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천의 자랑(3526) : 김필영(2)-김필원(1)
---
김필영 [記事] : 문학소식 웹문서/ 양현주 (작성일 : 2004-09-01 10:58:54, 조회 : 1241)/ 홈페이지 //member.kll.co.kr/kosmos / 제목 '소비에트 고려인 문학사' 낸 김필영(金弼榮, 1953- , 예천 출신, 醴泉初, 醴泉中, 醴泉農高 卒業, 江南大 敎授) 교수/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의 문학작품은 현대의 비평 잣대로 볼 때 수준이 낮습니다. 그러나 어려운 환경에서 민족의 말과 문화를 지키려 노력한 것은 높이 평가해야 합니다" 프랑스 파리의 국립동방어문대학에서 한국문학을 가르치는 김필영(50) 교수가 펴낸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사'(강남대출판부刊)는 1937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 당한 이후 고려인들이 일궈낸 문학작품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한 역작이다. 책의 분량이 무려 1천60쪽에 이른다. "자료를 모아 정리하는 데 꼬박 14년이 걸렸습니다.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사는 중국의 조선족 문학사와 함께 한민족 문학사를 총체적으로 정리하는 데 필요한 지역 문학사입니다"김 교수는 1978년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대학과 국립동방어문대학에서 중국어를 공부했다. 파리대학 이옥(1928-2001) 교수의 권유로 이 대학에서 한국학 석․박사과 정을 수료한 그는 국립동방어문대학에서 '정지용의 시적 미학'이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0년대 말부터 유럽지역의 한국학 학자들과 만나면서 중앙아시아 지역의 한국학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1991년 중앙아시아로 건너가 이듬해 우즈베키스탄 국립 타슈켄트 동방학대학교에 한국학대학을 설립했고, 1994년에는 국립카자흐스탄대학에 한국학과를 신설하기도 했죠" 그는 1992년 파리에서 국제비교한국학회를 설립했고, 2000년에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에서 중앙아시아한국학회를 설립해 초대 회장을 역임하는 등 중앙아시아의 한국학을 개척한 인물이다. 1990년대 초 중앙아시아로 건너가 수집한 각종 문학 관련 자료를 정리한 것이 이번에 대산문화재단의 지원으로 출간한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사'이다. 이 책은 연해주의 한인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 당한 1937년부터 옛 소련이 붕괴된 1991년까지 고려인 문학을 형성기, 발전기, 성숙기, 쇠퇴기로 나누어 시기별로 정리했다. 형성기는 1937년부터 스탈린이 사망한 1953년까지로 잡았다. 고려인들이 1938년 카자흐스탄의 중심 도시인 크즐오르다에서 창간한 신문 '레닌기치'가 이 시기 고려 인 문학의 구심점이 됐다. '레닌기치'의 문예란에 실린 각종 시와 산문, 고려극장에서 공연된 연극의 대본 등이 책에 빠짐없이 소개돼 있다. 발전기는 '레닌기치'가 카자흐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기관지로 승격된 1954년부터 1969년까지. '조선시집'이라는 첫 작품집이 단행본으로 출간됐고, 20여년 간 수용소 생활을 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시인 강태수(1908-2001)가 활약했던 시기이다. 의병들이 군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은행을 터는 이야기를 그린 고려인 최초의 장편소설로 김준의 '십오만원 사건'이 1962년 출간됐다. 성숙기는 카자흐스탄 작가동맹 산하에 고려인작가 분과가 정식으로 설치된 1970년부터 1984년까지로 잡았다. 이 시기에는 작가의 경력 등이 소개돼 있는 '시월의 햇빛'을 비롯해 '씨르다리야의 곡조' '그대와 말하노라' '해바라기' '행복의 노래' 등 작품집과 개인시집 등 다섯 권이 출간됐다. 쇠퇴기는 고르바초프가 집권한 뒤 개혁․개방정책을 펴던 시기다. 이 시기에 처음으로 민족과 강제이주에 관한 글이 나오기 시작하는 등 작품활동이 자유로워졌다. 그러나 강제이주 1-1.5세대들이 문단에서 차츰 떠나고 후세대 문인들을 배출하지 못한 상황에서 고려인 문학은 차츰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다.
