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6.16~19일까지 3박4일간 중국 장백산(우리나라 백두산) 여행을 하였다.
고교친구 3쌍 6명이 '23년 전반기 모임으로 백두산(白頭山) 여행을 가기로 결정했다. 백두산은 우리나라의 영산이지만 북녘땅에 위치하였기에 북한을 통해 들어갈 수 없으니 중국으로 들어가 그들이 말하는 장백산(長白山)을 보면서 백두산의 기운을 느낄 수 밖에 없는 현실이 가슴 아팠다.
백두산 천지에 오르는 코스는 동파 · 서파 · 남파 · 북파 등 4개 코스가 있다. 이 중 북한령에 있는 것은 동파코스 하나뿐이며, 중국령에 있는 것은 서파, 남파, 북파 등 3개의 코스가 있으나 이 중 위험한 코스인 남파를 제외한 서파와 북파코스를 개방하고 있다. 코스에서 말하는 '파'는 비탈을 의미한다고 한다.
이번 여행코스는 1일차에 인천공항 출발 - 연길공항 도착 - 도문 경유(북한과 중국 접경지대 두만강변 관광) - 이도백화로 이동(백두산 근접 도시) 투숙하고, 2일차에 서파코스로 장백산을 올라 천지 조망 및 37호 경계비 - 금강대협곡 관광을 하고, 3일차에 장백폭포 - 북파코스로 장백산을 올라 천지 조망 - 용정(일송정, 해란강, 용드레우물터) 경유 - 연길로 이동 투숙하고, 4일차는 귀국 일정만 잡혀 있었다.
1일차 연길공항 도착
연길공항
2008.6.23~25일까지 장백산(북파코스) 여행을 하였기에 만 15년만에 연길공항을 다시 찾았는데, 공항 내 · 외의 모습이 옛날 그대로 였고 변화된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연길공항 앞 광장에 '당신의 연길방문을 환영합니다'라는 인사글이 써진 조형물이 있다.
도문시 두만강변
연길공항에서 버스로 약 1시간 30분을 달려 도문시에 도착, 두만강변을 찾았다. 보기에도 강폭이 그렇게 넓지않은 두만강의 중간지대를 경계로 북한과 중국이 맞닿아 있다. 강 건너가 바로 북한이다. 위 사진의 두만강 건너편이 북한의 함경북도 온성군의 '남양'으로 남양역이 위치하고 있다.
북중 국경임을 표시하는 '87호 경계비'가 설치되어 있다.
2일차 백두산(중국 장백산) 서파코스 등정 천지 구경
숙박한 호텔에서 약 1시간 30분 이상을 달려 서파코스 입구 주차장에 도착하였다. 이곳에서 셔틀버스로 환승하여 실제 서파코스를 오르는 지점으로 또 이동하여야 했다.
서파코스 입구 주차장에 도착하여 1,442개의 계단길로 된 서파코스를 약 40분에 걸쳐 오르기 시작한다. 중국의 장백산여행 개방코스인 서파코스와 북파코스 중 천지 조망은 서파코스가 더 완전한 모습으로 보이기에 만족도가 높고 선호하는 코스이기도 하다. 등정길은 오르막길(나무 계단)과 내리막길(대리석 계단)로 구분되어 있었다.
나무계단을 타고 오르다가 인증샷을 남기고, 정상에 거의 도달하고 있다.
천지사진(좌로부터) - 1
천지사진 - 2
천지사진 - 3
천지사진 - 4
천지사진 - 5(사진 왼쪽으로 눈 언덕이 있어 조망에 제한이 있었다.)
백두산 천지
한반도에서 가장 높기로 유명한 백두산! 이곳은 1년 중 8개월이 눈으로 덮여 있다고 하여 '흰머리 산'이라는 의미로 '백두산'이란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백두산의 공식 높이는 2,744m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때 측정한 값이 2,744m이고, 중국측 발표는 2,749.6m이다. 현대적 기준에 따르면 오차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천지'는 화산 폭발 후 수축으로 생겨난 함몰 때문에 물이 고인 것이며, 이를 '칼데라 호수'라고 한다. 천지가 있는 곳은 해발 2,267m이며, 거대한 호수가 이렇게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는 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물다고 한다. 천지의 물은 땅에서 솟아 오른 물이 60%, 골짜기에서 흘러드는 물이 40% 비율이라고 한다.
6.17일 당일 날씨는 한국의 쾌청한 늦봄 날씨와 비슷한 정도였기에 반팔 차림으로 전혀 문제가 없었다. 다만, 정상에 올랐을 때 평소에 추위를 타는 사람이라면 봄철 바람막이 잠바 정도를 챙겨가시면 준비면에서 괜찮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서파코스 정상 전망대 일대에서
중국에서 2009년에 설치한 '37호 경계비'가 있다.(어제 두만강변에서 87호 경계비를 보았는데...)
서파코스 천지 구경을 마치고 하산하면서
계단길 아래 넓은 공간지역이 셔틀버스로 도착한 주차장과 방문자센터, 화장실이 있는 곳이다.
장백산 금강 대협곡
백두산 화산 폭발 당시(946년, 대분화) 용암이 흘러 내리면서 형성된 대협곡을 보면서 2일차 일정을 마무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