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노태우 정권의 북방 외교에 힘입어 서울 파크호텔에서 국제 주산경기대회가 진행되었는데,
말레이지아,싱가폴, 일본, 한국,대만,중국이 출전하여 각 국의 주산암산 기량을 펼치던 중.
이 때 공산권 국가로는 국제무대에 처음 출전한 중국 선수들이 각 부 입상을 거의 싹쓸이 하다시피 수상하였다 합니다.
그 때, 중국 선수들은 전부 양손 사용을 하였다하니, 그 말씀을 김일곤 회장님으로 부터 전해듣고는
양손사용의 유용성에 대하여 심대히 연구해본 결과
가감산에서 동작수 40% 절감
승제산에서의 연복식,연제식으로 20% 동작수 절감을 가져오는 사실상 연구성과로 내놓았고,
실전에서의 지도 접근 방식을 세밀하게 모색하던 중. 중국의 국가급 지도자 최경옥 선생님을 한국으로 초청하여
대전 KTX역사 행사실에서 전국의 주산 지도자 여러분들에게 강의를 진행하여 오늘까지 왔습니다.
입상실적이 그렇게 우수한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으며, 양손사용은 그만큼 진일보 한 주산암산 교육방법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런데, 양손사용이 한국 교육이나 실정에는 맞지 않다거나, 실용성이 없다거나, 지도교육 시간이 부족하다라고 하여
양손사용 지도를 배척하는 모습을 보고,
과연, 차세대 대한민국 주산계는 1970~80년대 과거의 찬란한 영광에만 머물러 있을 것인가? 하는 의구심이 일곤 합니다.
다른 말로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양손사용의 지도 노하우가 아직 정확하게 정립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이며
양손사용 지도의 접근방법을 몰라서 어려움을 느끼는 현장 지도자만 있을 뿐입니다.
지금으로 부터 7년 전쯤 본인은 정민규 학생과 김주안 학생을 양손으로 지도하면서
양손사용의 모든 영역을 파악하였고,
그 지도기술을 확실하게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가지 미씸쩍었던 양손사용의 접근방법과 지도요령 그리고, 그 지도순서,지도기술의 방법까지
금번 중국에서 한국으로 이민온 김정우 학생을 중국의 최경옥 선생님으로 부터 지도를 부탁받아 지도하면서
그 마지막 미세한 의문점을 모두 해결하였으며, 지도자료(양손사용 지도교재) 또한 완벽하게 갖추고
현재 양손 사용법으로 주산암산을 지도하고 있는 중입니다.
하여,2025년 2월 8일 대한민국 주산암산 국가대표 선발전 이후로 본격적으로 양손사용을 지도하게 되었습니다.
지금 나노협회 부회장님 여러분들과 맹렬하게 양손사용 지도방법과 지도기술을
손쉽게 현장교육에서 펼칠 수 있는 기본 접근 데이터를 충분하게 축적하고 있는 중입니다.
그리고, 금번 8월 14일~8월 18일까지 중국에서 진행하는 여름캠프와 국제 주산경기대회및 학술세미나에 대규모 참여하는 이유는
주산암산을 지도하는 지도자 여러분들과 주산선수들의 국제교류를 통하여 지도자 여러분들의 지도능력 발전과
대한민국의 학생 주산선수들이 세계의 어린이들과 주산암산 실력 겨루어보고,
장차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동량들을 야심차게 실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제로 작동 될 것입니다.
나노(NANO) 협회의 행보에 주산암산 관계자 여러분들의 많은 격려와 성원 있으시길 당부드립니다.
선주법과 후주법 그리고 양손 사용법의 동작수 비교 연구사례 예시(3위 10행 가산/가감산)
단순덧셈(예시) | 선주법(동작수) | 후주법(동작수) | 양손사용법(동작수) |
0 +9 | 1 | 1 | 1 |
1 +8 | 1 | 1 | 1 |
2 +7 | 1 | 1 | 1 |
3 +6 | 1 | 1 | 1 |
4 +5 | 1 | 1 | 1 |
5 +4 | 1 | 1 | 1 |
6 +3 | 1 | 1 | 1 |
7 +2 | 1 | 1 | 1 |
8 +1 | 1 | 1 | 1 |
보수 덧셈(예시) | 선주법(동작수) | 후주법(동작수) | 양손사용법(동작수) |
9 +9 | 2 | 2 | 1 |
9 +8 | 2 | 2 | 1 |
9 +7 | 2 | 2 | 1 |
9 +6 | 2 | 2 | 1 |
9 +5 | 2 | 2 | 1 |
9 +4 | 2 | 2 | 1 |
9 +3 | 2 | 2 | 1 |
9 +2 | 2 | 2 | 1 |
9 +1 | 2 | 2 | 1 |
짝수및 혼합수(예시) | 선주법(동작수) | 후주법(동작수) | 양손사용법(동작수) |
4 +4 | 1 | 1 | 1 |
4 +3 | 1 | 1 | 1 |
4 +2 | 1 | 1 | 1 |
4 +1 | 1 | 1 | 1 |
5 +6 | 2 | 2 | 1 |
5 +7 | 2 | 2 | 1 |
5 +8 | 2 | 2 | 1 |
5 +9 | 2 | 2 | 1 |
|
|
|
|
단순뺄셈(예시) | 선주법(동작수) | 후주법(동작수) | 양손사용법(동작수) |
9 -1 | 1 | 1 | 1 |
