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15일 나해 부활 제7주간 수요일 (요한 17,11ㄷ-19)
복음
<이들도 우리처럼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7,11ㄷ-19
그때에 예수님께서 하늘을 향하여 눈을 들어 기도하셨다.
11 “거룩하신 아버지, 아버지께서 저에게 주신 이름으로 이들을 지키시어,
이들도 우리처럼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
12 저는 이들과 함께 있는 동안,
아버지께서 저에게 주신 이름으로 이들을 지켰습니다.
제가 그렇게 이들을 보호하여,
성경 말씀이 이루어지려고 멸망하도록 정해진 자 말고는
아무도 멸망하지 않았습니다.
13 이제 저는 아버지께 갑니다.
제가 세상에 있으면서 이런 말씀을 드리는 이유는,
이들이 속으로 저의 기쁨을 충만히 누리게 하려는 것입니다.
14 저는 이들에게 아버지의 말씀을 주었는데,
세상은 이들을 미워하였습니다.
제가 세상에 속하지 않은 것처럼 이들도 세상에 속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15 이들을 세상에서 데려가시라고 비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악에서 지켜 주십사고 빕니다.
16 제가 세상에 속하지 않은 것처럼 이들도 세상에 속하지 않습니다.
17 이들을 진리로 거룩하게 해 주십시오. 아버지의 말씀이 진리입니다.
18 아버지께서 저를 세상에 보내신 것처럼 저도 이들을 세상에 보냈습니다.
19 그리고 저는 이들을 위하여 저 자신을 거룩하게 합니다.
이들도 진리로 거룩해지게 하려는 것입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가장 완전한 기쁨은 무엇인가?
우리는 기쁨을 언제 느낄까요? 제가 가장 큰 기쁨을 느꼈을 때는 아마도 대학에 합격했을 때였던 것 같습니다. 옆집 친구는 대학에 합격했는데, 저는 발표가 하루 이틀 늦었습니다. 이때 걱정되는 것은 내가 떨어졌을 때 어머니가 옆집 어머니의 기쁨 때문에 슬퍼하게 될 것이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기쁨은 나 때문보다는 나를 사랑하시고 나에게 많은 희생을 한 이를 기쁘게 해 드릴 때 가장 기쁜 것 같습니다.
나 자신을 기쁘게 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그 기쁨이 자꾸 줄어들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누구나 압니다. 제가 중학교 2학년 때 전기가 처음 들어왔을 때는 뛸 듯이 기뻤습니다. 그러나 그 기쁨이 오래가지는 않았습니다. 전기가 들어와 TV를 제대로 보고 학교에서 아이들과 말이 통하는 게 소원이었지만, 이제 전기가 들어온 기쁨은 사라지고 컬러 TV를 보고 싶다는 소원이 생깁니다.
연봉 100억이 넘는 정승제 강사도 같은 이야기를 합니다. 그는 수업 중에 “강남 아파트에 살면 행복할 거 같아?”라고 묻습니다. 한강 경치가 보이는 수십억짜리 아파트를 처음 볼 때 기뻤다고 합니다. 그리고 일시금으로 아파트값을 낼 때, 딱 그렇게 이틀 좋았다고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기쁨은 조금씩 사라지고 다른 걱정이 생기게 됩니다.
이렇게 나 자신을 기쁘게 하는 일은 그것 때문에 나를 노예로 만들 뿐입니다. 하지만 내가 그런 아파트에 사는 것을 보는 부모님의 기쁨 때문에 그 기쁨은 유지됩니다. 이상하게도 우리는 우리를 위해 희생하신 분에게 보답을 위해 살아갑니다. 그 이유는 인간 안에 양심이 넣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양심은 ‘정의’입니다. 받았으면 갚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양심의 가책이 나를 사로잡습니다.
오늘 복음은 바로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생명을 주시고 이 세상에 살며 죄를 용서받게 하시기 위해 아드님을 죽이신 바로 그 부담감에서 해방되는 자유를 말씀하십니다.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이제 저는 아버지께 갑니다. 제가 세상에 있으면서 이런 말씀을 드리는 이유는, 이들이 속으로 저의 기쁨을 충만히 누리게 하려는 것입니다.”
예수님도 부담스러우셨습니다. 아버지께 성령을 받으셨기 때문입니다. 성령은 모든 것입니다. 성령을 받으셨으면 아버지께서 아드님을 위해 죽으신 것입니다. 그 이유는 아드님이 교회라는 자녀를 탄생시키기를 원하셨기 때문입니다. 이제 교회를 탄생시키고 아버지께 가시는 예수님은 기쁩니다. 아기를 낳아 남편에게 보여주려는 마음, 혹은 자녀를 낳아 부모님께 보여드리는 마음과 같습니다. 그 마음은 ‘당신이 저를 낳아 키우신 일이 헛되지 않았습니다!’라고 보답하는 마음입니다.
하느님은 당신 앞에 나올 때 빈손으로 오지 말라고 하십니다. 그 이유는 당신이 줄 축복을 양심상 감당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남편이 사우디에서 땀 흘려 몇 년 동안 번 돈을 제비에게 다 날려버렸다면 몇 년 만에 김포공항으로 오는 남편을 맞으러 나갈 용기가 있을까요? 그때 많은 아내들이 집을 나가거나 자살을 했다고 합니다. 우리가 선교하여 자녀를 낳지 않으면 그렇게 지옥으로 스스로 가게 되어 있습니다.
사제로 살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냥저냥 살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언젠가 나를 사제로 세워주신 주님의 은총에 심판받아야 할 날이 올 것입니다. 그것을 위해 한 영혼이라도 더 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편히 쉬는 것보다 이것이 더 큰 기쁨임을 알기 때문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그 기쁨이 우리 안에도 함께 하려면 예수님께서 기쁨을 얻기 위해 어떻게 하셨는지 배워야 합니다. 우리도 언젠가 야곱에 에사우를 만나러 가는 상황이 벌어질 것입니다. 그때면 정말 그리스도의 신부로서 자녀를 낳고 기르는 삶을 살지 않았다면 우리 스스로 그분을 만날 용기를 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참 기쁨인 하느님 자녀를 낳는 일을 게을리하지 맙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