"중앙아시아 고려인은 1937년 강제 이주 당한 세대와 그들의 후손, 옛 소련에 유 학하거나 외교관 등으로 나왔다가 정착한 사람, 2차대전 때 사할린에 징용자로 끌려갔다가 1970년대 초 이주해온 사람 등 크게 세 부류로 구성돼 있습니다. 이들이 고려인 독자를 위해 고려 말로 창작한 작품이 고려인 문학입니다. 카자흐스탄 출신이지만 러시아어로 작품활동을 하는 아나톨리 김 등은 고려인 문학사에 넣지 않았습니다. 90년대 이후 '고려일보'를 통해 발표되는 고려인 문학은 우리말을 자유롭게 구사하는 북한 망명자들이 중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고려인 문학의 지리적 범위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중앙아시아 5개 지역을 포함한다. 이 가운데 고려인 문화의 중심지였던 크즐오르다가 있는 카자흐스탄의 고려인 문학사를 중심으로 이 책은 서술됐다. "고려인 문학은 순경음 'ᄫ' 등 우리 중세언어가 고스란히 남아 있는 언어학의 보고입니다. 마치 수십년 간 냉동고에 보관돼 있다가 불쑥 튀어나온 것처럼 함경도의 옛 방언과 20세기 초 언어가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고려인 문학은 개화기의 신체시나 신소설 등 한국문학사의 발전과정을 거치지 않았고, 한국문학과 단절된 기간에 러시아 문학과 접촉한 특성이 남아있는 독특한 작품세계를 보입니다. 한국문학사에서 특이한 공간을 차지하는 그들의 작품세계를 꼼꼼히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나오길 기대합니다. 이 책이 그런 연구의 밑거름이 됐으면 합니다" 박사논문 지도교수였던 국문학자 조동일 전 서울대 교수의 권유로 이 책을 집필했던 김 교수는 2004년 7월말 귀국해 1개월여 동안 교정 등 출간작업에 매달려왔다고 말했다. 2004년 9월 3일 프랑스로 돌아가는 그는 모 대학에서 추진하고 있는 카자흐스탄 학과가 개설되면 한국으로 돌아올 계획이다.(정천기 記者 聯合뉴스)(daum 2009)
김필영 : 한국학자 김필영/ 한국학자 김필영 유목민 장군의 기상과 그 속에 숨은 시인기질 (파리=연합뉴스) 이종호 기자 = 한국학자 김필영(金弼榮)은 웬만해선 한 곳에 오래 머물지 않는다. 본거지는 물론 집이 있는 파리이지만 포도주 농장을 운영하는 소뮈르,.../ //www.sky114.net(daum 2010)
김필영 : [사람속으로] “중앙亞 한국학 전파에 인생 걸었죠”-김필영 교수님 -/ 2011.10.18 | Daum 블로그/ 한국학자 김필영 씨(52)를 빼고선 중앙아시아의 한국학을 논할 수 없다. 지난 15년 동안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에 한국학을... 하다. 새 봄에 그는 한국에 온다. 오는 3월부터 강남대에 대우교수로 부임해 .../ blog.daum.net/mygreentree/ ♧초 록 세 상♧(daum 2013)
김필영 : 소비에트 고려인 문학사 펴낸 김필영 교수/ 2004.09.01 | 연합뉴스/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사를 펴낸 프랑스 파리의 국립동방어문대학에서 한국문학을 가르치는 김필영(50) 교수.//문화부 기사참조/ 2004.9.1 (서울=연합.../ newslink.media.daum.net(daum 2013)
김필영 : 김필영 교수/ 2008.05.31 | Daum 카페/ 김필영 박사, 이용복 선생과 이민영선생. 그리고 대학원생. 그리고 맨 좌측은 김 박사의 지우 000장님/ cafe.daum.net/lovesisarang/_album/ 시사랑 사람들(daum 2013)
김필영 : 카자흐스탄학과 개설 김필영 교수/ 2006.04.19 | 연합뉴스/ 올해 봄학기 용인 소재 강남대학교에 카자흐스탄학과를 개설한 김필영(52) 국제학부 교수.//문화/ -문화부 기사 참조- 2006.4.19(서울=연합뉴스) jsle/ newslink.media.daum.net(daum 2013)
김필영 : [월남화하는 한국] 대학교수 등 北사이트(우리민족끼리) 가입명단.../ 2013.04.14 | 네이버 블로그/ 모스크바 한인회 서울지회장 강남대 김필영 교수 통진당원 남창우 2002년 귀순한.../ blog.naver.com/ wp825님의 블로그(daum 2013)
