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아시아 순방을 위해 미국을 떠나면서 북한을 "일종의 핵보유국"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요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한국을 방문할 예정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을 다시 만나고 싶다고, 어쩌면 올해 안에 만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과연 이번 주에 트럼프와 김정은의 만남이 이루어질까요?
Trump says North Korea is 'sort of a nuclear power'
트럼프,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규정
By AFP
Published Oct 25, 2025 4:17 pm KST Updated Oct 25, 2025 7:07 pm KST
Korea Times
U.S. President Donald Trump said Friday that North Korea was "sort of a nuclear power" as he left the United States for Asia on a trip that could include a meeting with Pyongyang's leader, Kim Jong-un.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금요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회담을 포함한 아시아 순방을 위해 미국을 떠나면서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규정했다고 밝혔다.
Asked aboard Air Force One whether he was open to North Korea's demand to be recognised as a nuclear state as a precondition for dialogue with Washington, Trump replied: "Well, I think they are sort of a nuclear power.
에어포스 원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워싱턴과의 대화 전제 조건으로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해 달라는 요구에 응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음, 나는 북한이 일종의 핵보유국이라고 생각한다.”
"When you say they have to be recognized as a nuclear power, well, they got a lot of nuclear weapons, I'll say that."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해야 한다고 했는데, 사실 핵무기를 많이 가지고 있다고 말하겠다."라고 답했다.
Trump is expected in South Korea, Wednesday, for the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Leaders Meeting.
트럼프 대통령은 수요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U.S. media have previously reported officials from his administration have privately discussed setting up a meeting between Trump and North Korean leader Kim, with whom he last held talks in 2019.
미국 언론은 이전에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이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회담 개최를 비공개적으로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2019년 이후 마지막으로 회담을 가졌다.
Trump has said he hopes to meet Kim again — possibly this year.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을 다시 만나고 싶다고, 어쩌면 올해 안에 만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Kim said last month he had "fond memories" of Trump and was open to talks if the United States dropped its "delusional" demand that Pyongyang give up its nuclear weapons.
김 위원장은 지난달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좋은 기억"이 있으며, 미국이 북한의 핵무기 포기라는 "망상적인" 요구를 철회한다면 회담에 응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On Friday, South Korean Unification Minister Chung Dong-young said he believed there was a "considerable" chance that Trump would meet Kim during his visit to the peninsula next week.
금요일,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주 한반도 방문 기간 동안 김정은 위원장을 만날 "상당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But a senior U.S. official, speaking on condition of anonymity, told reporters in a call Friday that a meeting "is not on the schedule for this trip."
하지만 익명을 요구한 미국 고위 관계자는 금요일 기자들에게 전화 통화에서 "이번 방문 일정에는 없다"고 말했다.
While no official announcements of the duo's meeting have been made, South Korea and the United Nations Command halted tours of the Joint Security Area (JSA) from late October to early November.
두 사람의 만남에 대한 공식 발표는 없었지만, 한국과 유엔사는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공동경비구역(JSA) 견학을 중단했다.
Kim and Trump last met in 2019 at Panmunjom in the JSA in the Demilitarized Zone (DMZ) separating the two Koreas — the only place where soldiers from both sides face each other on a regular basis.
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2019년 판문점에서 마지막으로 만났다. JSA는 남북한 군인들이 정기적으로 마주하는 유일한 장소이다.
Minister Chung said North Koreans have been spotted "sprucing up" areas near the JSA for the first time this year — cleaning, pulling weeds, tidying flower beds, and taking photos.
정 장관은 북한 주민들이 올해 처음으로 JSA 인근 지역을 "정비"하는 모습이 목격되었다고 밝혔다. 청소, 잡초 제거, 화단 정리, 사진 촬영 등이 그 예이다.
Kim met Trump three times for high-profile summits during the U.S. leader's first term.
김정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동안 고위급 정상회담을 위해 세 차례 트럼프 대통령과 만났다.
The duo's last and impromptu meeting at Panmunjom was hastily arranged after Trump extended an invitation to Kim on Twitter a day prior.
판문점에서 두 사람의 마지막 즉흥적인 만남은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트위터를 통해 김정은 위원장에게 초청장을 보낸 후 급하게 마련된 자리였다.
That event saw the two leaders shake hands over the concrete slabs dividing North and South before Trump walked a few paces into Pyongyang's territory — becoming the first U.S. president ever to set foot on North Korean soil.
이 행사에서 두 정상은 남북을 가르는 콘크리트 블록 위에서 악수를 나눈 후 트럼프 대통령이 평양 영토로 몇 걸음 들어가 북한 땅을 밟은 최초의 미국 대통령이 되었다.
But talks eventually collapsed over just how much of its nuclear arsenal the North was willing to give up and what Pyongyang would get in return.
하지만 북한이 얼마나 많은 핵무기를 포기할 의향이 있는지, 그리고 평양이 무엇을 얻을 것인지를 놓고 회담은 결국 결렬되었다.
Since then, North Korea has repeatedly declared itself an "irreversible" nuclear state.
그 이후 북한은 스스로를 "돌이킬 수 없는" 핵 국가라고 거듭 선언해 왔다.
#Nuclear power 핵보유국 #Kim Jong-un 김정은 #APEC Leaders Meeting APEC 정상회의 #Joint Security Area (JSA) 공동경비구역 #Denuclearization talks 비핵화 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