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박사의 독서경영 - <당신이 옳다>
<당신이 옳다>에서 배우는 독서경영
저자 : 정혜신, 출판사 : 해냄
“정혜신의 적정심리학”이라는 부제가 있는 이 책은 안정적인 일상을 위해 스스로 마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이드북이다. 저자는 많은 사람들이 우리 사회 곳곳에서 좌절하고 상처받고 있는데 이들에게 심리적 CPR(심폐소생술)의 행동지침을 통해 마음의 문제를 풀어가도록 안내하고 있다.
이 책은 저자가 30여 년간 정신과 의사로 거리의 치유자로 현장에서 쌓아 올린 그의 경험과 내공, 정성이 집대성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15년 간 국가폭력 피해자들과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 세월호 참사 피해자들과 함께 하면서 그들의 치유와 회복에 힘써온 저자는 공감이야말로 어떤 치료제나 전문가의 자격증보다 강력하게 사람의 마음을 되살리는 비법임을 알려주고 있다.
이 책은 모두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왜 우리는 아픈가”라는 주제에서는 존재의 개별성을 무시하는 사회적 시선과 환경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아픈 이유를 들여다보고 있다. 2장 “심리적 CPR_지금 우리에게 절실한 것”이라는 주제에서는 우울증 등 진단이 남발되고 일상이 외주화 되는 현실을 직시하며 심리적 CPR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3장 “공감_빠르고 정확하게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라는 주제에서는 공감에 대해 갖고 있던 잘못된 생각을 바로잡고 진정으로 도움이 되는 공감의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4장 “경계 세우기_나와 너를 동시에 보호해야 공감이다”라는 주제에서는 사람은 모두가 개별적 존재임을 환기시키고, 공감의 정확성을 높이는 경계 짓기를 제안하고 있다. 5장 “공감의 허들 넘기_진정한 치유를 가로막는 장애물”이라는 주제에서는 사랑에 대한 욕구, 콤플렉스, 집단 사고 등 진정한 치유를 방해하는 공감의 허들을 짚어주고 있다. 6장 “공감 실전_어떻게 그 ‘한 사람’이 될 수 있을까”라는 주제에서는 존재를 살리는 한 사람이 되기 위하여 유념해야 할 실전 치유 팁을 구체적인 상황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상처가 있다. 남보다 특별하게 예민한 구석도 있다. 아무리 건강한 사람이라 해도 24시간 건강하게 살지 못하듯 노이로제가 있는 사람이라도 24시간 노이로제 환자로 살지 않는다.
진료실이 아닌 곳에서 환자 아닌 사람의 내면을 만나면서 사람에 대해 혼란스러웠던 시간들이 안개 걷히듯 조금씩 제자리를 찾았다. 진료실 밖에서 환자로 쉽게 규정할 수 없는 사람들과 속마음을 나눈 시간은 나를 변화시켰다. - <프롤로그_소박한 집밥 같은 치유, 적정심리학> 중에서
공황발작은 곧 심장이 맞아버릴 것 같지만 절대 멎지 않으며, 죽을 것 같은 느낌이 생생하지만 물리적으론 절대 죽지 않는 병이다. 공황발작 자체로 사람이 죽지는 않지만 자기 소멸의 끝에서 탈진한 사람이 스스로 자기 삶을 거둬들이는 경우는 꽤 있다. 심장이 약해서 죽는 것이 아니라 나를 지워가며 살던 삶의 끝자락에서 더없이 기진맥진해져서 생 전체에서 마침내 손을 놓아버리게 되는 것이다. 누구든 내 삶이 나와 멀어질수록 위험해진다. - <왜 우리는 아픈가_자기 소멸의 벼랑 끝에서> 중에서
우리 사회는 이미 사람을 유령처럼, 그림자처럼 대하는 것이 사회의 시스템으로 굳어진 느낌이다. 처음엔 약자와 빈자만이 이런 비정한 시스템의 희생양일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이젠 아니다. 사람을 존재 자체로 주목하고 인정하지 않는 공기는 미세먼지처럼 우리 사회 전체를 조용히 덮어버리는 중이다. 먼지가 다니는 길에는 경계가 없어서 사람이 금을 그어놓는다고 금 안에 묶여 있지 않는다. 그 영향력은 무차별적이다. 이제는 부자나 권력가들도 미세먼지처럼 휘감는 그 공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 <심리적 CPR; 지금 우리에게 절실한 것_사람을 그림자 취급하는 사회적 공기> 중에서
공감은 네 등골을 빼가며 누군가를 부축하는 일이 아니다. 그 방식으론 상대를 끝까지 부축해 낼 수 없다. 둘 다 늪에 빠진다. 공감은 너를 공감하기 위해 나를 소홀히 하거나 억압하지 않아야 이루어지는 일이다. 누군가를 공감한다는 건 자신까지 무겁고 복잡해지다가 마침내 둘 다 홀가분하고 자유로워지는 일이다.
