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미국의 이민 단속으로 구금된 총 316명의 한국인 근로자들이 전세기를 타고 귀국길에 올랐습니다.
추방 대신 '자발적 출국' 형태로 한국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고 전해집니다.
조 외교부 장관은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의 회담에서 새로운 비자 카테고리 신설을 논의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우리나라와 미국이 동맹국인가를 의심하게하는 황당한 사건 이었습니다.
More than 310 Koreans released week after detention in US immigration raid
미국 이민 급습으로 구금된 지 일주일 만에 310명 이상의 한국인 석방
By Yonhap 연합
Published Sep 12, 2025 12:48 am KST Updated Sep 12, 2025 3:10 am KST
Korea Times
WASHINGTON — A total of 316 Korean workers who were detained in a recent U.S. immigration crackdown headed back home aboard a chartered plane Thursday, in a voluntary yet bitter departure amid renewed questions in Seoul over U.S. credibility as a reliable ally.
워싱턴 — 최근 미국의 이민 단속으로 구금된 총 316명의 한국인 근로자들이 목요일 전세기를 타고 서울에서 신뢰할 수 있는 동맹국으로서의 미국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다시 제기되는 가운데 자발적이면서도 씁쓸한 출발을 하며 귀국길에 올랐다.
The Korean Air plane carrying them and 14 non-Korean nationals took off from Hartsfield-Jackson Atlanta International Airport in Atlanta at noon, a week after their arrest in the raid at an electric vehicle battery plant construction site for a joint venture between Hyundai Motor Group and LG Energy Solution in Bryan County, Georgia.
이들과 14명의 비한국 국적자를 태운 대한항공 비행기는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에 있는 현대 자동차 그룹과 LG 에너지 솔루션의 합작 투자를 위한 전기 자동차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체포된 지 일주일 후인 정오에 애틀랜타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을 이륙했다.
The workers were released from a detention center in Folkston early in the morning, capping Seoul's strenuous push to end the unprecedented, unsettling detention of its nationals by its only treaty ally.
노동자들은 이른 아침 포크스턴의 구치소에서 석방되었으며, 이는 유일한 조약 동맹국인 한국 국민들에 대한 전례 없는 불안한 구금을 끝내기 위한 한국의 치열한 노력을 제한하는 것이었다.
One Korean national chose to remain in the U.S. and pursue legal action while in custody. He is reportedly seeking permanent residency and has family in the U.S., all of whom are green card holders.
한 한국 국적자는 구금된 상태에서 미국에 남아 법적 조치를 취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영주권을 신청 중이며 모두 영주권을 소지한 가족이 미국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Others decided to return to Korea in the form of "voluntary departure" rather than deportation. The plane carrying them is expected to arrive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est of Seoul, between 3 p.m. and 4 p.m. Friday (Seoul time).
다른 사람들은 추방 대신 '자발적 출국' 형태로 한국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 이들을 태운 비행기는 금요일 오후 3시부터 4시(서울 시간) 사이에 서울 서쪽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The workers' release came a day later than initially planned as U.S. President Donald Trump encouraged them to stay in the United States, Seoul officials said, given that his administration seeks greater cooperation with Korean companies to revitalize America's shipbuilding, semiconductor, automotive and other industries.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조선, 반도체, 자동차 및 기타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한국 기업들과 더 많은 협력을 모색하고 있는 가운데, 노동자들의 석방이 당초 계획보다 하루 늦게 이루어졌다고 서울 관계자들이 말했다.
"Many people have put much effort into enabling their safe return," Vice Foreign Minister Park Yoon-joo told Yonhap News Agency while he was preparing to board the chartered plane along with the workers.
박윤주 외교부 차관은 근로자들과 함께 전세기 탑승을 준비하던 중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많은 사람들이 안전한 귀환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말했다.
"I am thankful to the workers who have endured well ... I am very happy that they are able to return safely, and I am glad that things were settled well, as (we) had been worried much and thinking of their family members who had been waiting."
"잘 견뎌준 근로자들에게 감사합니다 ... 무사히 돌아올 수 있어서 매우 기쁘고, (우리가) 많이 걱정하고 기다려준 가족들을 생각하면서 일이 잘 해결되어 기쁩니다."
A total of 475 people, including the Koreans, were arrested at the EV battery site — seen as a key example of the two countries' economic collaboration — in what Immigration and Customs Enforcement (ICE) officials dubbed the "largest single site enforcement operation in the history of Homeland Security Investigations."
두 나라의 경제 협력의 주요 사례로 여겨지는 전기차 배터리 현장에서 한국인을 포함한 총 475명이 체포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이민세관단속국(ICE) 관계자들은 "국토안보수사 역사상 가장 큰 단일 현장 단속 작전"이라고 불렀다.
ICE said they were found to be working illegally in the U.S., including those on short-term or recreational visas that bar them from working. Most Korean workers are said to have been on B-1 temporary visitor visas or entered on the visa waiver program.
