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주 목요일 조지아주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약 300명의 한국인 근로자가 구금됐습니다.
숙련된 미국 노동력 부족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인에게 취업비자를 발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의 63억 달러 규모 공장 계획은 무기한 연기되었습니다.
한국정부가 향후 어떻게 대처할 지 주목됩니다.
Raid casts shadow over Korean firms' US investments
급습단속으로 한국기업의 미국투자에 그림자
By Park Jae-hyuk 박재혁 기자
Published Sep 7, 2025 3:42 pm KST Updated Sep 7, 2025 5:54 pm KST
Korea Times
Korean companies circumvented visa rules amid skilled worker shortages in US
한국 기업들 미국의 숙련된 인력 부족 속에서 비자규정 회피
Concerns are mounting among Korean companies investing in the United States after nearly 300 Korean workers were detained Thursday at the construction site of HL-GA Battery's electric vehicle battery plant in Georgia, a joint venture between Hyundai Motor and LG Energy Solution (LGES).
미국에 투자하는 한국 기업들 사이에서는 목요일 현대 자동차와 LG 에너지 솔루션(LGES)이 합작한 HL-GA 배터리의 조지아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약 300명의 한국인 근로자가 구금된 후 우려가 커지고 있다.
Amid the Donald Trump administration’s ongoing refusal to grant work visas to Koreans despite a shortage of skilled U.S. labor, Korean firms are facing a dilemma over how to address stricter immigration crackdowns and the continued pressure to manufacture goods in the U.S. using American workers.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숙련된 미국 노동력 부족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에게 취업 비자를 발급하지 않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은 더 엄격한 이민 단속과 미국 노동자들을 이용한 미국 내 물품 제조 압박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딜레마에 직면해 있다.
According to industry officials, Sunday, most of the detained Korean workers entered the U.S. on B-1 visas for short-term business travel or through the Electronic System for Travel Authorization (ESTA) travel visa. Although Korean companies require the H-1B (foreign specialist) visa to send supervisors to their U.S. factory construction sites, only 85,000 specialty occupation visas are awarded worldwide each year, chosen by random lottery.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억류된 한국인 근로자 대부분은 단기 출장을 위해 B-1 비자를 받거나 전자여행허가시스템(ESTA) 여행 비자를 통해 미국에 입국했다. 한국 기업들은 미국 공장 건설 현장에 감독관을 파견하기 위해 H-1B(외국인 전문가) 비자를 요구하고 있지만, 매년 전 세계적으로 무작위 추첨을 통해 선정되는 특수직 취업 비자는 85,000건에 불과하다.
“It is unreasonable to ask companies to wait months for their employees to receive H-1B visas if there is an urgent need to send their workers to U.S. plant construction sites,” an official at a Korean company investing in the U.S. said on condition of anonymity.
익명을 요구한 한 한국 기업 관계자는 "미국 공장 건설 현장에 근로자를 파견할 긴급한 필요가 있다면 직원들이 H-1B 비자를 받을 때까지 몇 달을 기다리라고 요구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말했다.
Other U.S. free trade partners such as Canada, Mexico, Australia and Singapore have secured special H-1B quotas allowing them to send certain numbers of professionals each year. Korean businesspeople and politicians, however, have failed to persuade the U.S. to create an allotment of 15,000 E-4 highly skilled work visas for Korean nationals with specialized skills or expertise.
캐나다, 멕시코, 호주, 싱가포르와 같은 다른 미국 자유무역 파트너들은 매년 일정 수의 전문 인력을 파견할 수 있도록 특별 H-1B 쿼터를 확보했다. 그러나 한국 기업인들과 정치인들은 미국을 설득하여 전문 기술이나 전문 지식을 갖춘 한국 국민들을 위해 15,000개의 E-4 고도로 숙련된 취업 비자를 마련하는 데 실패했다.
Industry officials point out that strict U.S. visa rules have forced many Korean companies to circumvent immigration laws in recent years when sending supervisors and workers to assist with factory construction. In 2020, 13 Korean nationals were arrested at SK Battery America’s construction site after entering through ESTA.
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몇 년간 엄격한 미국 비자 규정으로 인해 많은 한국 기업들이 공장 건설을 돕기 위해 감독관과 근로자를 파견하면서 이민법을 우회해야 했다고 지적한다. 2020년에는 ESTA를 통해 입국한 한국인 13명이 SK 배터리 아메리카 건설 현장에서 체포되기도 했다.
Despite such concerns, U.S. politicians argue that foreign companies must comply with U.S. laws by hiring American workers.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치인들은 외국 기업들이 미국 근로자를 고용하여 미국 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If they don't want to do business with us because they have to do it legally, then we don't want them, and it is a privilege to do business in our country. So follow our laws, or we don't want you,” Tori Branum, who is known for reporting workers at the HL-GA Battery plant site, wrote on Facebook.
