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ching Food in the Sea 수중생물이 먹고 사는 법 Text by David Behrens Photos by Kevin Lee 글 데이비드 베렌스 사진 케빈 리 번역 편집부
우리는 대부분 일부 해양생물이 자신이 선호하는 먹이를 찾 아 먹고 살기가 얼마나 어려울지를 잠시나마 생각해본 적이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에게 그것은 식은 죽 먹기이기 때 문이다. 우리는 슈퍼마켓에 들러 먹을거리를 사거나 그저 식 당에서 식사를 하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잠시 생각해보면 바다에서 먹고 살기는 그리 녹록치 않다. 해양 동물이 먹이를 포획하는 방법은 그 동물들 자체만큼이 나 다양하다. 여기서는 먹이를 녹여 후루룩 마시는 동물 (slurper)에서 그물을 던지거나 치는 동물(netter), 먹이를 쏘 는 동물(stinger), 낚시하는 동물(angler), 먹이를 잡아채는 동 물(snatcher), 먹이를 걸러 먹는 동물(filterer)까지 몇 가지 부 류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각각의 부류에 속하는 해양 동물들은 그야말로 수백만 년에 걸쳐 나름의 매우 전문화된 먹이 포획 전략을 개발했다. 이러한 전략의 다양성은 곤충, 조 류 등 그 어느 부류의 육상 동물들도 따라가지 못한다. 그렇다면 바다에서 먹이 구하기가 육상의 경우보다 왜 그리 도 훨씬 더 복잡한 것일까? 그 대답은 그리 명확하지 않고 아주 복잡할 수 있다. 한 가지 분명한 점은 수천 년에 걸쳐 생물들이 먹이 자원을 놓고 경쟁하기보다는 그것을 공유하 거나 분할하도록 진화하였다는 것이다. 먹고 살기에 적합한 환경, 즉 특유의 적소(niche)를 찾는 편이 먹이를 놓고 싸우 는 것보다 더 효율적인 것으로 입증됐다.
우리에게 친숙한 해양생물들은 대부분 먹이를 찾아 공격 한다. 이러한 생물에는 대부분의 어류와 많은 무척추동 물이 있다. 일부는 속도로, 일부는 잠행으로 먹이를 압도 하나, 대부분은 그저 먹잇감이 발견될 때까지 찾아 돌아 다닌다. 이와 같은 먹이 구하기는 무척이나 다양하다. 먹이를 포획하는 무수히 많은 전략 중에서도 우선 그물 을 던지거나 치는 다양한 동물부터 살펴보자. 나새류인 멜리베(Melibe)에는 구강 연막(緣膜, veil)이 있어 이를 하 와이 어부의 투망처럼 넓게 벌리면서 내던져, 갑각류, 유 생 어류 등 자기 앞의 물속에 있는 것은 무엇이든 포획한다. 이러한 포획 전략은 매우 독특한 것인데, 나새류 종들은 대 개 해면, 히드라와 멍게 같은 고착 생물을 먹이로 하는 포식 자이기 때문이다. 움직이는 생물을 먹이로 한다는 점이 이들 종에서는 아주 특이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해면 등 고착 생물을 먹이로 할 경우에도 어떻게 먹 는지는 턱, 이빨 등과 같이 먹이를 먹는 구조물에 달려 있다. 해면을 먹고 사는 도리드 나새류(dorid nudibranchs)는 대 부분 강한 턱으로 해면의 조직을 찢어 제치고 치설(齒舌, radula)이란 이빨들로 해면 조직을 먹음직한 크기로 자른다. 하지만 턱과 치설이 없는 많은 종의 도리드 나새류는 어찌할 까? 이러한 구조물이 없는 종들은 ‘포로스톰 도리드 나새류 (porostome dorid nudibranchs)’로 분류되며 소위 침을 뱉 어 후루룩 마시는 전략으로 먹이를 먹는다. 덴드로도리스 데 니소니(Dendrodoris denisoni)처럼 이들 나새류는 고산성 타액 을 해면에 뱉고 해면이 녹으면 해면 국물을 후루룩 마셔 삼 킨다 그물을 던지거나 치는 동물 부류에 속하는 기타 종들로는 거미불가사리류(basket stars), 바다조름(sea pens), 풍차벌레 (windmill worms, Praxillura maculata)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먹이가 실린 해류에 자신을 위치시켜 바다가 먹이를 가 져다주면 먹는다. 거미불가사리류는 경산호든 연산호든 산호 초가 있는 곳의 가장 높은 꼭대기로 올라가 산호초를 따라 오는 플랑크톤이 풍부한 바닷물을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다조름은 낮 동안에는 부드러운 퇴적물에 숨어 있다가, 어 둠이 내리면 나와서 밤에 플랑크톤이 풍부한 바닷물을 먹고 산다. 