김필영 : (좋은시-97)백석의 흰바람 벽이 있어-불역 김필영/ 2006.09.28 | Daum 카페/ 고민도 하고 수십 번을 고쳤습니다. 출판 전까지 아직 몇 차례 더 수정을 해야 합니다. 파리에서 김필영 김필영 교수(1953~ ) (파리동방외문어대학 교수. 한국학박사/강남대 겸임 교수) Il y a une cloison blanche(흰 바람벽이.../ cafe.daum.net/lovesisarang/ 시사랑 사람들(daum 2013)
김필영 : 우즈베키스탄 여행/ 2011.09.01 | Daum 블로그/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부하라, 사마르칸트 3곳에 실크로드 여행을 했다. 음식문화학교 학생들이 주축이 되고 김필영교수님이 전체적인 스케쥴 관리와 통역을 담당해 주셨다.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중앙아시아의 문화와.../ blog.daum.net/plusad/ THINKPIA(daum 2013)
김필영 : 새콤 개운달착 지근한 홍어탕의 맛/ 2009.11.27 | 한겨레21/ 이러한 다양한 표현이 외국어에도 있는가 궁금해 수개 국어에 능통한 강남대 김필영 교수에게 물으니, 영어의 경우 'sweet'(달다), 'bitter'(쓰다), 'so.../ h21.hani.co.kr(daum 2013)
김필영 : ‘주막’의 근대성/ 2013.01.14 | Daum 블로그/ 육회는 입안에서 살살 녹는다(육회 400g 2만원, 육회비빔밥 1만원). 지난 10월 14일 예천이 고향인 강남대 김필영 교수와 그 아들과 같이 ‘예천아리랑’ 복원 공연을 보러 갔다가 육회 한 접시, 비빔밥 세 그릇으로 소주를 세.../ blog.daum.net/fourseason0/ =포시즌=(daum 2013)
김필영 : 카자흐스탄 고려인 시인 강태수의 시세계/이승하/ 2011.11.19 | Daum 블로그/ 있지 않다. 2000년부터 세 군데 책자에 그의 작품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졌다. 프랑스 국립동방어문대학교 김필영 교수는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사(2004)에서 강태수의 시를 소개하고 시세계를 소략하게 정리하였다.../ blog.daum.net/kazns/ 남산 위에 저 소나무(daum 2013)
김필영 : Arirang TV | Heart to Heart/ 2009.03.13 | 웹문서/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 아시아에 한국학을 전파한 한국 학자이며 한국에서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사’를 출판하고 오는 3월부터 강남대에 대우 교수로 부임해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을 강의하는 김필영 교수를.../ www.arirang.co.kr(daum 2013)
김필영 : 흰 바람벽이 있어 / 백석 (불어 역/ 김필영)/ 2011.12.12 | Daum 카페/ 전까지 아직 몇 차례 더 수정을 해야 합니다. 파리에서 김필영 출처 <시사랑사람들 문학, 2006.09.10> 시인의 자서 기고 ....... 김필영 문학박사, 파리대학 동방어문학과 교수 우즈벡 대학원 학국학 교수, 현 강남대 겸임교수/ cafe.daum.net/lovesisarang/jvI/ 시사랑 사람들(daum 2013)
김필영 : 계봉우의 자전적 기록 <꿈속의 꿈>/ 2010.01.02 | 네이버 블로그/ 정확히 전모를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그러던 차에 2009년 카자흐스탄에서 계봉우의 행적을 추적, 연구해 왔던 김필영 교수가 계봉우의 육필에 약간의 주석을 붙여 <꿈속의 꿈>(강남대학교 출판부)을 펴냈다. 계봉우는 1880년.../ blog.naver.com/hakmin8/ 김학민이 꿈꾸는 세상(daum 2013)
김필영 : 카자흐스탄에서의 대학생활/ 2009.11.04 | 굿모닝 용인/ 카자흐스탄의 나자르바예프 대통령도 참석한 이 행사에 우리 강남대학교의 총장님과 우리 전공의 지도교수님인 김필영 교수님도 초대를 받으셨다. 공식 행사가 끝나고 며칠 후, 학생들만의 행사도 열렸는데, 우리나라의 학교.../ www.yongin21.co.kr(daum 2013)