9 -2 | 1 | 1 | 1 |
9 -3 | 1 | 1 | 1 |
9 -4 | 1 | 1 | 1 |
9 -5 | 1 | 1 | 1 |
9 -6 | 1 | 1 | 1 |
9 -7 | 1 | 1 | 1 |
9 -8 | 1 | 1 | 1 |
9 -9 | 1 | 1 | 1 |
보수 뺄셈(예시) | 선주법(동작수) | 후주법(동작수) | 양손사용법(동작수) |
10 -9 | 2 | 2 | 1 |
10 -8 | 2 | 2 | 1 |
10 -7 | 2 | 2 | 1 |
10 -6 | 2 | 2 | 1 |
10 -5 | 2 | 2 | 1 |
10 -4 | 2 | 2 | 1 |
10 -3 | 2 | 2 | 1 |
10 -2 | 2 | 2 | 1 |
10 -1 | 2 | 2 | 1 |
짝수및 혼합수(예시) | 선주법(동작수) | 후주법(동작수) | 양손사용법(동작수) |
5 -4 | 1 | 1 | 1 |
5 -3 | 1 | 1 | 1 |
5 -2 | 1 | 1 | 1 |
5 -1 | 1 | 1 | 1 |
14 -6 | 2 | 2 | 1 |
14 -7 | 2 | 2 | 1 |
14 -8 | 2 | 2 | 1 |
14 -9 | 2 | 2 | 1 |
|
|
|
|
**** 50,100,500,1,000의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의 덧뺄셈
(예시) | 선주법(동작수) | 후주법(동작수) | 양손사용법(동작수) |
46+6 | 2 | 2 | 1 |
96+7 | 3 | 3 | 2 |
495+8 | 3 | 3 | 2 |
995+9 | 4 | 4 | 3 |
54-9 | 2 | 2 | 1 |
104-8 | 3 | 3 | 2 |
503-7 | 3 | 3 | 2 |
1,004-6 | 4 | 4 | 3 |
|
|
|
|
위의 선주법/후주법/양손사용법 동작수 비교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양손사용법의 동작수는 숫자 하나 하나 마다 그 동작수가 평균값 65% 정도로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덧붙여, 이어지는 옆 수와의 동시동작이 진행되면서 동작수는 50%~60% 정도로 국한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3위10행가산 100자리 /10자리 /1자리(선주법동작수) 100자리 /10자리 /1자리(후주법동작수) 100자리 /10자리 /1자리(양손사용법)
568 | 1/1/1 | 1/1/1 | 0/1/1 (첫수 왼손동시) |
654 | 2/2/2 | 2/2/2 | 1/1/1 |
193 | 1/2/1 | 1/2/1 | 1/1/1 |
708 | 2/0/2 | 2/0/2 | 1/0/1 |
425 | 1/1/1 | 1/1/1 | 0/1/1 (첫수 왼손동시) |
389 | 1/2/2 | 1/2/2 | 1/1/1 |
698 | 2/2/2 | 2/2/2 | 1/1/1 |
725 | 2/1/2 | 2/1/2 | 1/1/1 |
438 | 1/1/1 | 1/1/1 | 0/1/1 |
916 | 2/2/2 | 2/2/2 | 1/1/1 |
45동작수 45동작수 26동작수
3위10행가감산 100자리 /10자리 /1자리(선주법동작수) 100자리 /10자리 /1자리(후주법동작수) 100자리 /10자리 /1자리(양손사용법)
952 | 1/1/1 | 1/1/1 | 0/1/1 |
-168 | 1/2/2 | 1/2/2 | 1/1/1 |
357 | 2/2/2 | 2/2/2 | 1/1/1 |
854 | 1/1/1 | 1/1/1 | 0/1/1 |
-549 | 1/1/2 | 1/1/2 | 0/1/1 |
724 | 2/1/2 | 2/1/2 | 1/1/1 |
-258 | 2/1/2 | 2/1/2 | 1/1/1 |
618 | 2/1/2 | 2/1/2 | 1/1/1 |
326 | 1/1/1 | 1/1/1 | 0/1/1 |
-927 | 2/1/2 | 2/1/2 | 1/1/1 |
44동작수 44동작수 26동작수
위와 같이 양손사용법의 동작 수는 한손사용법의 동작 수에 비해 현저히 낮은 동작 수 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에 관하여 조만간 끊김이 없는 양손사용법의 특강일정을 발표해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나노교육 대표이사
(사)한국나노(NANO)주산암산교육협회장
대한민국 100년의 주산암산 지도기술 전수단체(용문회)
박 광기 올림
첫댓글 그동안 한 손 사용법과 양손 사용법의 정착에는 3~4개월의 교육기간 격차가 있었으나.
지금의 양손사용 지도기술은 한손사용 지도와 교육기간의 격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지도자의 끈질긴 지도접근과 불굴의 도전정신만 필요합니다.
원생중에서 학부형님의 열정과 지도자의 끈기로 원생 한사람만 양손사용 지도교육에 성공하면
그다음에는 많은 인원을 자연스럽게 양손사용 주산암산을 지도할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