자기게(porcelain crab)와 같은 약삭빠른 종들은 함께 어울리는 법을 배워 주간에 몸을 숨기는 바다조름의 보호를 받는 한편, 이 전략적 시간에 먹이를 먹기도 한다. 이들 게는 접히는 구기(口器, mouth parts)를 펼쳐 그물을 형성하여 플 랑크톤을 포획한다. 비슷하게 따개비도 지나가는 플랑크톤을 걸러 먹으나, 구기 를 사용하는 대신 발을 이용한다. 유생 형태일 때 따개비는 작은 새우와 비슷하다. 이들은 일단 선호하는 서식지를 찾으 면 정착해서 등을 대고 누워 탄산칼슘을 분비함으로써 평생 살아갈 껍데기를 만든다. 대부분의 따개비 종은 해류가 세차 고 물이 크게 솟아오르는 장소에 정착한다. 몇몇 종은 한술 더 떠 고래의 몸에 정착해 물이 끊임없이 지나가도록 한다. 화산 형태의 껍데기에서 돌출되어 나와 있는 것은 따개비의 다리이다. 맛있겠다. 먹이 포획에서 가장 수동적인 부류는 먹이를 걸러 먹는 동 물이다. 이들은 그저 그 자리에서 자기 일(먹이를 먹는 것)을 하므로 때로는 식물인지 동물인지조차 분간하기 어렵다. 이 러한 부류로는 해면과 멍게가 있다. 이들은 산호초에서 가장 능동적이거나 흥미로운 생물은 아니지만, 매우 다양하고 색 깔이 화려할 수 있다. 태평한 생활을 한다고 이들을 깔보아 서는 안 되는데, 그것이 산호초에서는 가장 효율적인 생활방 식일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저 그 자리에 누워 숨을 들이 쉬고 먹이를 먹으며 호흡한다. 그 얼마나 편안한 삶인가? 다음으로는 먹이를 쏘는 다수의 동물이 있으며, 각각의 동 물은 나름의 특수한 침을 가지고 있다. 이 부류는 광범위 하고 자포(刺胞, nematocyst)라는 미세한 침 세포를 가진 종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들로는 산호, 말미잘, 해파리와 기타 자포동물 종이 있다. 그리고 청자고둥(cone snail)이 있는데, 이들의 끔찍한 독침은 자기보다 2배나 큰 물고기 를 쓰러뜨릴 수 있다. 먹이를 쏘는 동물 중 일부는 쏜다기보다는 문다고 할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동일하다. 여러 종의 문어, 대표적으로 푸른 고리 무늬가 있는 것은 물면 상처에 고통스럽고 치명 적인 신경독을 남겨 먹이를 신속히 제압한다. 이러한 종은 자신의 푸른 점을 깜빡거리면서 포식자에게 자신의 힘을 경고함으로써 위험이 임박해 있다는 점을 알린다. 한 가지 흥미로운 포획 전략은 왕털갯지렁이(Bobbit worm)가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를 “잡아채는(snatch
& grab)” 전략이라고 부른다. 굴을 파고 사는 이 갯지렁이 는 무시무시한 턱을 딱 벌린 채 무심한 물고기가 아주 가 까이서 헤엄치기를 그저 기다리기만 하다가 홱 물고기를 잡아채 굴속으로 끌어간다 먹이를 잡아채는 또 다른 동물은 갯가재(mantis shrimp)이 다. 갯가재도 의심 없는 먹이 생물이 아주 가까이 다가올 때 까지 구멍에서 가만히 기다린다. 이러한 갑각류 종에는 2가 지 유형이 있다. 즉 먹이를 박살내는 유형(smasher)은 뭉툭 한 부속기관으로 타격하여 먹이가 의식을 잃도록 하며, 먹이 를 찌르는 유형(spearer)은 접히는 긴 부속기관으로 먹이를 찌르고 붙잡는다. 갑오징어도 먹이를 잡아채는 동물이며, 먹이를 포획하는 2개 의 긴 촉수로 먹이를 잡아채 먹는다. 마지막으로 소개하지만 가장 못하지도 않은 것이 씬벵이 (frogfish)가 사용하는 낚시 방법이다. 한 물고기가 수천 년에 걸쳐 자신만의 낚싯대를 개발함으로써 벌려지는 입으로 덥석 삼킬 정도로 먹이를 가까이 유인하다니 그저 놀랄 따름이다. 이 러한 낚싯대에는 씬벵이의 종에 따라 상당히 다양한 미끼가 있 다. 씬벵이는 낚시꾼이 하듯이 먹이가 살아 있는 것처럼 보이게 미끼를 살살 흔들어주기까지 한다. 그러니 다음번에 앉아서 식사할 때에는 잠시 우리에게 식사가 얼마나 쉬운 일인지를 생각해보라. 그리고 우리는 먹이를 녹여 후루룩 마시는 동물, 그물을 던지거나 치는 동물, 먹이를 쏘는 동물, 낚시하는 동물, 먹이를 잡아채는 동물 혹은 먹이를 걸러 먹는 동물 중 어느 부류에 속하는지를 자문해보면 더 좋겠다.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면? 우리의 식사는 접시에 담겨 건 네진다. 그보다 더 쉬운 일은 있을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