김필영 : September 2008 | 산은소식 | 2008.12.25 | 웹문서/ 언어의 비밀번호를 풀다 강남대 카자흐스탄학과 김필영 교수는 언어의 달인이다. 우리나라말을 비롯하여 영어, 프랑스어, 중국어, 아랍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카자흐.../ www.kdb.co.kr(daum 2013)
김필영 : 아리랑과 주막/진행자 윤중강 글/ 2010.08.10 | 네이버 블로그/ 지난 2009년 10월14일 예천이 고향인 강남대 김필영 교수와 그 아들과 같이 ‘예천아리랑’ 복원 공연을 보러 갔다가 육회 한 접시, 비빔밥 세 그릇으로 소주를 세.../ blog.naver.com/fm991/ 국악방송 블로그(daum 2013)
김필영 : 윤동주 문학제 개최/ 웹문서/ 동북아 문학과 한민족 위상 텐알라 교수(우즈베키스탄국립대) 윤동주, 조명희, 강태수 민족시인간 비교문학 김필영 교수(크즐오르다대학교) 2부 시낭송, 뒷풀이(윤동주문학관-인사동 오후 6시부터 9시까지) 1부 윤동주 국제.../ minmun.org(daum 2013)
김필영 : 과학의 원수/ 2011.05.27 | Daum 블로그/ 있는데, 독립기념관으로 옮겨가기 직전, 카자흐스탄 알마타시의 카작대학교에서 석좌교수로 강의하고 있는 김필영 교수로부터 먼저 이 자료를 입수하여 책으로 발간하게 되었다. 지면을 빌어 김 교수에게 감사드린다. 1999년.../ blog.daum.net/nyscan/ 계속이 힘이다.(daum 2013)
김필영 : “기사 쓰면서 한국어 실력도 쑥, 쑥”/ 2009.07.15 | 굿모닝 용인/ 본지 시민기자로 활동 중인 외국인 유학생 4명이 강남대 김필영 교수(국제학부)와 함께 지난 9일 강남대 앞 음식점에서 간담회를 가졌다. ‘세계속의 용인’이라는 코너를 통해 용인에서의 삶과 세계 각국의.../ www.yongin21.co.kr(daum 2013)
김필영 : 겨울 바이칼 호수--김필영/ 2008.05.31 | Daum 카페/ 한국문학교수/강남대 초빙교수 --국립동방어문대학교는 루이 14세 때 설립된 교육기관으로 현재 91개의 외국어 교육과 외국학 연구를 하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오래된 전문 고등교육기관이다. 시의 후기 (글.김필영.../ cafe.daum.net/lovesisarang/ 시사랑 사람들(daum 2013)
김필영 : 시문학 창간 40주년 기념행사를 마치고/ 김필영/ 2011.12.06 | Daum 카페/ 시문학 창간 40주년 기념행사를 마치고 김필영 (시인, 한국시문학문인회 사무국장) 잘 아시다시피 불혹(不惑)이란 어떠한 경우에도 미혹되거나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孔子의 "40세가 되어서는 미혹되지 않았다(四十而不惑.../ cafe.daum.net(daum 2013)
김필영 : 한국시문학문인회 시사뉴스/ 2009.06.11 | 웹문서 원동력 을 탐구하는 세미나가 각 섹션별로 열렸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한국에서 이천수 대진대학총장, 김필영 강남대교수, 반병율 한국대 교수가 참석하였고 알마티에서 김정복 외대 한국어과 교수가 발제자로 나섰다. 특히.../ www.dabai.com(daum 2013)
김필영 : 자랑 1684 : 김필영 敎授(祝 안택수.이동면/예천방문 210)/ 작성 장병창/ 웹문서/ 겸 한국어문학 교수(1994-1999)로 일하면서 중앙아시아 한국학 발전을... 교수이다. 2003년 제5회 재외동포문학상 시부문 가작에 입상하였다. 입상 작품은 지고개의 전설 외 2편이다.(醴泉新聞 2003.8.14) 김필영.../ ycg.kr(daum 2013)
김필영 : 한국학의 ‘거성’ 계봉우 선생 족적을 찾아/ ::: 기호일보 :::/ 시문을 남겼다고 말했다. 이어진 주제발표에서는 반병률 한국외대 교수의 러시아혁명과 계봉우의 민족운동, 김필영 강남대 교수의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과 계봉우가 차례로 발표됐다. 여기서 반 교수는 선생의.../ www.kihoilbo.co.kr(daum 20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