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체 성혈 -빵, 밥, 하늘 그리고 사랑
오늘은 성체 성혈 대축일입니다. 예수님께서 “나는 생명의 빵이다.”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있는 빵이다.”라고 하십니다. 언뜻 알아듣기 쉽지 않은 말씀입니다. 조금씩 풀어 볼까요? 빵은 우리말로는 곧 밥이겠지요. 김지하 시인은 “밥은 하늘이다”라고 했지요. 하늘을 누구나 공유하듯이 밥은 서로 나누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그렇게 말했지요.
예수님께서 “나는 생명의 빵이다”라고 할 때 “나는 당신들에게 생명을 주기 위해 나 자신을 온전히 내어줍니다. 서로 나누어 드십시오.”라는 의미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와 온전히 한 몸이 되기 위해 당신 자신을 밥으로 내어주시는 것이지요. 어떻게 우리가 그분과 한 몸이 될 수 있는가? 바로 그분을 밥으로 먹을 때, 즉 우리 안에 모실 때입니다. 어떻게 그분을 우리 안에 모셔서 우리가 온전히 그분과 하나가 될 수 있는가?
그분의 본질과 만남으로서 가능하지요. 그분의 본질은 바로 사랑입니다. 따라서 사랑으로 가능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사랑하셨습니다. 얼마나 사랑하셨는가? 죽기까지. “나는 생명의 빵이니 나를 먹어라.”라는 말은 다름 아닌 우리를 사랑하기 때문에, 당신 생명을 내어준다는 말이고, 쉽게 말하면, 우리를 사랑하시기 때문에 죽으시겠다는 말씀이지요. 우리의 영원한 생명, 곧 구원을 위해 당신의 생명을 내어놓으시겠다는 말씀이지요.
오늘 복음인 요한 복음서에서 유대인들이 따집니다. “이 사람이 어떻게 자기의 살을 우리에게 먹으라고 내어 줄 수 있단 말인가?” 그들은 못 알아듣습니다. 알아들을 귀가 없습니다. 만약에 예수님의 눈을 들여다보았더라면, 그분이 지니신 사랑을 알아볼 수 있었더라면, 그 말씀을 알아들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
우리는 어떻습니까? 우리도 마음을 열고, 귀를 기울이고 알아들으려고 하지 않는다면, 똑같은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습니다. 예수님께서는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사람은 영원히 살 것이다.”라고 말씀하십니다. 그 말씀은 바로 “나와 온전히 함께 나누는 사람”이라는 의미이지요.
당신이 나눈 것이 무엇입니까? 바로 사랑이지요. 따라서 ‘사랑을 나누는 사람’이라는 말이지요. 그렇다면, 사랑하는 사람, 진정한 의미에서 사랑을 하는 사람은 영원한 삶을 누리게 된다는 말씀이네요. 그런 사람은 그분과 하나가 됩니다. 얼마나 깊이 하나가 되어 일치를 이루는가? 그런 사람은 “내 안에 살고 나도 그 안에 산다. 고 하셨습니다.
사랑이 무엇인가? 저는 사랑은 본질적으로 두 가지 선물을 나누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첫째는 바로 자기 자신을 선물로 나누는 것입니다. 다른 모든 선물, 예를 들어, 꽃, 반지, 옷, 생일 카드 등은 사랑의 상징적인 표현일 뿐이지요. 진정한 선물은 언제나 ‘나 자신’입니다. 나를 있는 그대로 나누는 것, 나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 그것이 바로 사랑의 본질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 자신을 나누고, 당신 자신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 싶으셨습니다. 당신이 바로 하느님 아버지께서 보내신 분, 바로 하느님의 아들, 구세주이시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으셨습니다. 그래서 자꾸 당신이 누구냐고 물으시기도 하고. 당신 자신이 당신은 누구시라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당신이 ‘생명의 빵’,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있는 빵’이라고 말씀하십니다. 당신이 구세주라는 말씀을 ‘살아있는 빵’이라고 표현하신 것이지요. 예수님께서는 그렇게 밖에 표현하실 수 없으셨습니다. 왜냐하면, 당시의 사람들은 구세주라고 하면, ‘영광의 왕, 모든 압제자들을 정복하여 이스라엘을 영광스럽게 만들어 줄 정복자나 왕’으로 생각하였거든요. 그러나 예수님은 그런 구세주가 아니시지요. 오히려, 당신 자신을 내어주실 분, 우리를 사랑하시기 때문에 당신의 생명을 내어주실 분, 그렇게 하여 우리를 죄에서 구원하실 분이었으니 ‘생명의 빵’이라고 말씀하실 수밖에 없으셨지요.
사랑의 두 번째 본질적인 선물은 다른 사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주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의 가치를 있는 그대로 알아보고 존중해 주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참으로 그렇게 하신 분이십니다. 당시 사람들에게 멸시받던 사람들에게 가까이 다가 가셔서 있는 그대로 받아주시고, 참으로 그들이 필요한 것을 주신 분이십니다.
당시 병자들은 죄인 취급받았지요. 병을 죄의 결과로 보았으니까요. 그러나 예수께서는 “아니야. 그것이 아니야.”라고 하시면서 병자들의 손을 잡아 주셨습니다. 예를 들어, 가장 큰 죄인으로 소외당하던 세리 자케오에게 “어서 내려오너라. 내가 오늘 너의 집에 머물러야겠다.” 말씀하시고, 향유를 바르던 여인의 마음을 어루만져 주셨지요.
따라서 우리는 ‘빵을 먹는 사람’의 의미를 바르게 알아들어야 합니다. 바로 사랑을 나누는 사람입니다. 그래야 ‘성체성사’의 의미를 바르게 알아듣게 되지요. ‘성체성사’는 바로 사랑의 성사입니다. “너희는 나를 기억하여 이를 행하여라.”라고 말씀하신 것은 단순히 예식으로서 예수님을 기념하기 위해서 성체를 모시라는 것이 아닙니다. 바로 당신을 모심으로써 당신과 하나가 되어 당신이 행하신 사랑의 행위, 사랑의 삶을 살라는 말씀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도 그분처럼 우리를 빵으로, 밥으로, 하늘로, 바로 사랑으로 내어주어야 할 것입니다. 오늘 이것을 생각하며 묵상합니다.
첫댓글 성체성사는 바로 사랑의 성사입니다. 신비의 성사입니다.
성체성사는 “우리와 함께 계시는 늘 우리 곁에 하느님”이십니다.
예수님께서는 성체를 통하여 당신이 사랑하는 우리들 가까이에 있기로 하신 것입니다. 아멘.
거룩하신 성체성혈 대축일 미사후,
저는 맛있게 밥을 지어 친한 지인들과 나누어 먹었습니다.
사랑으로 나누었습니다.
류신부님의 강론을 새기면서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