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박사의 독서경영 - <생각하는 나무이야기>
<생각하는 나무 이야기>에서 배우는 독서경영
저자 : 성주엽, 출판사 : 생각하는 정원
“생각하는 정원의 나무친구 성주엽이 들려주는”이란 부제가 있는 이 책은 저자가 30여 년 동안 온갖 정성을 다해 돌봐왔던 나무들로부터 얻은 삶의 지혜와 깨달음을 정리한 것이다. 저자의 부친이신 성범영 원장은 서울 생활을 접고 연고도 없었던 제주도로 이주해 와서 반백년 동안 혼신을 다해 황무지를 가꾸어 생각하는 정원을 만드셨으며, 지금도 새벽에 정원을 가꾸시고 계시다. 저자 역시 학업과 군대를 마친 후 제주도로 내려와 부친을 도와 정원의 설립부터 운영과 관리, 그리고 실무까지 모든 일을 도맡아 진행해 오고 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이 책은 나무에 대한 지식을 나열한 책이 아니라 저자가 혼신의 힘을 자식을 키우는 심정으로 가꿔온 정원과 한 그루, 한 그루의 나무와 대화하고 사색하면서 직접 배운 내밀한 인생철학과 삶의 지혜가 고스란히 담겨있는 것이다.
제주도 한경면 저지리에 위치하고 있는 ‘생각하는 정원’은 중국 장쩌민 전 주석, 후진타오 전 주석, 북한 김용순 노동당 비서, 일본 나카소네 전 총리 등 국내외 명사의 방문지로 유명한 곳이다. 특히 한 농부(성범영 원장)의 황무지 개척사는 중국의 중학교 의무교과서에도 소개될 정도로 잘 알려져 있다.
저자는 1992년 ‘생각하는 정원’을 개원했었고 외부의 주요한 인사들이 올 때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다. 정원이 부침의 과정을 거치며 1999년 경매되는 쓰라린 과정들을 경험해야 했으며, 절치부심의 심정으로 운영관리를 담당하여 아버지와 함께 2005년 회사를 다시 되찾을 수 있었고 그 이후 정원을 더욱 새롭게 발전시켜가고 있는 중이다.
정원을 찾은 방문객에게 저자가 직접 큐레이터가 되어 스토리텔링으로 나무와 분재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으며, 이곳에서 저자는 젊은 시절 이해되지 않는 책임감과 감당하기 어려운 물리적인 중압감을 견뎌내야만 했었다. 하지만 한때 상처라 여겼던 것들이 자양분이 되어 이제는 정원의 나무와 잔디, 풀잎 하나까지 내밀한 속삭임으로 다가왔기에, 더욱이 정원의 실상을 세밀하게 돌아 볼 수 있기에 지난 30년 동안 꾸준히 기록했던 글을 모아 책으로 펴내게 된 것이다.
무엇을 구상하거나 결정해야 할 일이 있을 때, 혹은 고민에 빠져있을 때는 어김없이 나무를 보며 정원을 산책하기도 하고 잔디밭에 앉아 잡초를 뽑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정원의 주변 상황들을 보면서 나무에게서 얻은 개달음은 마음을 정리하는 데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거목들과 한 시간 이상을 대화하며 배울 수 있는 것들이 많았습니다. 이들을 메모하여 두었고 주요 인사들이 방문할 때 안내 요청을 받으면 정리했던 내용들을 간간히 설명해드렸습니다. 안내를 받던 분에게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중량감을 느낄 때도 있었고 가르침을 받을 때도 있었습니다. 몇 해를 이렇게 보내면서 ‘생각하는 정원’을 만드신 아버지께 중요한 사명이 있음을, 저에게는 가교 역할을 해야 할 사명이 있음을 깨달게 되었습니다. - <들어가는 말> 중에서
사람은 자신의 진면목을 보여주지 않습니다. 만나서 이야기를 해보거나 그가 쓴 책을 읽고 미루어 짐작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나무는 항상 그 자리에서 묵묵히 환경에 적응해가며 자신의 삶을 있는 그대로 보여줍니다.
나무는 겨울에 옷을 벗고 여름에 옷을 입습니다.
사람은 겨울에 옷을 입고 여름에 옷을 벗습니다.
나무는 움직이지 못하지만, 사람은 움직입니다.
