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현지시간)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집무실인 오벌 오피스 도착해 책상 위에 수북하게 쌓인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첫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이날 서명된 행정명령에는 2021년 미 의회 습격사건 연루자 1500명 사면, 파리기후변화협약 탈퇴를 비롯해 전임자인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실행한 인플레이션 감축법 등 78개 행정명령을 전격 폐지하는 내용이 담겼다. <EPA 연합뉴스>
1.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에 직접 출석했습니다.
현직 대통령이 탄핵심판 변론에 출석한 건 헌정사상 처음입니다.
윤 대통령은 계엄 당일 국회의원을 끌어내리라고 지시했다는 의혹과, 비상입법기구 쪽지를 전달한 의혹을 전면 부인했습니다.
부정선거 확인에 대해서도 “음모론이 아닌 팩트 확인 차원”이라고 반박했습니다.
2. 지난달 서울 신축 분양권 거래 건수가 41건으로 전달 대비 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양도 소득세를 전부 매수자가 부담하는 방식으로 바뀌면서 거래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됩니다.
◇'얼죽신'은 옛말…분양권 거래량 '뚝'
◇불황에 입주권 시장도 주춤
◇고금리에 양도세 규제 겹쳐
◇지난달 거래량 2000건대로 줄어
◇신축 매매시장도 양극화 심해져
◇동작·강북에선 신축도 '마피'
◇"선호 단지는 향후 더 오를 수도"
3. 세계적인 경영 자문 회사 PwC의 모하메드 칸데 회장이 20일 세계경제포럼이 열린 스위스 다보스에서 매일경제와 만나 “트럼프 정부 출범이 한국 기업에 충분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미 미국에 상당한 제조 생산 기반을 갖춘 한국에게는 오히려 트럼프 취임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4. 현지시간 2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공식 취임하며 “미국의 황금기가 이제 시작된다”고 밝혔습니다.
취임 첫날 그는 바이든 정부의 행정명령 78건을 취소하고, 파리 기후협약에서 탈퇴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관세 부과를 실행에 옮기겠다는 의지와 정부 관료주의 개혁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 전기차 의무 철회·모든 무역협정 전면 재검토…'MAGA' 몰아쳤다
■트럼프 2기 출범
◇경제 - 취임 첫날에만 78개 행정명령 폐지
◇군중 앞에서 '무더기 행정명령 쇼'
◇FTA 등 기존 무역협정 재검토
◇틱톡 지분 절반 미국에 안주면...對中 관세 100% 매길 수 있어
◇에너지로 돈 벌어 제조 강국으로
◇EU가 美석유 사야 무역적자 줄어
◇불공정한 IRA보조금 즉각 중단
■ 관세·방위비 독한 청구서 날아온다 … 유럽 '초긴장'
◇전세계 덮친 트럼프 스톰
◇나토 방위비 인상 압박 커지고
◇머스크 공격에 각국정상 몸살
◇극우 득세로 EU 단합력 약화
◇우크라 무기지원 축소우려에..."美와 협력하고파" 밀착 의지
◇영국은 신규 FTA 체결 혈안
5. 취임 첫날 "보편관세 준비 안돼"…환율 한달 만에 1430원대로 뚝
원·달러 환율이 한 달 만에 1430원대로 하락(원화 가치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첫날 관세를 부과하지 않으면서 달러가 약세 흐름을 보였다.
◇관세 폭탄 예상보다 덜 급진적
◇"하반기 1300원대 하락" 전망도
6. 부실 상장사 퇴출 쉬워진다…199개사 '상폐 사정권'
■유명무실한 상장폐지 제도…금융당국, 개선안 발표
◇시총·매출 기준 10배 상향…코스피 상폐 심사기간 4년→2년
◇'시총 300억' 밑도는 한계기업 코스닥서 퇴출
◇IPO·상장폐지 기준 대수술
◇유가증권시장 500억 미달 '아웃'
7. SK·롯데, 올해도 고강도 구조조정…삼성·LG는 新성장동력 찾는다
■연기금·증권사 등 자본시장 전문가 56명 설문
◇대기업들 M&A 딜 활발 기대
◇SK스페셜티 매각, 연내 마무리
◇롯데, 호텔·유통부문 자산 매각
◇삼성·LG는 로봇·AI 기업 인수
◇PEF, 자금 풀며 영향력 확대
◇미집행 투자금, 작년 40조 웃돌아
◇화학·에너지 업종에 자금 몰릴 듯
8. '140만대 수출' 한국車 급제동 … 배터리·철강도 관세
■트럼프 2기 산업별 영향은
◇멕시코·보편관세에 FTA개정
◇삼중위협 예고된 자동차 업계
◇IRA폐지땐 K배터리 '치명타'
◇조선, 美 함정 수리시장 호재
◇태양광 중국産 퇴출 반사이익
◇산업부, 민관 대응방안 논의
9. "최대 1000만원 싸게 산다"…기대감 폭발한 '전기차' 정체
◇기아 EV6 보조금 580만원
◇국내 판매 전기차 최대
◇정부, 모델별 국비 보조금 확정
◇아이오닉5·6 500만원대 받아
◇모델Y, 43만원 줄어든 169만원
◇LG엔솔 등 K배터리 장착시 우대
◇ID.4는 422만원…수입차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