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지난 7월이후 3회 연속 2.5%로 동결했습니다.
주택 가격 상승과 원-달러 환율 변동성에 따른 예상된 조치였습니다.
담보대출 한도축소, 투기지역 지정 등 정부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코노미스트들은 한은이 2026년 1분기에 기준금리인하를 재개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BOK maintains rate for 3rd straight meeting amid rising Seoul home prices
한국은행, 서울 집값 상승 속 3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
By Lee Yeon-woo 이연우 기자
Published Oct 23, 2025 9:53 am KST Updated Oct 23, 2025 3:09 pm KST
Korea Times
The Bank of Korea (BOK) held its key interest rate steady at 2.5 percent on Thursday, in what was a widely expected move driven by rising house prices and volatility i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한국은행은 목요일 기준금리를 2.5%로 동결했다. 이는 주택 가격 상승과 원-달러 환율 변동성에 따른 것으로, 예상됐던 조치였다.
This marks the third consecutive time that the rate has remained frozen since July, even after the central bank signaled a shift toward rate cuts.
이는 한국은행이 금리인하를 시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7월 이후 3일 연속 기준금리가 동결된 것이다.
The BOK said it has decided to further monitor financial stability, particularly the impact of recent government measures on Seoul's overheated real estate market and rising household debt.
한국은행은 금융 안정성, 특히 최근 정부 조치가 과열된 서울 부동산 시장과 가계 부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면밀히 모니터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Of the six members on the Monetary Policy Board, only Shin Sung-hwan dissented, calling for a rate cut. He cited the persistent negative output gap —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and potential GDP — as a key risk to growth.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6명 중 신성환 위원만 반대하며 금리인하를 요구했다. 그는 지속적인 마이너스 산출갭(실제 GDP와 잠재 GDP의 차이)을 성장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지적했다.
Despite new government interventions — including a mortgage cap of 600 million ($416,724) won introduced on June 27 and a sweeping designation of all Seoul districts as speculative zones on Oct. 15 — house prices in the capital have remained elevated.
6월 27일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미화 41만 6,724달러)으로 제한하고 10월 15일 서울 전역을 투기지역으로 지정하는 등 정부의 새로운 개입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주택 가격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Apartment prices in Seoul rose 0.54 percent in the second week of October, nearly double the increase seen in late September, according to the Korea Real Estate Board.
한국부동산위원회에 따르면 10월 둘째 주 서울 아파트 가격은 0.54% 상승했는데, 이는 9월 말 상승률의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The risk of household debt appears to have eas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new policy," BOK Gov. Rhee Chang-yong said during a press conference. "But I don't expect the pace of price increases to ease anytime soon."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새로운 정책의 영향으로 가계 부채 위험이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가격 상승 속도가 조만간 완화될 것으로 예상하지는 않는다."
"Monetary policy should avoid stoking expectations of higher home prices," Rhee added.
이 총재는 "통화정책이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를 부추기는 것은 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Currency pressures have also returned. The won-dollar exchange rate surged back to the 1,430 range for the first time in five months. The won opened Thursday at 1,431.8 per dollar, down 2 won from the previous session.
환율 압력 또한 다시 나타났다. 원-달러 환율이 5개월 만에 처음으로 1,430원대로 급등했다. 원화는 목요일 달러당 1,431.8원으로 개장하며 전 거래일 대비 2원 하락했다.
Rhee said around three-quarters of recent foreign exchange volatility stems from regional and domestic factors, including weakness in the Chinese yuan and Japanese yen, as well as uncertainty surrounding U.S.–Korea tariff talks. The remaining quarter, he added, is driven by the strength of the U.S. dollar.
이 총재는 최근 환율 변동성의 약 4분의 3이 중국 위안화와 일본 엔화 약세, 미-한 관세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 등 국내 및 지역적 요인에서 기인한다고 밝혔다. 나머지 4분의 1은 미국 달러화 강세에 기인한다고 덧붙였다.
"The removal of these uncertainties in a positive way would likely support the currency’s stabilization," Rhee said.
이 총재는 "이러한 불확실성이 긍정적으로 해소되면 통화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The BOK said outcomes from upcoming U.S.–Korea and U.S.–China negotiations — expected to take place during next week's APEC summit — will be key to shaping Korea's growth outlook. In August, the central bank projected GDP growth of 0.9 percent this year and 1.6 percent in 2026.
한국은행은 다음 주 APEC 정상회의에서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미-한 및 미-중 협상 결과가 한국의 성장 전망을 형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지난 8월 올해 GDP 성장률을 0.9%, 2026년 1.6%로 전망했다.
"The BOK is expected to resume its rate cuts in the first quarter of 2026," said Kang Min-joo, senior economist at ING. "By that time, uncertainties related to U.S. tariffs may be resolved, the Federal Reserve may have implemented additional rate cuts, and the housing market may show signs of stabilization."
ING의 강민주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은행은 2026년 1분기에 금리 인하를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때쯤이면 미국의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연준이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했으며, 주택 시장도 안정 조짐을 보일 수 있다."
The Monetary Policy Board has one remaining meeting this year, scheduled for Nov. 27.
금융통화위원회는 올해 11월 27일로 예정된 한 차례 회의를 남겨두고 있다.
#Interest rate freeze – 기준금리 동결 #Seoul home prices – 서울 주택가격#Household debt – 가계부채 #Currency volatility – 환율 변동성 #Economic outlook – 경제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