너를 공감하다 보면 내 상처가 드러나서 아프기도 하지만 그것은 동시에 나도 공감 받고 나도 치유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된다. 공감하는 사람이 받게 되는 특별한 선물이다. - <공감; 빠르고 정확하게 마음을 움직이는 힘_사람을 살리는 결정적인 힘> 중에서
우리 모두 자기 보호를 잘해야만 다른 누군가를 도울 수 있는 상처 입은 존재들이다. 예외가 없다. 공감자의 자격을 결정하는 기준을 내게 붇는다면 단연코 자기보호에 대한 민감함이라고 말할 것이다.
어떤 기간 동안, 어떤 특정 맥락과 상항 속에서는 내가 참고 견딜 수도 있지만 나는 항상 그래야 하는 존재, 그럴 수 있는 존재가 아니라는 사실, ‘너도 있지만 나도 있다’는 자기에 대한 감각이 살아 있어야 공감자가 될 수 있다. 나와 너를 동시에 공감하는 일은 양립 불가능한 일이 아니다. ‘나와 너 모두에 대한 공감’의 줄임말이 ‘공감’이다. - <경계 세우기; 나와 너를 동시에 보호해야 공감이다_자기 보호가 먼저다> 중에서
공감까지의 길목에는 여러 허들이 있다. 가족이나 타인의 몰이해, 무관심, 비난일 때도 있고 거대한 벽 같은 사회구조적 문제가 허들인 경우도 있다. 상처 입은 당사자 자신이 공감의 허들일 때도 많다. 공감을 방해하는 허들이 무엇이든 그것을 만나면 단호하게 맞서 싸워야 한다. 그렇게 허들을 넘어설 수 있어야 홀가분하게 공감을 경험하고 자유를 얻는다. 그래서 공감자는 ‘다정한 전사’라야 한다. - <공감의 허들 넘기; 진정한 치유를 가로막는 방해물_‘다정한 전사’가 되어> 중에서
타인을 공감하는 일보다 더 어려운 것은 자신을 공감하는 일이다. 자신이 공감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다. 타인에게 공감하는 일은 감정 노동이든 아니든 공감하는 시늉이라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자기를 공감하는 일은 시늉할 수 없다. 남들은 몰라도 자기를 속일 방법은 없다.
누구든 타인을 공감하는 과정에서 자신의문제가 자극돼 떠오르고 뒤섞이면 혼란에 빠진다. 그때의 혼란은 자기 치유와 내면의 성숙을 위한 통과 의례 같은 반가운 혼란이다. 어떤 종류이든 혼란은 힘들다. 에너지 소모가 극심해서다. 그럼에도 나에 대한 혼란은 반가운 손님이다. 꽃본 듯 반겨야 한다. 그 혼란에 주목하고 집중해야 한다. - <공감 실전; 어떻게 그 ‘한 사람’이 될 수 있을까_‘나’에 대한 공감이 타인 공감보다 먼저> 중에서
* 전박사의 핵심 메시지
날로 팍팍해지는 현실 속에서 우리나라 3명 중 1명은 우울증상을 겪고 있고, 자살률은 몇 년째 세계 최고 수준이다. 우리나라는 부끄럽게도 OECD 국가 중에서 자살률이 1위라고 한다. 특히 청소년을 비롯한 30대 이하 젊은층 사망 1위가 자살이라고 하니 충격이 아닐 수 없다. 하루 평균 40명이 자살을 하고 있다고 한다. 왜 도대체 이런 안타까운 현실이 나타나는 걸까.
저자는 간단하지만 강력한 치유법, 집밥 같은 치유법을 제시해주고 있다. 외형적 조건이나 삶의 내력이 아닌 사람의 존재 자체에 초집중하고 내 감정을 묻는 질문과 지지를 통해 존재의 핵심을 정확하게 자극하는 것으로, ‘공감’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감을 통해 자신에 대한 진짜 이야기를 시작하게 되면 누구라도 짓눌려 있던 내가 되살아나고 자신의 상황과 문제를 스스로 조망할 수 있는 힘과 호흡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자신과 자신이 아닌 것 사이의 건강한 경계를 세우고, 공감을 방해하는 허들을 용감하게 넘어설 때, 나와 너가 모두 공감 받는 홀가분한 치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공감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조건 들어주기 경청이다. 상대를 위한답시고 ‘충조평판(충고, 조언, 평가, 판단)’하는 것이 공감이라는 착각과 통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래야만 정확하게 도움 되는 공감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진정한 공감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배워야 하는 것이며, 일방적이 아니라 쌍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뜻함이 줄어들고 각박해지고 있는 우리 사회에 따뜻한 온기를 넣어줄 수 있는 불을 지펴야 될 것이다. 이 책이 공감의 중요성과 방향을 제시해 온기를 불어넣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