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운 것은 강제적인 물가통제》트럼프 대통령의 '고관세 정책'이 세계 경제에 가져올 '함정'이란? / 5/18(일) / 분슌 온라인
트럼프 행정부의 고관세 정책은 왜 생겨났을까. 그리고, 일본은 어떻게 대응해 나가야 하는가. 경제학자·고바야시 케이이치로 씨의 기고 「일본은 미국에 무엇을 제안해야 하는가」(문예 춘추 6월호)의 서두를 소개합니다.
◆◆◆
◇ 트럼프 행정부는 왜 '고관세 정책'을 도입했는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인 고관세 정책에는 전 세계가 경악했다. 분명히 자유무역체제를 훼손하는 이런 정책을 펴는 목적은 제조업에 종사하는 미국의 저소득 백인 중산층(이른바 잊혀진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되찾아 그들의 삶을 다시 일으켜 세우는 것일 것이다. 중산층의 재흥은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국내 부유층으로부터 돈을 받아 저소득층에게 분배하는 재분배정책(사회보장정책)으로 대응해야 할 내정문제다. 그런데 국내 분단을 격화시키고 싶지 않은 트럼프 행정부는 부유층에서 저소득층으로 돈을 분배하는 소득재분배 정책은 하고 싶지 않다. 부자들의 반발이 불가피하고 국내 정치적 분단을 심화시키기 때문이다. 원래 자주독립을 중시하는 미국의 여론은 재분배 정책은 좋아하지 않는다.
트럼프 행정부는 국내를 단결시키고 중산층도 재흥하는 일석이조의 방책으로 고관세 정책을 선택한 것이다. 외국이 미국을 착취한다는 세계관으로 국내에서 분단된 부유층과 저중소득층의 단합을 도모하고 관세인하 협상으로 외국으로부터 경제자원을 빼앗아가면 국내 저중소득층의 일자리가 늘어나는 일석이조다. 외국으로부터 경제자원을 탈취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외국이 미국의 제품에 걸고 있는 관세를 인하시켜 미국으로부터의 수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일본 쌀이 한 예다. 또 외국 기업이 고관세를 내는 것을 꺼려 미국 내에 공장이나 사업의 거점을 입지하면 미국 내에 고용이 생겨 저중소득층이 윤택하게 된다. 여기에 외국 통화의 환율을 절상시켜 달러를 약세로 유도하는 것도 미국 제조업의 이득이다. 달러가 싸지면 미국에서 외국으로의 수출이 쉬워지므로 미국 내 노동자들의 일자리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 말로는 관세의 첫 번째 의미는 협상 카드라고 할 수 있다. 해외로부터 투자나 고용등을 불러들이기 위해서, 극단적으로 높은 관세를 내걸고 외국에 양보를 강요해, 많은 경제 자원을 외국으로부터 탈취하면 미국 경제는 손해 보지 않는다고 하는 수단일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세계 경제가 전체적으로 얼마나 축소되든 상관없다고 생각한다면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퍼스트의 관점에서는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외국으로부터 충분한 양보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알 수 없고, 관세의 영향으로 미국 중산층의 생활이 가장 먼저 타격을 받을 것이므로 결코 계획대로 외국에서 공물을 내놓게 해 미국이 살찌는 일은 없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 무서운 것은 물가통제
고관세 정책 발표 직후부터 금융시장은 크게 출렁였고 미국 국채의 급락으로 상호관세 시행은 90일간의 정지에 몰렸다. 만약 90일간의 유예기간에 관세협상이 부진했을 경우에는 고율의 상호관세가 실제로 부과된다(어떻게 될지 예단하기 어렵지만). 그렇게 되면, 외국으로부터의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지불하는 것은 우선 미국의 수입업자이기 때문에, 미국내에서의 판매 가격이 상승한다. 즉 미국의 소비자가 보면 관세는 외국 제품에 부과되는 소비세와 같아서 그만큼 미국의 경기는 악화된다. 불경기가 되어 실업이 늘어나면 가장 먼저 해고되어 생활고에 빠지는 것은 트럼프 지지자인 '잊혀진 사람들'인 것이다.
경제 악화에 반응해 트럼프 행정부가 고관세 정책을 멈춘다는 방침 전환을 하면 베스트 시나리오인데, 그렇게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무서운 것은 관세로 인해 미국 내 물가가 오르는 것을 강제로 억제하려고 물가통제와 같은 계획경제적 방법을 택하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그런 일을 생각하기 어렵지만, 러스트벨트의 '잊혀진 사람들'의 삶을 살려면 시장경제 원칙을 넘어서는 데 주저하지 않는 트럼프 대통령은 무엇을 할지 모른다. 관세를 이유로 가격 인상을 하지 말라고 트럼프 대통령이 대형 자동차 업체에 경고했다는 보도도 있다.
앞으로 상호 관세로 인해 해외 수입이 줄어 물가가 상승하더라도 관세를 철폐하는 것은 체면이 구겨지기 때문에 할 수 없을 것이다.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해 FRB(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금리를 올리려 한다면 트럼프 행정부는 반대할 것이다. 금리가 오르면 빚을 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타격을 받는 것은 소비자 대출 등에 의존하는 '잊혀진 사람들'의 생활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관세정책으로 인해 악화되는 민생을 챙기는 방법으로는 강제적인 물가통제밖에 선택지가 없어질지 모른다. 만약 물가통제가 광범위하게 시작되면 드디어 자유경제의 위기다.
※ 본 기사의 전문(약 7000자)은, 월간 문예춘추의 웹 미디어 「문예춘추 PLUS」에 게재되어 있습니다(코바야시 케이이치로 「일본은 미국에 무엇을 제안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