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호텔 체인들이 면세사업부진으로 부유한 노년층을 대상으로 시니어 레지던스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이 고급 시니어 레지던스는 컨시어지 서비스, 하우스키핑, 식사, 건강 관리, 문화 및 여가 프로그램 등을 제공합니다.
노인주거산업은 주택공급이 노인인구의 3% 미만을 차지하여 상당한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고급호텔체인들은 이 새로운 비즈니스로 수익이 증가할 수 있을까요?
Korea's top hotel chains bet big on upscale retirement homes
한국 최고의 호텔체인들이 고급 양로원에 큰 베팅
By Lee Hae-rin 이혜린 기자
Lee Hae-rin is a City Desk reporter at The Korea Times, covering social issues, tourism and taekwondo. She is passionate about speaking up for the rights of minorities, including women, LGBTQ+,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nimals as well as discovering the latest makgeolli trend in town. Feel free to reach her at lhr@koreatimes.co.kr.
이혜린은 코리아 타임즈의 시티 데스크 기자로 사회 문제, 관광, 태권도 등을 취재하고 있. 그녀는 여성, 성소수자, 장애인, 동물 등 소수자의 권리를 대변하고 마을의 최신 막걸리 트렌드를 발견하는 데 열정을 쏟고 있다. 언제든지 lhr@koreatimes.co.kr 으로 연락 바란다.
Published May 21, 2025 8:01 am KST Updated May 21, 2025 5:00 pm KST
Korea Times
Demographic shift, duty-free shop slump push hotels to find new revenue sources
인구변화, 면세점 침체로 인해 호텔들이 새로운 수익원 추구
Major hotel chains in Korea are entering the senior residence market, targeting healthier and wealthier older adults, as the country becomes the world’s fastest-aging nation — marked by rising life expectancy and a sharp decline in birthrates.
한국의 주요 호텔 체인들은 기대 수명의 증가와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국가가 되면서 건강하고 부유한 노년층을 대상으로 시니어 레지던스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These high-end senior residences offer luxury services typically found in upscale hotels — such as five-star concierge services, housekeeping, meals, health care and cultural and leisure programs —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older adults who stay active in their communities and continue to enjoy consumption and leisure pursuits after retirement.
이 고급 시니어 레지던스는 고급 호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고급 서비스인 5성급 컨시어지 서비스, 하우스키핑, 식사, 건강 관리, 문화 및 여가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은퇴 후에도 지역사회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소비와 여가를 즐기는 노년층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계되었다.
Lotte Hotel launched its senior residence brand, Vitality and Liberty (VL), in 2022 and is currently developing properties in Seoul and Busan.
롯데호텔은 2022년 시니어 레지던스 브랜드인 바이탈리티 앤 리버티(VL)를 론칭하고 현재 서울과 부산에 부동산을 개발 중이다.
Drawing on the five-star hotel’s 50 years of experience, the residence offers 24-hour response services, cleaning and room management and driver-accompanied car rentals.
이 5성급 호텔의 50년 경력을 바탕으로, 이 레지던스는 24시간 대응 서비스, 청소 및 객실 관리, 운전자 동반 렌터카 서비스를 제공한다.
Additionally, 24-hour customized health care services are available through partnerships with Lotte Healthcare and the Bobath Memorial Hospital, part of the Lotte Medical Foundation in Seongnam, Gyeonggi Province.
또한,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롯데 메디컬 재단의 일부인 롯데 헬스케어 및 보바스 기념 병원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24시간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The properties have become popular among affluent older adults. VL Le West, set to open this October in Seoul’s Gangseo District, sold out all its contracts before its launch.
부유한 노년층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부동산입니다. 올 10월 서울 강서구에 오픈을 앞둔 브이엘 르 웨스트는 출시 전 모든 계약이 매진되었다.
Hotel Shilla, operated by Lee Boo-jin, daughter of the late former Samsung Group Chairman Lee Kun-hee, is also developing a senior residence project.
고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의 딸인 이부진 씨가 운영하는 호텔신라도 시니어 레지던스 프로젝트를 개발 중이다.
