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 주 한 잔
“죽은 후
천추만세까지 이름이
전해지는 것 보다는
살아생전에 탁주 한잔만 못하다”
(死後千秋萬歲之名
不如生時濁酒一杯)는 말이 있다.
사후의 세계보다 살아생전이 더 소중하다는 뜻이다.
고려의 대문호 이규보(李奎報)가
아들과 조카에게 준 시
(示子姪)를 보면 노인의 애틋한소망이 그려져 있다.
죽은 후
자손들이 철따라 무덤을 찾아와 절을 한들
죽은 자에게 그것이 무슨 소용이 있으며,
세월이 흘러 백여 년이 지나 가묘(家廟, 祠堂)에서도 멀어지면
어느 후손이 찾아와 성묘하고돌볼 것이냐고 반문했다.
찾아오는 후손 하나 없고 무덤이 황폐화되어 초목이 무성하니
산 짐승들의 놀이터가 되어 곰이 와서 울고
무덤 뒤에는 외뿔소가 울부짖고 있을 것이 자명하다고 했다.
산에는 고금의 무덤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지만
넋이 있는 지 없는 지
누구도 알 수 없다고
탄식하여 사후세계를 연연하지 않았다.
이어서 자식들에게 바라는 소망을 다음과 같이 그렸다.
“조용히
앉아서 혼자 생각해 보니
(靜坐自思量)
살아생전
한 잔 술로 목을 축이는 것만
못하네(不若生前一杯濡)
내가 아들과 조카들에게 말하노니
(我口爲向子姪噵)
이 늙은이가 너희를 괴롭힐 날 얼마나
되겠는가
(吾老何嘗溷汝久)
꼭 고기 안주 놓으려 말고
(不必繫鮮爲)
술상이나 부지런히 차려다 주렴
(但可勤置酒)”
조용히 생각해 보니 사후의 일보다
살아 있을 때의 삶이
더욱 소중함을 깨닫고
자손들에게 한잔 술로
목이나 축이게 부지런히 술상을
차려주는 것이 효도라고 했다.
자신은 이제 서산에 지는 태양과
같은 신세인지라
자손들을 괴롭힐 날이
얼마나 되겠느냐면서,
힘들게 고기 안주 장만하려 하지 말고
나물 안주와 탁주라도 좋으니
날마다
술상을 차려 달라고
쓸쓸하게 속마음을 털어놓았다.
만년의 이규보가 간절하게 바란 것은
쌀밥에 고기반찬의 진수성찬도 아니요
부귀공명도아니며
불로장생도 아니다
이 시는 다만 자식들이"살아생전에 목이나 축이게
술상이나 부지런히
차려다 주는 것뿐이다
고려시대 대문호 이규보(李奎報)가
아들과 조카에게 준 시(詩)를 보면
노인의
애틋한 소망이 그려져 있다
효란?
사후에 가묘를 몇 번을 찾아도
세월이 가면 동물 놀이터로
변하건대 살아생전
탁주 한 잔이 효가 되리라.~~
모정(母情)ㅡ어버이 은혜ㅡ진자리 마른자리 갈아 뉘시며ㅡ손발이 다 닳도록 고생하시네ㅡ하늘아래 그 무엇이 넓다 하리요ㅡ
어머님의 희생은 가이없어라ㅡ 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r/1280?svc=cafeapp
모정 (母情) ㅡ 어버이 은혜ㅡ 진자리 마른자리 갈아 뉘시며ㅡ손발이 다 닳도록 고생하시네ㅡ 하
[모정(母情)]펠리컨(Pelican)이라는 새(鳥)는 새끼들에게 줄 먹이가 없으면 자신의 가슴살을 뜯어 먹입니다.병에 걸려 죽어가는 새끼에게는 자신의 핏줄을 터뜨려 그 피를 입에 넣어줍니다.어미
m.cafe.daum.net
자식은ㅡ노후보험이 아니다ㅡ서양인들이 ㅡ그토록 부러워하던ㅡ우리나라의 미풍양속인 ㅡ효(孝)가 사라지고 있다.ㅡ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r/1271?svc=cafeapp
자식은ㅡ노후보험이 아니다ㅡ 서양인들이 ㅡ그토록 부러워하던ㅡ 우리나라의 미풍양속인 ㅡ 효
자식은노후보험이 아니다서양인들이 그토록 부러워하던우리나라의 미풍양속인 효(孝)가 사라지고 있다.이 오래된 전통문화가꺼져가는 화롯불 지경이 되어말 그대로 풍전등화의 위기다.젊은
스님과여인의ㅡ러브스토리 ㅡ한 여인의 억센 사랑의 집념으로ㅡ
10년 수도승의 ㅡ마음을 움직인 ‘흔들바위ㅡ오늘도 여수 금오산 향일암ㅡ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r/1319?svc=cafeapp
스님과 여인의 ㅡ러브스토리 ㅡ 한 여인의 억센 사랑의 집념으로ㅡ 10년 수도승의 ㅡ마음을 움직
스님과 여인의 러브스토리.여수에서 배를 타고 1시간 쯤 가면 돌산도란 섬이 나온다.지금은 차로 바로 앞까지 갈수있지만 당시엔 배로만 갈수있는 섬이었다.이 섬에 있는 금오산 중턱 바위절벽
옛날이야기ㅡ충청도설화ㅡ여인의 효성에 감동받아 놓은 농다리 ㅡ천년 세월을 지내온 농다리ㅡ여인의 효성에 감동받아 ㅡ임연이 놓은 농다리ㅡhttps://m.cafe.daum.net/wkwl/YC3N/11?svc=cafeapp
옛날 이야기ㅡ충청도설화ㅡ여인의 효성에 감동받아 놓은 농다리 ㅡ천년 세월을 지내온 농다리
충청도설화여인의 효성에 감동받아 놓은 농다리고려 고종 때의 무신 임연은 매일 아침 세금천이라는 냇가에서 세수를 하였다. 어느 추운 겨울날 세금천에서 세수를 하다 냇가를 건너려는 한 여
그때그시절에ㅡ그렇게 그많던 여인들은다ㅡ어디갔을까ㅡ그 때 그 시절에ㅡ재취 심하게는 삼취 자리에 ㅡ몸만 오던 처녀들의 마음은 ㅡhttps://m.cafe.daum.net/dlaehddns.com/b5cr/395?svc=cafeapp
그때 그시절에ㅡ그렇게 그많던 여인들은다 어디갔을까ㅡ 그 때 그 시절에ㅡ 재취 심하게는 ㅡ삼
그 때 그 시절에 그렇게...그 많던 여인들은 다 어디 있을까?그 때 그 시절...하나의 기억이 선명하게남아있다. 국민학교 6학년 정도 되었을 때였다. 같은 시장 골목 쌀집 딸이었던 동무가,쉬는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