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안루갈다제와 함께하는 사형제도 폐지 기원 음악회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 사형제도폐지소위원회(위원장 김선태 주교, 이하 사폐소위)는 ‘2025 사형제도 폐지 기원 음악회 - 평화를 말하다, 생명을 노래하다’를 10월 11일(토) 오후 4시 전주교구 치명자산성지 평화의 전당 섬이 정원에서 개최하였다.
올해 사형제도 폐지 기원 음악회는 세계 사형폐지의 날(10월 10일)을 기념하는 동시에, 전주교구가 매년 순교자들을 현양하기 위해 진행하는 ‘요안루갈다제’와 함께하는 행사로 마련되었다. 하느님께서 주신 생명을 지키고 참된 평화를 희망하며 살았던 순교자들의 정신을 이어받아, 생명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죽음의 문화이자 평화의 실현을 가로막는 사형제도 폐지를 염원하는 뜻에서 기획되었다.
음악회는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 사폐소위 위원인 하성용 신부와 정민하 신부, 전주교구 총대리 김창신 신부, 사무처장 길성환 신부 등 사제들과 평신도사도직단체협의회 임원 등이 내빈으로 참석하였다. 가수 양지은, 테너 존노, 메조소프라노 변지현, 첼리스트 홍진호, 빈예서, 김광진(공연 순) 씨가 출연하여 흥을 돋우는 가요와 잔잔한 울림을 전하는 클래식으로 무대를 풍성하게 꾸몄다. 출연진들은 공연 사이사이에, 김빛나 진행자(cpbc 라디오 2시N뮤직 김빛나입니다 진행)와 생명과 평화 그리고 순교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며 관객들과 소통하였다.
음악회에서는 치명자산성지 관장 김영수 신부와 사폐소위 김덕진 위원(천주교인권위원회 상임활동가)의 특별 대담도 진행되었다. 김덕진 위원은 대담에서 예수님과 한국의 많은 순교 성인들도 사형제도의 희생자였음을 상기시키며, 생명을 앗아가는 잔혹한 형벌인 사형제도의 부당성을 지적하였다. 또한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이 사형제도 폐지를 지속적으로 촉구해 왔고, 유엔(UN)도 전 세계적 사형제도 폐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였다.
요안루갈다제는 전주교구에서 신유박해(1801년) 200주년을 기념하며 2001년부터 시작하였다. 축제 명칭은 복자 유중철 요한과 복자 이순이 루갈다 동정부부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김 위원은 “2001년에 시작된 요안루갈다제와 마찬가지로, 사폐소위도 2001년에 공식적으로 주교회의의 소위원회로 설립되어 25년 동안 한국 사회의 사형폐지를 위한 운동을 이어오고 있다.”라며 “사형제도 폐지를 위해 힘을 모으고 목소리를 내는 일은 생명을 존중하고 이웃을 기억하신 그리스도의 정신을 따라 사는 우리의 책임과 의무”라고 강조하였다.
김영수 신부는 예수님과 순교자들이 끝까지 지켜내고자 한 것은 ‘인간 생명’ 특히 하느님께서 주신 ‘영적인 생명’임을 강조하며, “생명은 그 소중한 가치와 의미를 함께 공유하고 나눌 때 비로소 지켜질 수 있다.”라고 말하였다. 이어 “순교의 다른 말은 ‘순애’이다. 사랑하기 때문에 고통을 견디고, 희생을 기꺼이 감내하는 것이 오늘날의 우리가 이뤄낼 수 있는 순교의 길이자 순교의 영성”이라며 현대의 순교자적 삶을 설명하였다.
김 신부는 또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생명은 작은 일에서부터 서로에게 힘과 위로가 되어주는 사랑의 길을 통해 지켜지며, 이 생명이 온전히 보호될 때 평화가 이루어진다.”라고 역설하였다. 끝으로 “사반세기를 맞은 요안루갈다제가 순교자들의 정신으로 생명을 지켜내고 평화를 이루어내는 신앙 문화 축제이자 영적 플랫폼으로 발전하기를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음악회에 앞서 열린 제25회 요안루갈다제의 행사는 순교자 현양 장엄 미사, 유항검 나눔 비빔밥 행사, 평신도 사도직 단체 나눔 터로 이어졌다.
섬이 정원에서 거행된 순교자 현양 장엄 미사는 총대리 김창신 신부가 주례하고 교구 사제단이 공동 집전하였다. 미사 강론에서 김창신 신부는 “이번 요안루갈다제는 신앙 선조들이 보여 주신 생명 존중과 평화의 정신을 기리고 사형제도 폐지를 향한 사회적 공감대를 넓히기 위해 사폐소위와 공동으로 준비하여 더 의미 있고 풍요로운 제전이 되었다.”라고 인사하였다. 김 신부는 “순교는 하루아침에 일어나는 게 아닌 일상 속 신앙을 통해 얻는 은총이고, 어떠한 선행보다도 하느님을 향한 애덕을 가장 크게 나타내기에 모든 덕 중에 가장 위대한 덕”이라며 “아버지의 뜻이 이루어지길 믿고 바라는 일상을 살아갈 때 우리 역시 백색순교, 녹색순교의 영광을 맞이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요안루갈다 광장에서는 유항검 나눔 비빔밥 행사가 펼쳐졌다. 비빔밥 행사에는 총대리 김창신 신부, 4지구장 여혁구 신부, 5지구장 김기곤 신부, 평단협 유광용 회장,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우범기 전주시장 등이 참여하였다. 유항검 나눔 비빔밥은 복자 유항검의 나눔과 자선의 정신을 기리는 뜻에서 만들어졌다. 교구 신자가 직접 농사지은 쌀 200kg를 나누었고, 우전본당 공동체에서 비빔밥 재료를 준비하여 완성한 비빔밥을 요안루갈다제에 함께한 신자 및 지역 주민과 함께 나누었다.
부대 행사로 평신도 사도직 단체 나눔 터가 마련되었다.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회, 지속적인 성체조배회, 여성연합회 등 전주교구 소속 평신도 사도직 단체들이 홍보 활동을 하고 특산물 판매 부스 등을 운영하였다. 문서 선교를 위한 수도회 홍보 부스도 마련되었으며, 전주교구 청년들의 생활 성가 공연도 펼쳐졌다. 사폐소위도 홍보 부스를 설치하고, 사형제도에 관한 다양한 쟁점과 질문을 다룬 자료를 소개하며, 요안루갈다제 참가자들이 사형제도 폐지를 향한 교회의 입장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다.
사형제도 폐지 기원 음악회 녹화 영상은 10월 말~11월 초에 cpbc가톨릭평화방송에서 볼 수 있다.
[내용출처 - 한국천주교주교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