나무는 한결같지만, 사람은 매사에 변덕스럽습니다. - <나무의 시학_나무와 사람이 다른 점> 중에서
나무의 근원은 뿌리에 있고 사람의 근원은 마음에 있습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두 가지는 모두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무릇 지킬만한 것보다 더욱 내 마음을 지키라. 생명의 근원이 이에서 남이니라.(「잠언」 4장 23절)’ 유대의 찬란했던 황금기를 이끌었던 지혜이왕, 솔로몬이 현대인들에게 전하는 금언입니다. 에나 지금이나 나무는 뿌리를, 사람은 마음을 지켜야 살 수 있습니다. - <나무의 미학_뿌리와 마음> 중에서
향기가 좋기로 유명한 것이 모과입니다. 열매는 크고 단단해서 황숙의 대과로 불립니다. 그런데 열매에 비해 꽃은 의외로 작습니다. 꽃이 작아서인지는 모르겠지만 꽃이 피었을 때는 그 꽃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지 못했습니다.
꽃이 지고 난 후 그 자리에 열매가 달려있는 것을 보고 비로소 그 꽃이 무엇을 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사람도 그 자리에 있을 때는 그가 무슨 일을 담당했는지 달 모릅니다. 그 사람이 그 자리를 떠났을 때 비로소 그가 무엇을 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나무의 철학_꽃이 진 후에야 그 꽃이 무엇을 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중에서
향기가 천리나 산다고 하여 천리향(千里香)이라고 부르는 나무가 있습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서향(瑞香)’이라고 하지요. ‘상서로울 서(瑞)’자를 쓰는 걸 봐서 향기가 좋아 가슴까지 후련하고 머리도 맑아지게 하는 나무라는 의미인가 봅니다.
꽃이 지기 전에 향기가 먼저 사라집니다. 향기가 사라지면 꽃이 진다는 뜻입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향기를 가지고 계신지요? 꽃을 싼 종이에는 향기가, 생선을 싼 종이에는 비린내가 남습니다. 있는 곳에서 그윽한 향기로 주변을 즐겁게 해주는 우리들이었으면 좋겠습니다. - <나무의 과학_천리향> 중에서
* 전박사의 핵심 메시지
생각하는 정원은 제주도에서 교수로 있을 때 손님이 오면 모시고 몇 차례 갔다 왔던 곳이라 반가움에 책을 읽어보게 되었다. 초창기에는 분재원이라는 이름으로 되어있었던 곳이었다. 처음 관광을 하려고 정원을 찾았을 때, 정원을 만든 분이 참으로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었다. 돌 하나하나를 옮겨가면서 피와 땀으로 만든 정원이라는 점 때문이었다. 90년대 초반 분재라는 것을 제대로 알지도 못하던 시절에 나무에 갖은 정성을 들여서 키운 열정에 존경을 표했었던 기억이 새롭게 다가왔다.
대를 이어서 정원을 가꾸고 운영하고 있는 저자의 모습 역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대학을 졸업하고 부모님들을 도와드리기 위해 과감하게 도시생활을 접고 친구도 아는 이도 없는 낯선 곳에서 젊은 시절을 다 보내고 이제 60대에 접어드는 시점에서 30여 년 동안 정을 나눴던 정원과 나무들에서 삶의 지혜를 얻은 것을 나누는 모습은 박수를 받아야 될 거 같다.
어떤 한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고, 장인이 되고, 명장이라는 호칭을 얻기까지는 수많은 시간과 노력이 뒷받침되어져야만 하는 일이다. 이런 점에서 생각하는 정원을 만드시고 오늘날까지 성장시키고 발전시킨 성범영 원장이나 저자는 장인이고 명장이라 생각된다. 한 분야를 선택하고 집중하는 모습을 통해 인생의 지혜를 얻어야 될 것이다.
최근 최저인금이 인상되면서 상당수의 젊은 친구들이 쉽게 일자리를 찾고 일자리를 박차고 나가는 모습들이 뉴스에 자주 나오고 있다.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순간순간은 넘길 수 있지만 마라톤 같은 긴 인생의 여정을 가야되는 점에서 길게 보는 안목을 가지기를 권하고 싶다.
자연에서 우리는 많은 것을 얻고 있다. 특히 저자가 얻은 것과 같은 삶의 지혜를 누구나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이 책을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과 삶의 지혜를 가득 얻어가기를 소망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