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명 淸明
청명에는 부지깽이를
꽂아도 싹이 난다
음력 3월에 드는
24절기의 다섯 번째 절기.
청명(淸明)이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을 지닌 말이다.
청명은 음력으로는 3월에,
양력으로는 4월 5~6일 무렵에 든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15도에 있을 때이다.
이날은 한식(寒食) 하루 전날
이거나 같은 날일 수 있으며,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에 있다.
중국에서는 청명 15일 동안을
5일씩 3후(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오동나무의
꽃이 피기 시작하고,
중후(中候)에는 들쥐 대신
종달새가 나타나며,
말후(末候)에는 무지개가
처음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청명조(淸明條)의 기록에 따르면,
이날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치며,
임금은 이 불을
정승과 판서를 비롯한 문무백관
그리고 3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준다.
이를
‘사화(賜火)’라 한다.
수령들은 한식날에 다시 이 불을
백성에게 나누어주는데,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
다고 해서 한식이라고 한다.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에서는 불을 나누어주는 일을
한식조(寒食條)에 기록하고,
청명에 대하여서는 언급이 없다.
청명과 한식은 흔히 같은 날이 되기
때문에 뒤섞이는 경우가 많아
오늘날 민간에서도 뚜렷한
구분 없이 전해지고 있다.
농사력으로는 청명 무렵에 논밭의
흙을 고르는 가래질을 시작하는데,
이것은 특히
논농사의 준비 작업이 된다.
청명이 되면
비로소 봄밭갈이를 한다.
청명은 농사력의 기준이 되는
24절기의 하나로 날씨와
관련된 속신이 많다.
청명이나 한식에 날씨가 좋으면
그 해 농사가 잘 되고
좋지 않으면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고 점친다.
바닷가에서는 청명과 한식에
날씨가 좋으면 어종이 많아져서
어획량이 증가한다고 하여
날씨가 좋기를 기대한다.
반면에 이날 바람이
불면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또 파도가
세게 치면 물고기가 흔하고,
날씨가 맑아도 물밑에서
파도가 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경남 사천에서는
청명날의 날씨가 좀 어두워야
그 해 농작물(農作物)에
풍년(豊年)이 들고,
너무 맑으면 농사(農事)에 시원치
않은 것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어떤 지역에서는
청명에 나무를 심는데,
특히 ‘내 나무’라 하여 아이가
혼인할 때 농을 만들어줄
재목감으로 나무를 심었다.
이날 성묘(省墓)를 가기도 한다.
제주도에서는 청명이나
한식은 지상에 있는 신들이
하늘로 올라간 날이어서
특별히 택일(擇日)을 하지 않고도
산소를 돌보거나 이장(移葬)을
해도 좋다고 믿는다.
또 이날은 손이 없기 때문에
묘자리 고치기, 비석 세우기,
집 고치기를 비롯해 아무
일이나 해도 좋다고 한다.
청명이란
말 그대로 날씨가 좋은 날이고,
날씨가 좋아야 봄에 막
시작하는 농사일이나
고기잡이 같은
생업 활동을 하기에도 수월하다.
곳에 따라서는 손 없는 날이라고
하여 특별히 택일을 하지 않고도
이날 산소를 돌보거나,
묘자리 고치기, 집수리 같은 일을 한다.
이러한 일들은 봄이 오기를
기다리면서
겨우내 미루어
두었던 것들이다.
춘분春分ㅡ24절기의 네 번째 절기ㅡ춘분(春分)은 경칩(驚蟄)과ㅡ
청명(淸明)의 중간에 드는ㅡ절기로 양력 3월 20일ㅡ전후 음력 2월 무렵에 든다ㅡ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r/1238?svc=cafeapp
춘분 春分 ㅡ 24절기의 네 번째 절기ㅡ 춘분(春分)은 경칩(驚蟄)과ㅡ 청명(淸明)의 중간에 드는ㅡ
춘분 春分 24절기의 네 번째 절기. 춘분(春分)은 경칩(驚蟄)과청명(淸明)의 중간에 드는 절기로 양력 3월 20일 전후, 음력 2월 무렵에 든다. 이날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
m.cafe.daum.net
24절기중세번째ㅡ절기 경칩 驚蟄ㅡ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ㅡ
기온은 날마다 상승하며 ㅡ마침내 봄으로 향하게 된다ㅡ우리나라 24절기 ㅡhttps://m.cafe.daum.net/dlaehddns.com/cGaJ/26?svc=cafeapp
24절기 중 세 번째ㅡ 절기 경칩 驚蟄ㅡ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ㅡ 기온은 날마다 상승
경칩 驚蟄 경칩 지난 게로군, 경칩이 되면 삼라만상(森羅萬象)이 겨울잠을 깬다 24절기 중 세 번째 절기(節氣). 계칩(啓蟄)이라고도 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345도에 이르는 때로동지 이후 74일
24절기ㅡ우수 雨水 ㅡ우수 뒤에 얼음같이ㅡ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 ㅡ1년을 24개로 구분한 ㅡ24절기 가운데 두 번째 절기ㅡ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r/1184?svc=cafeapp
24절기ㅡ 우수 雨水 ㅡ 우수 뒤에 얼음같이ㅡ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 ㅡ 1년을 24개로 구분한 2
우수 雨水 우수 뒤에 얼음같이, 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두 번째 절기. 봄에 들어선다는 입춘과 동면하던 개구리가 놀라서 깬다는 경칩 사이에 있는 24
오늘은낮과밤이같다는ㅡ춘분입니다ㅡ봄비와 함께 '춘분(春分)'이ㅡ찾아왔어요ㅡ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고ㅡ더위와 추위가 같아지는 춘분ㅡ
https://m.cafe.daum.net/rnqdmsekfl/U3OO/277?svc=cafeapp
오늘은 낮과 밤이 같다는 춘분 입니다ㅡ봄비와 함께 '춘분(春分)'이 찾아왔어요ㅡ낮과 밤의 길이
춘분(春分) 봄비 내리는 '춘분(春分)' 싱그러운 봄! 함께나눠요!봄비와 함께 '춘분(春分)'이 찾아왔어요^^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고 더위와 추위가 같아지는 춘분(春分)날! 본격적인 봄의 시
두번째절기우수ㅡ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오늘은 1년의 두번째 절기인ㅡ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우수 입니다ㅡ
https://m.cafe.daum.net/rnqdmsekfl/U3OO/269?svc=cafeapp
우수ㅡ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오늘은 1년의 두번째 절기인ㅡ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ㅡ우수
우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오늘은 1년의 두번째 절기인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우수 이기도 하지만설명절의 연휴가 끝나고마지막 꽃샘추위가심술 부리는 목요일 입니다명절연휴 동안 각
입춘대길立春大吉ㅡ이월에 물독 터진다ㅡ가게 기둥에 입춘이라ㅡ입춘 거꾸로 붙였나ㅡ입춘에 장독"오줌독" 깨진다ㅡ
입춘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r/1179?svc=cafeap
입춘대길 立春大吉ㅡ 이월에 물독 터진다ㅡ가게 기둥에 입춘이라ㅡ입춘 거꾸로 붙였나ㅡ입춘에
입춘대길 立春大吉이월에 물독 터진다, 가게 기둥에 입춘이라, 입춘 거꾸로 붙였나,입춘에 장독오줌독 깨진다, 입춘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입춘날 입춘시에 입춘축을 붙이면 “굿 한 번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