At its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last month, Hotel Shilla approved adding “comprehensive recreation business,” “condominium sales and operation business,” and “senior housing business” to its articles of association — a move viewed as preparation for attracting affluent senior customers.
지난달 주주총회에서 호텔신라는 부유한 시니어 고객 유치를 위한 준비로 '종합 레크리에이션 사업', '콘도미니엄 판매 및 운영 사업', '시니어 주택 사업'을 정관에 추가하는 것을 승인했다.
Shinsegae Group’s Chosun Hotel and Resort is also preparing to enter the senior residence market.
신세계 그룹의 조선호텔앤리조트도 시니어 레지던스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After announcing senior residence business as a key future focus during its 10th anniversary ceremony in 2023, the company established a senior residence service planning division last year. More recently, Shinsegae Property, the group’s real estate development subsidiary, formed a task force to handle the project.
2023년 창립 10주년 기념식에서 시니어 레지던스 사업을 미래 핵심 사업으로 발표한 데 이어 지난해 시니어 레지던스 서비스 기획 부서를 신설했다. 최근에는 그룹의 부동산 개발 자회사인 신세계프라퍼티가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Parnas Hotel, an affiliate of GS Group, said in its March business report that it aims to expand into the premium concierge lounge and senior residence markets as part of its growth strategy alongside new consigned management properties.
GS그룹 계열사인 파르나스 호텔은 3월 사업보고서에서 새로운 위탁 관리 부동산과 함께 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프리미엄 컨시어지 라운지 및 시니어 레지던스 시장으로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Daemyung Sono Group, Korea’s largest resort company and recent acquirer of domestic budget carrier T’way Air, has also ventured into the senior housing market.
국내 최대 리조트 기업이자 최근 국내 저가 항공사 티웨이항공을 인수한 대명소노그룹도 시니어 주택 시장에 진출했다.
The company, which has been running a task force focused on businesses serving the elderly, is developing a luxury senior community called “Sono Wave” in Gangnam, with plans to later expand into travel, health care and funeral services.
노인을 위한 사업에 중점을 둔 태스크포스를 운영해 온 이 회사는 강남에 '소노 웨이브'라는 럭셔리 시니어 커뮤니티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후 여행, 건강 관리, 장례 서비스로 확대할 계획이다.
This trend reflects Korea’s rapidly changing demographic.
이러한 추세는 급변하는 한국의 인구구조를 반영한다.
According to a report released last month by the Korea Rural Economic Research Institute, the elderly will make up more than 75 percent of the population in 22 regions across Korea by 2030. In other words, at least seven out of every 10 residents in those areas will be seniors.
지난달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전국 22개 지역에서 노인이 전체 인구의 75%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즉, 해당 지역 주민 10명 중 최소 7명이 노인이 될 것이라는 뜻이다.
The country’s elderly population surged from 7.2 percent in 2000 to 15.7 percent in 2020. Korea has officially become a super-aged society as over 20 percent of its population turned over 65 in December last year, and Statistics Korea estimates the figure will further increase to 40.1 percent by 2050.
한국의 고령 인구는 2000년 7.2%에서 2020년 15.7%로 급증했다. 한국은 지난해 12월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으로 고령화되면서 공식적으로 초고령 사회가 되었으며, 통계청은 2050년에는 40.1%로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These older adults have “witnessed the country’s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n more culturally open with a strong inclination towards consumption,” according to Kim Mun-sun, a senior researcher at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This contrasts with earlier seniors who primarily planned their postretirement lives around support from their children.”
김문선 한국무역협회 선임연구원에 따르면, 이들 노인들은 "한국의 급속한 경제 발전을 목격하고 소비 성향이 강해지면서 문화적으로 더 개방적으로 성장했다"고 한다. "이는 주로 자녀의 지원을 중심으로 은퇴 후 삶을 계획했던 이전 노인들과는 대조적이다."
According to KB Financial Group’s “2023 KB Golden Life Report,” many seniors prefer to remain in their current neighborhoods and stay connected to their communities. However, after learning about senior housing options, 60.7 percent of respondents said they would consider moving to a senior community.