"합법적으로 비즈니스를 해야 하기 때문에 우리와 거래하고 싶지 않다면 우리는 그들을 원하지 않으며, 우리나라에서 비즈니스를 하는 것은 특권이다. 그러니 우리 법을 따르지 않으면 여러분을 원하지 않는다."라고 HL-GA 배터리 공장 현장의 근로자를 신고하는 것으로 유명한 토리 브라눔은 페이스북에 썼다.
Unsatisfactory skills and work ethic among U.S. workers have also been cited as reasons Korean companies rely on their own workforce.
미국 근로자들 사이에서 불만족스러운 기술과 근로 윤리도 한국 기업들이 자국의 인력에 의존하는 이유로 지적되고 있다.
“We have been hesitant to increase the production capacity of our U.S. plant due to its low yield rates,” said an official at another Korean company investing in the U.S. “It is difficult for us to keep investing in the factory with such a low yield rate.”
"미국에 투자하고 있는 또 다른 한국 기업의 한 관계자는 "우리는 낮은 수율 때문에 미국 공장의 생산 능력을 늘리는 것을 주저해 왔습니다,"라고 말했다. "이렇게 낮은 수율로는 공장에 계속 투자하기 어렵다."
Neither Hyundai Motor nor LGES has officially complained about the recent immigration crackdown, though their $6.3 billion factory plan has been indefinitely delayed with the decision to temporarily halt sending LGES workers to the U.S.
현대 자동차나 LGES는 최근 이민 단속에 대해 공식적으로 불만을 제기하지 않았지만, 63억 달러 규모의 공장 계획이 일시적으로 LGES 근로자의 미국파견을 중단하기로 결정하면서 무기한 연기되었다.
“The top priority at this moment is the immediate release of detainees," LGES Chief Human Resources Officer Kim Ki-soo said Sunday while on the way to Georgia to meet with U.S. officials and the detained workers. "As the government is making all-out efforts, I will do our best for them to quickly and safely return to Korea.”
김기수 LGES 최고 인사 책임자는 일요일 미국 관리들과 억류된 근로자들을 만나기 위해 조지아로 가는 길에 "현재 최우선 과제는 억류자들의 즉각적인 석방이다."라고 말했다. "정부가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그들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한국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Later in the day, presidential Chief of Staff Kang Hoon-sik said the government has concluded talks about their release, and they will return to Korea on a charter flight once the administrative process is completed.
이날 오후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정부가 석방에 대한 논의를 마무리했으며, 행정절차가 완료되면 전세기를 타고 한국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To prevent similar cases from recurring, the government will work with related ministries and companies to overhaul visa systems for employees dispatched to the U.S.," Kang said. "The government will take all practical measures for the swift release of detained nationals and the stable execution of the project (the construction.)"
강실장은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정부는 관계부처 및 기업과 협력해 미국에 파견된 직원들의 비자 제도를 정비할 것"이라며 "정부는 억류된 국민의 신속한 석방과 안정적인 사업 집행을 위해 모든 실질적인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Hyundai Motor’s U.S. subsidiary said in a statement Friday it remains committed to full compliance with all laws and regulations in every market where it operates.
현대 자동차의 미국 자회사는 금요일 성명에서 자사가 운영하는 모든 시장의 모든 법과 규정을 완전히 준수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Based on our current understanding, none of those detained is directly employed by Hyundai Motor," the company said. "Hyundai has zero tolerance for those who don’t follow the law."
"현재 이해에 따르면 구금된 사람들 중 현대자동차에 직접 고용된 사람은 없다."라고 회사는 말했다. "현대는 법을 따르지 않는 사람들에게 무관용이다."
To avoid tariffs and access subsidies, Korean companies have invested billions in U.S. plants for semiconductors, automobiles, batteries and steel. Under a $150 billion initiative to revive U.S. shipyards with Korean investment, shipbuilders are also seeking to construct vessels stateside.
관세를 피하고 보조금을 받기 위해 한국 기업들은 반도체, 자동차, 배터리, 철강을 위한 미국 공장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다. 한국의 투자로 미국 조선소를 되살리기 위한 1,500억 달러 규모의 이니셔티브에 따라 조선업체들도 미국 본토에 선박을 건설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If U.S. immigration crackdowns prompt these companies to delay or cancel investment plans, their U.S. partners could also suffer losses, missing out on job creation for American workers.
미국의 이민 단속으로 인해 이러한 기업들이 투자 계획을 연기하거나 취소하게 되면, 미국 파트너들도 미국 노동자들의 일자리 창출을 놓쳐 손실을 입을 수 있다.
#Raid급습단속 #Visarules비자규정 #Detainedworkers구금된근로자들 #Investmentdelay투자지연 #Immigrationcrackdown이민단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