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제 제목
"죄에 대하여 1"
1. 서론
무엇이 죄인가?
하라는 것 하지 않고 하지 말라는 것
하는 것이 죄다. (罪)
정전(正典)
제2 교의편(敎義編)
제4장 삼학(三學)
제3절 작업취사(作業取捨)
1. 작업 취사의 요지
작업(作業)이라 함은 무슨 일에나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
육근(六根)을 작용함을 이름이요,
취사(取捨라 함은 정의는 취하고
불의는 버림을 이름이니라. (福)
2. 본론
♧ 죄업의 종류
하라는 것(福)
정전(正典)
제3 수행편(修行編)
제12장 솔성요론(率性要論)
1. 사람만 믿지 말고 그 법을
믿을 것이요,
2. 열 사람의 법을 응하여 제일
좋은 법으로 믿을 것이요,
3. 사생(四生) 중 사람이 된
이상에는 배우기를 좋아할 것이요,
4. 지식 있는 사람이 지식이 있다
함으로써 그 배움을 놓지 말 것이요,
5. 주색 낭유(酒色浪遊)하지 말고
그 시간에 진리를 연구할 것이요,
6. 한 편에 착(着)하지 아니할
것이요,
7. 모든 사물을 접응할 때에 공경심을
놓지 말고, 탐한 욕심이 나거든 사자와 같이
무서워할 것이요,
8. 일일 시시(日日時時)로 자기가
자기를 가르칠 것이요,
9. 무슨 일이든지 잘못된 일이 있고 보면 남을
원망하지 말고 자기를 살필 것이요,
10. 다른 사람의 그릇된 일을
견문하여 자기의 그름은 깨칠지언정
그 그름을 드러내지 말 것이요,
11. 다른 사람의 잘된 일을 견문하여
세상에다 포양(布揚)하며 그 잘된 일을
잊어버리지 말 것이요,
12. 정당한 일이거든 내 일을
생각하여 남의 세정을 알아줄 것이요,
13. 정당한 일이거든 아무리 하기
싫어도 죽기로써 할 것이요,
14. 부당한 일이거든 아무리 하고
싶어도 죽기로써 아니할 것이요,
15. 다른 사람의 원 없는 데에는
무슨 일이든지 권하지 말고 자기
할 일만 할 것이요,
16. 어떠한 원을 발하여 그 원을
이루고자 하거든 보고 듣는 대로
원하는 데에 대조하여 연마할
것이니라.
하지 말라는 것(罪)
정전(正典)
제3 수행편(修行編)제11장 계문
(戒文)
1. 보통급(普通級) 십계문
1. 연고 없이 살생을 말며,
2. 도둑질을 말며,
3. 간음(姦淫)을 말며,
4. 연고 없이 술을 마시지 말며,
5. 잡기(雜技)를 말며,
6. 악한 말을 말며,
7. 연고 없이 쟁투(爭鬪)를 말며,
8. 공금(公金)을 범하여 쓰지 말며,
9. 연고 없이 심교간(心交間) 금전을
여수(與受)하지 말며,
10. 연고 없이 담배를 피우지 말라.
2. 특신급(特信級) 십계문
1. 공중사(公衆事)를 단독히
처리하지 말며,
2. 다른 사람의 과실(過失)을
말하지 말며,
3. 금은 보패 구하는 데 정신을
뺏기지 말며,
4. 의복을 빛나게 꾸미지 말며,
5. 정당하지 못한 벗을 좇아 놀지
말며,
6. 두 사람이 아울러 말하지 말며,
7. 신용 없지 말며,
8. 비단 같이 꾸미는 말을 하지 말며,
9. 연고 없이 때 아닌 때 잠자지 말며,
10. 예(禮) 아닌 노래 부르고 춤추는
자리에 좇아 놀지 말라.
3. 법마 상전급(法魔相戰級) 십계문
1. 아만심(我慢心)을 내지 말며,
2. 두 아내를 거느리지 말며,
3. 연고 없이 사육(四肉)을 먹지
말며,
4. 나태(懶怠)하지 말며,
5. 한 입으로 두 말 하지 말며,
6. 망녕(妄靈)된 말을 하지 말며,
7. 시기심(猜忌心)을 내지 말며,
8. 탐심(貪心)을 내지 말며,
9. 진심(嗔心)을 내지 말며,
10. 치심(痴心)을 내지 말라.
3. 결론
솔성요론 16조와 30계문은
꼭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의
대표적인 것이다.
경전 전체가 하라는 것과
하지 말라는 것으로 되어 있다.
꼭 하라는 것 해서 복(福)을 받되
하지 말라는 것 해서 죄(罪)는 받지
말자.
첫댓글 맑은 날씨를 보이는 수요일날 오전시간에 컴잎에서
좋은글을 읽으면서 머물다 갑니다 오늘의 날씨는 맑은 날씨와 건조주의 발생을 한다고 합니다.
봄으로 가는 환절기 날씨에 독감 감기에 조심을 하시고 오늘도 사랑과 행복이 가득한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3월 10일 종교연합 사무실에서 원불교 패널로 발표할 내용
초안입니다. 잘 다듬고 연마해서 좋은 발표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