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과 환상의 여행
[안견(安堅)의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두루마리/비단에 담채, 38.7×106.0cm, 일본 천리대학 중앙도서관 소장 꿈 속에 보았던 황홀경의 세계가 눈앞에 다시 펼쳐 진다면, 그 황홀감을 말로 하겠는가?
안견이 그린 안평대군의 꿈 이야기는 500년이 지난 지금도 황홀하기만 하다. 지조와 절의의 상징 [김정희(金正喜)의 세한도(歲寒圖)] 두루마리/종이에 수묵, 23.7×108.2 cm, 개인 소장
갈필로 성글게 그려진 소나무와 잣나무,
그것은 빈틈과 미완성을 통해 보여지는 알참과 완성의 세계다. ‘아아 잣가지 높아 서리 모르시올 화반이여’ 멀리 신라의 충담이 읊었던 노랫가락이 천년 후에 다시 모습을 드러내는 듯 하다. 인간과 자연의 불가사의한 도(道) [신잠(申潛)의 탐매도(探梅圖)] 견본담채, 43.9×210.5 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잔설이 분분한 첫 봄에 몇 송이 피어난 매화,
세상의 어떤 예술가가 그 은은한 향기에 취하지 않으랴? 매화를 찾아 나선 선비는 결국 인간의 깨끗한 본성을 발견하고 탐매의 길을 마감하리라. 하지만 그 길에 끝이 있을까? 강호 자연의 동화 [이정(李楨)의 산수도(山水圖)] 화첩(畵帖) 12면 중 제 5엽(葉),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저 돛단배는 물 위에 뜬 것인가, 하늘을 나는 것인가? 아무런 작위도 없이 바람과 물결에 몸을 맡기니, 그 또한 신선이 아닌가! 우리도 그처럼 물 같은 하늘, 하늘 같은 물
고요와 적막에 흘러와 쌓이느니 시간 뿐이요, 다시 흘러가 사라지느니 그 또한 시간뿐이다. 붓을 들어 시간의 흐름을 그려낼 자, 그 누군가? 안견이 아니라면 아무도 없으리! 소요유의 풍류 [이불해(李不害)의 예장소요도(曳杖逍遙圖)] 견본담채, 18.8×13.3 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움직임이 없는 세계,그 두 손을 뒷짐을 지거나 소매 속에 감추거나, 지팡이를 끌고 가거나 한가로움에는 무엇이 다르랴? 지팡이를 끌면서 고개 돌려 뒤돌아보는 저 선비의 모습을 오늘날 다시 볼 수 있다면, 그 지극한 즐거움을 다시 본다. 이념화된 산수자연 [전(傳) 안견(安堅)의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제1첩산시청람(山市晴嵐) 제2첩연사모종(煙寺暮鐘) 제3첩소상야우(瀟湘夜雨) 제4첩원포귀범(遠蒲歸帆) 제5첩평사낙안(平沙落雁) 제6첩동정추월(洞庭秋月) 제7첩어촌석조(漁村夕照) 제8첩강천모설(江天暮雪)
위에 몸을 맡길 수 있다면!
한국인의 이상향
[정선(鄭敾)의 금강전도(金剛全圖)] 수묵담채, 130,6 X 94,1 호암미술관 소장 일만이천 개골산, 누가 있어 그 진면목을 그렸는가? 옥황상제가 내려다보며 암시라도 했을까?
천리를 멀다 않고 한 걸음에 달려가 보고 싶은 마음이 |
첫댓글 잘 감상하고 퍼 갑니다~~~감사합니다~~
자랑스런 작품을 보고 갑니다.
좋은 작품으로 눈 힐링 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