 local logistics centers, under 46 fulfillment centers and nine key logistics centers nationwide. The system allows the company to offer its Rocket Delivery service, which guarantees fast delivery.
쿠팡은 자체 상품을 입고 전국 46개 주문 처리 센터, 9개 핵심 물류 센터 산하 200개 지역 물류 센터로 구성된 물류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 빠른 배송을 보장하는 로켓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Naver, the country’s largest online portal, also posted record sales of 788 billion won in e-commerce during the same period, a 12 percent jump from the previous year. The company in March launched Naver Plus Store, a new online platform dedicated to online shopping. Unlike Coupang, it does not keep its own merchandise and does not run its own logistics infrastructure.
국내 최대 온라인 포털인 네이버도 같은 기간 동안 전년 대비 12% 증가한 7,880억 원의 전자상거래 매출을 기록했다. 지난 3월에는 온라인 쇼핑 전용 온라인 플랫폼인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를 출시했다. 쿠팡과 달리 자체 상품을 보관하지 않고 자체 물류 인프라를 운영하지 않는다.
While Coupang and Naver saw record-breaking sales, SSG.com saw sales decline in the market during the period, with 357 billion won, a 13.7 percent drop from the previous year. Gmarket sales declined 21 percent to 200 billion won, and 11ST dropped 30 percent to 114 billion won.
쿠팡과 네이버는 기록적인 매출을 기록한 반면, SSG.com 은 전년 대비 13.7% 감소한 3,570억 원으로 이 기간 동안 매출이 감소했다. G마켓 매출은 21% 감소한 2,000억 원, 11ST는 30% 감소한 1,140억 원을 기록했다.
Coupang’s market leadership is also reflected by its rate of consumers coming back. IGAWorks showed that while 83 percent of transactions at Coupang platforms in February were made by users who had shopped there before, the figures for SSG.com, Gmarket and 11st were all below 50.
쿠팡의 시장리더십은 소비자들의 재방문율에도 반영된다. IGA웍스에 따르면 2월 쿠팡 플랫폼 거래의 83%가 이전에 쿠팡에서 쇼핑한 적이 있는 사용자들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SSG.com , G마켓, 11위의 수치는 모두 50을 밑돌았다.
Coupang also topped with the average purchase amount per consumer among the industry players. In March, it was 99,000 won for Coupang. SSG.com was 98,000 won, Gmarket 40,000 won and 11ST 33,000 won.
쿠팡은 업계 종사자 중 소비자 1인당 평균 구매 금액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3월에는 쿠팡이 99,000원이었다. SSG.com 은 98,000원, G마켓은 40,000원, 11번가는 33,000원이었다.
Emart, the superstore market leader, has taken advantage of a financial setback for Homeplus, the second-largest company in the market, by attracting consumers who were concerned about Homeplus’ troubled cash flow and corporate rehabilitation process.
슈퍼마켓 시장의 선두주자인 이마트는 시장에서 두 번째로 큰 회사인 홈플러스의 재정적 어려움을 이용해 홈플러스의 자금 흐름과 기업회생과정을 우려하는 소비자들을 끌어들였다.
Emart posted 4.6 trillion won in sales during the period, a 10.1 percent jump from the previous year. Emart, a division under Shinsegae Group, also runs convenience store brand Emart24 and supermarket chain Emart Everyday. The company said its number of customers in the first quarter jumped two percent from the previous quarter.
이마트는 이 기간 동안 전년 대비 10.1% 증가한 4조 6,0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신세계그룹 산하 사업부인 이마트는 편의점 브랜드 이마트24와 슈퍼마켓 체인인 이마트 에브리데이도 운영하고 있다. 1분기 고객 수는 전 분기 대비 2% 증가했다고 밝혔다.
Lotte Mart, the No. 3 player in the market, saw its quarterly sales decline 3.4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to 1.2 trillion won.
시장점유율 3위인 롯데마트의 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3.4% 감소한 1조 2천억 원을 기록했다.
In the country’s health and beauty sector, CJ Olive Young posted 1.2 trillion won sales during the first quarter, up 14.4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and cemented its market dominance. According to IGAWorks, Olive Young’s total transaction volume during the period accounted for 67.4 percent of the entire sector.
국내 헬스앤뷰티 부문에서는 CJ올리브영이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한 1조 2,000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시장 지배력을 확고히 했다. IGA웍스에 따르면 이 기간 올리브영의 총 거래량은 전체 부문의 67.4%를 차지했다.
Popularity among tourists to Korea, as well as local consumers, largely contributed to the sales. The company, which curates and sells beauty products, has expanded its market globally, boosted by the reputation of its offerings being effective and affordable.
한국을 방문하는 관광객과 현지 소비자들의 인기가 매출에 크게 기여했다. 뷰티 제품을 큐레이션하고 판매하는 이 회사는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가격이라는 평판에 힘입어 전 세계로 시장을 확장했다.
Experts suggest the market leaders boast high consumer trust, a strong consumer base and financial strength, allowing them to maintain competitive pricing. These advantages, experts added, are likely to grow more significant as rising prices prompt more consumers to scale back their spending.
전문가들은 시장리더들이 높은 소비자 신뢰, 강력한 소비자기반, 재정적 강점을 자랑하여 경쟁력 있는 가격 책정을 유지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전문가들은 물가 상승으로 인해 더 많은 소비자들이 지출을 축소함에 따라 이러한 이점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MarketLeadership시장리더십 #PriceCompetitiveness가격경쟁력 #LoyalConsumers충성도높은소비자 #E-commerce이커머스 #TransactionVolume 거래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