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는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펀드를 둘러싼 한미 관세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져 있습니다.
미국은 전액 선지급을 주장하고, 한국 정부는 상당 부분은 대출과 보증의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로 인해 원화는 미국 달러 대비 하락하여 지난주 달러당 1,440원으로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아번 주 트럼프의 방한을 계기로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될 수 있을까요?
Korean economy at crossroads as tariff talks remain stalled ahead of Trump’s visit
트럼프 방문을 앞두고 관세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진 한국 경제
By Lee Kyung-min 이경민 기자
Published Oct 26, 2025 4:27 pm KST Updated Oct 26, 2025 5:25 pm KST
Korea Times
The Korean economy is bracing for financial market volatility amid stalled tariff negotiations between Korea and the U.S. over a $350 billion investment fund.
한국 경제는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펀드를 둘러싼 한국과 미국 간의 관세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금융 시장 변동성에 대비하고 있다.
While the two sides sought to finish up the negotiations before U.S. President Donald Trump’s visit to Korea later this week during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events, the likelihood of a deal being reached during his summit with President Lee Jae Myung appears slim.
한국 경제는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펀드를 둘러싼 한국과 미국 간의 관세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금융 시장 변동성에 대비하고 있다.
The U.S. demand for a $350 billion investment from Korea was part of a July agreement that saw the two countries set the U.S. blanket tariff on Korean goods at 15 percent, down from 25 percent. The U.S. insists the full amount be paid up front, while the Korean government argues that doing so would trigger a massive dollar outflow, and that a significant portion should instead come in the form of loans and guarantees.
미국의 한국에 대한 3,500억 달러 투자 요구는 양국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포괄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춘 7월 합의의 일환이었다. 미국은 전액 선지급을 주장하는 반면, 한국 정부는 대규모 달러 유출을 유발할 수 있으며, 상당 부분은 대출과 보증의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uncertainty has since led the Korean currency to depreciate against the U.S. dollar, hitting a six-month low of 1,440 won per dollar last week.
이러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한국 통화는 미국 달러 대비 가치가 하락하여 지난주 달러당 1,440원으로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After returning from meetings with U.S. officials on Friday, presidential chief of staff for policy Kim Yong-beom told reporters that the two countries remain sharply divided over key issues.
금요일 미국 관리들과의 회의를 마치고 돌아온 김용범 대통령 정책실장은 기자들에게 두 나라가 주요 쟁점에 대해 여전히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Similarly, Minister of Trade, Industry and Resources Kim Jung-kwan said the two countries are deeply divided over the amount of cash investment, even though the U.S. showed a considerable understanding about the potential impact of the U.S. demand on Korea’s foreign exchange market.
마찬가지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국의 수요가 한국 외환시장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해 상당한 이해를 보여줬음에도 불구하고 양국이 현금 투자 규모에 대해 깊이 의견이 분분하다고 말했다.
On Friday (local time), Trump said the July deal with Korea was “pretty close to being finalized,” and added that "if they [Korea] have it ready, I'm ready."
금요일(현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의 7월 협상이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그들이 (한국이) 준비했다면 나는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According to government sources, Deputy Prime Minister and Finance Minister Koo Yun-cheol maintained that Korea can realistically source only up to $20 billion a year.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한국이 현실적으로 연간 최대 200억 달러만 조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However, Trump is expected to demand up-front cash investment as a way to strengthen his flagship “America First” agenda, framing it as a win for U.S. manufacturing and investment.
그러나 트럼프는 자신의 대표적인 '미국 우선주의' 의제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불 현금 투자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미국 제조업과 투자의 승리로 간주된다.
For Korea, the U.S. demand could cause further financial market volatility and uncertainty for manufacturing exports.
한국에게 미국의 수요는 제조업 수출에 추가적인 금융 시장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초래할 수 있다.
The won has slumped more than 2 percent against the dollar this month, hitting its weakest level in six months. The won weakening to the 1,440 won range was the first time it had done so since April, meaning the won has remained one of the worst-performing currencies in October.
원화는 이번 달 달러 대비 2% 이상 하락하며 6개월 만에 가장 약한 수준을 기록했다. 원화가 1,440원대로 약세를 보인 것은 4월 이후 처음으로 10월에도 최악의 실적을 기록한 통화 중 하나이다.
The won’s depreciation was second only to Japan’s yen, which dipped more than 3.2 percent on expectations of expansionary fiscal policy under new Prime Minister Sanae Takaichi.
원화 가치 하락은 일본 엔화에 이어 두 번째로 컸으며, 이는 새 총리 사나에 타카이치의 확장적 재정 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3.2% 이상 하락했다.
As for manufacturing exports, the steel industry has taken a major blow, with exports to the U.S. already dropping 26 percent year-on-year as of July. The chipmaking industry is also unnerved by Trump’s threat of a 100 percent semiconductor tariff.
제조업 수출은 이미 7월 기준 대미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26% 감소하는 등 철강 산업이 큰 타격을 입었다. 칩 제조 업계도 트럼프의 100% 반도체 관세 위협에 불안해하고 있다.
While many say the 100 percent semiconductor tariff is unlikely to pass amid ongoing U.S. artificial intelligence investment needs, few are willing to rule out further surprises.
많은 사람들이 미국의 지속적인 인공지능 투자 수요로 인해 100% 반도체 관세가 통과될 가능성은 낮다고 말하지만, 추가적인 놀라움을 배제하려는 사람은 거의 없다.
“Nothing is certain until the deal is inked and put in writing,” an industry watcher said.
업계 관계자는 "거래가 체결되고 서면으로 작성되기 전까지는 확실한 것은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The two countries are likely to remain divided over specifics of the U.S. investment fund demand. Further weakening of the won also remains a concern, since even a partial payout would cause an investment outflow. Such outflows could heighten foreign exchange market volatility.”
"두 나라는 미국 투자 펀드 수요의 세부 사항에 대해 여전히 의견이 분분할 것으로 보입니다. 부분적인 지급조차도 투자 유출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원화의 추가 약세도 우려된다. 이러한 유출은 외환 시장 변동성을 높일 수 있다."
#관세협상 tariff negotiations #투자펀드 investment fund #미국우선주의 America First #원화약세 won depreciation #제조업 수출 manufacturing exp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