ICE는 이들이 미국에서 불법으로 일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여기에는 단기 또는 여가 비자를 소지한 사람들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대부분의 한국인 근로자들은 B-1 임시 방문 비자를 받거나 비자 면제 프로그램에 가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Led by Cho Ki-joong, consul general at the Korean Embassy in Washington, an onsite support team had provided consular assistance to the Koreans, while other senior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Foreign Minister Cho Hyun, launched all-out endeavors to secure their early release and safe repatriation.
워싱턴 주재 한국 대사관의 조기중 총영사가 이끄는 현장 지원팀은 한국인들에게 영사 지원을 제공했으며, 조현 외교부 장관을 비롯한 다른 고위 정부 관계자들은 조기 석방과 안전한 송환을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The workers as well as their employers were taken aback by the raid as it challenged their longstanding belief that America, their country's alliance partner, is among the most reliable destinations for investment and business collaboration.
미국의 동맹 파트너인 미국이 투자 및 비즈니스 협력을 위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대상 중 하나라는 오랜 믿음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근로자와 고용주들은 이번 공습에 깜짝 놀랐다.
The crackdown was feared to put a strain in bilateral ties as ICE video footage of the Koreans shackled with handcuffs and metal chains caused shock, fury, consternation and even a sense of betrayal in Korea, and raised questions over whether Korean enterprises can stably do business in the U.S.
이번 단속은 수갑과 쇠사슬로 족쇄를 채운 한국인들의 모습이 담긴 ICE 영상이 한국에서 충격, 분노, 공포, 심지어 배신감까지 불러일으키면서 양국 관계에 부담을 줄 것으로 우려되었으며, 한국 기업들이 미국에서 안정적으로 사업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This episode is yet another direct hit on overall U.S. credibility as a reliable and trusted partner or ally in Korea and beyond," Rob Rapson, former acting U.S. ambassador to Korea, told Yonhap News Agency via email.
롭 랩슨 전 주한 미국 대사 대행은 연합뉴스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은 한국과 그 밖의 지역에서 신뢰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 또는 동맹으로서 미국의 전반적인 신뢰도에 또 다른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The raid came just 10 days after President Lee Jae Myung and Trump sought to build personal rapport during their in-person summit at the White House following a framework trade deal in late July, under which Korea committed to investing $350 billion in the U.S.
이번 공습은 7월 말 한국이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한 기본 무역 협정에 따라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대면 정상회담을 통해 개인적인 친분을 쌓으려 한 지 불과 열흘 만에 이루어졌다.
Some observers said the detention of Korean workers could have a silver lining. It has brought to the fore the long-festering visa issue for Korean businesses struggling to find stable pathways to deploy their skilled workers to the U.S.
일부 관찰자들은 한국인 근로자의 구금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숙련된 근로자를 미국에 파견할 수 있는 안정적인 경로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한국 기업들의 비자 문제가 부각되었다.
During his talks with U.S. Secretary of State Marco Rubio, Foreign Minister Cho proposed instituting a working group to discuss the creation of a new visa category for Korean workers — a proposal that Rubio said he will "actively review," according to Seoul officials.
조 외교부 장관은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의 회담에서 한국 근로자를 위한 새로운 비자 카테고리 신설을 논의하기 위해 실무 그룹을 설립할 것을 제안했는데, 이 제안에 대해 루비오 장관은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고 한국 관계자들은 전했다.
Cho also secured assurances from the U.S. side that the Korean workers detained in the raid will not face any disadvantages, such as restrictions on their reentry into the U.S. The weeklong detention weighed heavily on the mind of the Korean president, who has declared the Korea-U.S. alliance as the very "foundation" of his administration's security and foreign policy.
조 장관은 또한 미국 측으로부터 이번 공습에 억류된 한국인 근로자들이 미국 재입국 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을 확보했다. 일주일간의 구금은 한미동맹을 행정부 안보와 외교 정책의 '기초'로 선언한 한국 대통령의 마음에 큰 부담을 주었다.
"I feel a great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president who has the ultimate responsibility for the safety of citizens," he said during a Cabinet meeting Tuesday.
그는 화요일 국무회의에서 "시민의 안전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을 지는 대통령으로서 큰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Critics have said the raid further exposed the contradictory aspect of Trump's policy that has leveraged tariffs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s, while employing a hard-line immigration policy stoking fears among foreign workers who are needed to drive those investment projects.
비평가들은 이번 공습이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관세를 활용한 트럼프 정책의 모순된 측면을 더욱 드러냈으며, 강경한 이민 정책을 채택해 이러한 투자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 필요한 외국인 근로자들의 두려움을 불러일으켰다고 말한다.
Apparently mindful of criticism about immigration crackdowns, Trump signaled his willingness Sunday to explore legal ways to help foreign companies investing in the U.S. bring their "smart" people with "great technical talent" into America to hire and train U.S. workers.
이민 단속에 대한 비판을 염두에 둔 듯 트럼프 대통령은 일요일 미국에 투자하는 외국 기업이 "훌륭한 기술 인재"를 보유한 '똑똑한' 인재를 미국으로 데려와 미국 근로자를 고용하고 훈련할 수 있도록 법적 방법을 모색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Immigrationraid이민단속 #Koreanworkers한국인근로자 #Voluntarydeparture자발적출국 #U.S.-Koreaalliance한미동맹 #Visaissue비자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