KB금융그룹의 '2023 KB골든라이프 리포트'에 따르면 많은 시니어들이 현재 살고 있는 동네에 머물며 지역사회와 연결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니어 주거 옵션에 대해 알게 된 후 응답자의 60.7%가 시니어 커뮤니티로의 이주를 고려할 것이라고 답했다.
“Although there is a great desire to grow older in areas where they are familiar, if the supply of facilities and services suitable for many elderly people’s situation expands and their understanding increases, more people will become more willing to live in a senior residence,” the report said.
보고서는 "익숙한 지역에서 나이를 먹고 싶다는 욕구가 크지만, 많은 노인들의 상황에 맞는 시설과 서비스의 공급이 확대되고 이해도가 높아지면 더 많은 사람들이 노인 거주지에서 더 기꺼이 생활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This trend is also emerging as the hotel industry's traditional revenue driver — duty-free sales — faces a downturn, driven by a decline in large purchases by Chinese shoppers and a global economic slowdown.
이러한 추세는 중국 쇼핑객의 대량구매 감소와 글로벌 경기둔화로 인해 호텔 업계의 전통적인 수익 동력인 면세점 판매가 침체기에 직면함에 따라 나타나고 있다.
According to industry data, domestic duty-free store sales in January totaled 954.4 billion won — a 40 percent drop compared to the same month last year.
업계 데이터에 따르면, 1월 국내 면세점 매출은 총 9,544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40% 감소했다.
For The Shilla Seoul hotel, which relies on duty-free sales for around 70 percent of its revenues, the impact is significant. The hotel generated 3.94 trillion won ($3.79 billion) in sales last year, marking a 10.6 percent increase from 2023, but still posted operating losses exceeding 5.2 billion won.
매출의 약 70%를 면세점 매출에 의존하고 있는 신라서울 호텔의 경우 영향이 상당하다. 이 호텔은 지난해 3조 9,400억 원(37억 9,0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리며 2023년 대비 10.6% 증가했지만 여전히 52억 원을 넘는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Lotte Hotel also posted an operating loss of 45.6 billion won as of the end of last year due to sluggish sales at Lotte Duty Free.
롯데호텔도 롯데면세점 매출 부진으로 인해 작년 말 기준 456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The senior housing industry, meanwhile, is considered a blue ocean.
한편, 고령주택 산업은 블루오션으로 간주된다.
According to a report by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and Samil PwC Business Research, Korea’s silver industry market is projected to grow in size from 72 trillion won in 2020 to 168 trillion won by 2030.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삼일PwC 비즈니스 리서치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실버산업 시장규모는 2020년 72조 원에서 2030년까지 168조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Although the domestic senior residential industry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it holds significant growth potential, as current housing supply for that age group meets less than 3 percent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 report stated.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노인 주거산업은 아직 초기단계에 있지만, 현재 해당 연령대의 주택 공급이 노인인구의 3% 미만을 차지하고 있어 상당한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The report also highlighted opportunities for hotel chains to expand by developing residential complexes that integrate department stores, large supermarkets and convenience stores.
이 보고서는 또한 백화점, 대형 슈퍼마켓, 편의점을 통합한 주거 단지를 개발함으로써 호텔 체인이 확장될 수 있는 기회를 강조했다.
“Seniors with spending power prefer well-equipped residential environments with health care and infrastructure, regardless of cost," an industry official noted. "Luxury hotels, known for their premium services, are especially motivated to make luxury senior housing their next major projects.”
업계 관계자는 "소비력이 있는 시니어들은 비용에 상관없이 건강 관리와 인프라가 잘 갖춰진 주거 환경을 선호한다"며 "프리미엄 서비스로 유명한 럭셔리 호텔들은 특히 고급 시니어 주택을 다음 주요 사업으로 삼으려는 동기가 강하다"고 설명했다.
#Seniorresidencemarket시니어레지던스시장 #Demographicshift인구변화 #Luxuryservices고급서비스 #Duty-freeshopslump면세점침체 #Growthpotential성장잠재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