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 YouTube Premium 출시로 멜론, 지니 등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의 사용자 수가 급감했습니다.
지난달 유튜브 뮤직의 월간 활성사용자수는 약979만 명으로, 멜론의 601만 명에 비해 크게 증가했습니다.
구글코리아는 공정거래위원회(FTC)의 벌금을 피하기위해 광고와 음악이 없는 유튜브 프리미엄 라이트 멤버십을 도입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구글 코리아의 제안을 검토하기로 한 공정거래위원회의 결정은 미국과의 지속적인 무역 갈등에 휘말리는 것을 피하고 쉬운 길을 택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Will domestic music streaming services regain market share after YouTube's new subscription program?
유튜브의 새로운 구독프로그램 이후 국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가 시장 점유율을 회복할 수 있을까?
By Lee Gyu-lee 이규리 기자
Lee Gyu-lee is a business writer at The Korea Times, focusing primarily on IT & telecommunications,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KOTRA. Prior to this, she has covered a wide range of cultural news, from film, television and K-pop to lifestyle and fashion. gyulee@koreatimes.co.kr
이규리는 주로 IT 및 통신, 산업통상자원부, KOTRA 등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코리아 타임즈의 비즈니스 기자이다. 그 전에는 영화, 텔레비전, 케이팝부터 라이프스타일, 패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 뉴스를 취재했다.
Published May 23, 2025 4:15 pm KST Updated May 23, 2025 5:48 pm KST
Korea Times
With the Fair Trade Commission (FTC) set to opt against imposing fines and instead accept Google Korea’s proposal to roll out a YouTube Premium subscription option without YouTube Music, there are questions over whether struggling local music streaming platforms can reclaim their market share from the global tech giant.
공정거래위원회(FTC)가 벌금 부과를 거부하고 대신 유튜브 뮤직 없이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 옵션을 출시하겠다는 구글 코리아의 제안을 받아들일 예정인 가운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이 글로벌 기술 대기업으로부터 시장 점유율을 되찾을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The FTC said Thursday it initiated a resolution of agreement procedure to review Google Korea’s own proposal to address its practice of bundling YouTube Music with YouTube Premium.
공정거래위원회는 목요일에 유튜브 뮤직과 유튜브 프리미엄을 결합하는 관행을 해결하기 위한 구글 코리아의 자체 제안을 검토하기 위한 합의 절차 결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A resolution of agreement allows a company under investigation to propose its own corrective measures, and if accepted by the FTC, the case can be closed swiftly without fines or other sanctions.
합의 결의를 통해 조사 중인 회사가 자체 시정 조치를 제안할 수 있으며, 공정거래위원회가 이를 수락하면 벌금이나 기타 제재 없이 신속하게 사건을 종결할 수 있다.
Google Korea proposed introducing a YouTube Premium Lite membership, which allows ad-free video viewing only, unlike the original Premium plan that includes ad-free access to music and music videos, video downloads and background play.
구글 코리아는 음악과 뮤직비디오, 동영상 다운로드 및 배경 재생에 대한 광고 없는 접근성을 포함하는 기존 프리미엄 요금제와 달리 광고 없는 동영상 시청만 가능한 유튜브 프리미엄 라이트 멤버십을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The tech giant also included offering a total 30 billion won ($21.7 million) worth of fund to support Korea’s music industry, artists and creators.
이 거대 기술 기업은 또한 한국의 음악 산업, 아티스트 및 크리에이터를 지원하기 위해 총 300억 원(2,170만 달러) 상당의 기금을 제공했다.
If the proposal is accepted at an FTC commissioners' meeting, the investigation, which began in 2023, will be closed without any sanctions on Google Korea, despite competitors' lingering criticisms.
만약 이 제안이 공정거래위원회 위원회의에서 받아들여질 경우, 경쟁사들의 지속적인 비판에도 불구하고 2023년에 시작된 조사는 구글 코리아에 대한 제재 없이 마무리될 것이다.
Local stream service operators welcomed the decision, but not with open arms, as the self-corrective measure comes about seven years after the subscription's launch.
지역 스트림 서비스 운영자들은 이 결정을 환영했지만, 구독 출시 후 약 7년 만에 자체 시정조치가 취해졌기 때문에 두 팔 벌려 환영하지는 않았다.
When Google released the YouTube Premium subscription in 2018, bundling its music streaming service, YouTube Music quickly grew its share in the local music streaming market, leading the number of users of local services like Melon, FLO and Genie Music, to sharply decline.
2018년 구글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번들로 제공하는 YouTube Premium 구독을 출시했을 때, YouTube Music은 지역 음악 스트리밍 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높여 멜론, 플로, 지니 뮤직과 같은 지역 서비스의 사용자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According to mobile market research firm WiseApp Retail Goods, YouTube Music recorded about 9.79 million monthly active users last month, compared to the previously dominant player Melon, which was at 6.01 million. Genie Music saw 2.6 million monthly users, whereas FLO was at 1.76 million.
모바일 시장 조사 기관인 와이즈앱 리테일 굿즈에 따르면 지난달 유튜브 뮤직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는 약 979만 명으로, 이전에 지배적이었던 멜론의 601만 명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지니 뮤직의 월간 사용자 수는 260만 명인 반면, FLO는 176만 명이었다.
In 2021, YouTube Music only had about 4.03 million users, which was much lower than Melon's 6.89 million. However, as YouTube Premium subscribers surged, it quickly surpassed Melon, becoming Korea’s largest streaming service in just two years.
2021년 유튜브 뮤직의 사용자 수는 약 403만 명으로 멜론의 689만 명보다 훨씬 적었다. 하지만 유튜브 프리미엄 가입자가 급증하면서 단숨에 멜론을 제치고 단 2년 만에 국내 최대 스트리밍 서비스가 되었다.
Local streaming service operators are skeptical about Google Korea's self-corrective measure, questioning whether it can meaningfully alter the deadlock dynamics of the streaming market that has already shifted in Google’s favor.
현지 스트리밍 서비스 운영자들은 구글 코리아의 자체 시정조치에 대해 회의적이며, 이미 구글에게 유리하게 전환된 스트리밍 시장의 교착상태 역학을 의미 있게 변화시킬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It's fortunate that an opportunity has been created to correct the unfair environment, at least now, but honestly, it's just way too late," an official from a local streaming service told The Korea Times. "YouTube Music has already grown too much.”
현지 스트리밍 서비스 관계자는 코리아 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적어도 지금은 불공정한 환경을 바로잡을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이 다행이지만, 솔직히 너무 늦었을 뿐"이라며 "유튜브 뮤직은 이미 너무 많이 성장했다"고 말했다.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this had happened about two years ago. But this unfair competition has already been well-established, so there are disappointing aspects to this.”
"약 2년 전에 이런 일이 일어났더라면 더 좋았을 텐데. 하지만 이 불공정 경쟁은 이미 잘 정착되어 있어서 실망스러운 측면도 있다."
YouTube Premium Lite is an existing pricing option in countries such as the U.S., Canada, Thailand, Germany and Australia.
YouTube 프리미엄 라이트는 미국, 캐나다, 태국, 독일, 호주 등의 국가에서 기존 가격 옵션으로 제공된다.
The subscription’s price in Korea is not yet determined, but considering the prices in the available countries, it is expected to be around 7,000 to 9,000 won per month, as the Lite version in those countries is about 40 percent lower than YouTube Premium.
한국에서의 구독가격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이용 가능한 국가들의 가격을 고려할 때, 해당 국가들의 Lite 버전이 YouTube Premium보다 약 40% 저렴하기 때문에 월 7,000원에서 9,000원 정도일 것으로 예상된다.
With a YouTube Premium subscription still available for a few thousand more won than the Lite version, it is unlikely for consumers to opt out of their original subscription to shift to a different music streaming platform, especially with the Premium subscription also available through some mobile carriers' membership plans, including SK Telecom’s T Universe.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이 라이트 버전보다 몇 천 원 더 비싼 가격에 제공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원래 구독을 포기하고 다른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전환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특히 프리미엄 구독은 SK텔레콤의 T 유니버스를 포함한 일부 이동통신사의 멤버십 요금제를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In the subscription-based platform industry, recovering lost market dominance is nearly impossible, making it critical to maintain a leading position," another industry official said. "From that perspective, the latest measure is unlikely to yield significant practical results."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구독 기반 플랫폼 업계에서는 잃어버린 시장 지배력을 회복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이번 조치가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The FTC’s decision to review Google Korea’s proposal is also being criticized for taking an easy way out and avoiding becoming entangled in the ongoing trade conflict with the U.S.
구글 코리아의 제안을 검토하기로 한 공정거래위원회의 결정은 미국과의 지속적인 무역 갈등에 휘말리는 것을 피하고 쉬운 길을 택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As the U.S. Donald Trump administration has flagged regulations on the U.S. digital platforms as nontariff barriers, the decision is viewed as the Korean government prioritizing diplomatic caution to avoid upsetting the U.S. government amid its efforts to reach negotiations on the U.S. imposed “reciprocal” tariffs.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국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규제를 비관세 장벽으로 규정한 만큼, 이번 결정은 미국이 부과한 '상호' 관세 협상에 나서려는 노력 속에서 미국정부를 화나게 하지 않기 위해 외교적 신중을 우선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YouTubePremiumLite유튜브프리미엄라이트 #Marketshare시장점유율 #FairTradeCommission(FTC)공정거래위원회(FTC) #Localmusicstreamingservices국내 음악스트리밍서비스 #Self-correctivemeasure자체시정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