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삼용 요셉 신부님
연중 제27주일
마르코 10,2-16
끝까지 가는 부부의 비밀: 의무가 감정을 이기게 하라
오늘 복음에서 바리사이들은 “남편이 아내를 버려도 됩니까?”(마르 10,2)라는 주제로 예수님을
시험하려 듭니다. 예수님께서 모세는 어떻게 하라고 명령하였냐고 물으시니
“‘이혼장을 써 주고 아내를 버리는 것’을 모세는 허락하였습니다”(마르 10,4)라고 말합니다.
예수님은 이 문제를 ‘창세기’로 끌어올리십니다.
“창조 때부터 ‘하느님께서는 사람들을 남자와 여자로 만드셨다. 그러므로 남자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떠나 아내와 결합하여, 둘이 한 몸이 될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이제 둘이 아니라 한 몸이다.
하느님께서 맺어 주신 것을 사람이 갈라놓아서는 안 된다.”(마르 10,6-9)
왜 예수님은 부부 문제를 창조할 때로 끌어올리실까요? 부부도 창조자의 의도 안에서 살도록
하시기 위함입니다. 이게 무슨 뜻일까요? 사람의 욕구로 살면 실패한다는 의미입니다.
아내가 제일 듣기 싫은 말 1위는 무엇일까요? 여기서 굳이 쓰기는 뭐하지만, 남편이 자신이 벌어온
돈을 낭비한다는 뉘앙스의 말을 하는 것입니다. 또 남자가 아내에게 듣기 싫어하는 말 1위는
능력 없다고 무시하는 말입니다. 반드시 생길 수밖에 없는 생각으로 서로 감정이 상하게 만듭니다.
핵심은 이러한 감정을 이길 수 있는 무기를 갖는 것입니다.
‘EBS 부모 – 아이 양육법, 달라도 너무 달라요’에 아이들 양육 태도가 너무나 다른 부부가
나왔습니다. 엄마는 아이들이 잘못할 때 ‘타이르자’라는 주의이고 아빠는 ‘단호하게 훈육하자’라는
주의입니다. 부부는 서로 너무 안 맞아 남자가 먼저 답답해서 TV 출연을 제안했습니다.
첫째 아이는 남자이고, 둘째 아이는 여자아이입니다. 여자아이는 태어나서 얼마 안 되어
평생 장애로 살 수 있다는 진단을 받고 힘겹게 병원 생활로 건강을 되찾았습니다.
아무래도 첫째 아이가 소외되어 부모로부터 사랑을 덜 받는다고 느낄 것입니다.
부모가 자신을 어떻게 여기는지 묻는 말에 ‘아무것도 아닌 아들’이라 대답했습니다.
둘째 딸도 몸이 아프기에 나름 부모의 사랑을 더 확인하려 합니다. 그 방법이 물고 할퀴는
것입니다. 첫째는 동생이 자신을 물고 할퀴었다고 아빠에게 이릅니다.
아빠는 “내가 맞지?”라는 듯 아내를 봅니다. 그리고 둘째를 꽉 잡고 훈육합니다.
그 옆에서 엄마는 “당신이 하는 거 뭔가 잘못된 거 아닐까?”라는 식으로 말합니다.
그러자 아빠는 아내에게 인정받지 못함에 화가 더 납니다.
남편은 아내가 자신의 훈육법을 무시한다고 느낄 때 감정 카드를 뽑았는데,
‘외로움, 고통’이었습니다. 남편은 아내가 무시한다는 게 문제가 아니라 더 깊은 감정은 외로움과
고통이었습니다. 그 감정은 어떤 욕구로 생겼을까요? 남편은 ‘존재감(중요하게 여겨짐),
이해’를 뽑았습니다. 남편은 무언가 근저에 인정받고 이해받으려는
욕구가 강하게 자리 잡고 있었던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아빠가 어렸을 때 부모로부터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했음을 알았습니다.
장애인 형이 있어서 소외당한다고 느꼈고 부모는 매일 이혼하겠다고 부부싸움을 하였습니다.
이 원인으로 뱃속 깊이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자리했고 거기에서 외로움과 고통의 감정이
생겼으며 그 원인을 아내와 아이들에게 돌릴 수밖에 없게 된 것입니다.
아담과 하와도 뱀의 욕구에 지배당함으로써 부끄러움과 두려움의 감정이 생겼고 결국
그 원인을 상대에게 했습니다. 하느님께 순종하는 존재였다면 그럴 필요가 없었을 것입니다.
의무는 감정을 이깁니다. 하느님이 주신 의무는 뱀의 욕구를 이기는 새로운 욕구입니다.
이 때문에 부부가 함께 십일조를 내는 것은 너무 중요합니다.
하느님을 인정하면 부부생활은 의무가 되기 때문입니다.
2022년 당시 하버트 말리코트(99)와 준 네이피어(100)는 결혼생활 79년 동안 한 번도
싸운 적이 없다고 합니다. 감정이 상하는 일이 없어서 그랬을까요? 아닙니다.
결혼을 의무로 여겼습니다. 매일 자기 전 뽀뽀를 하루도 빠지지 않고 했습니다.
이 의무 때문에 안 좋은 감정을 계속 가지고 있을 수 없었습니다.
부모 앞에서는 옳고 그름의 문제가 의미가 없어집니다. 어떤 의사도 선풍기 틀고 자면
큰일 난다고 어머니가 선풍기를 끈다고 합니다. 시원하게 자는 게 소원이랍니다.
선악과를 바치면 주님 현존 안에서 돈 때문에 서로의 탓을 하는 일은 사라집니다.
다만 상대에 대한 ‘의무’만 남습니다. 사랑의 의무란 자신을 상대에게 내어주는 일입니다.
하느님을 인정하고 그분이 맺어주셨음을 믿읍시다.
수원교구 전삼용 요셉 신부
가톨릭 사랑방 catholicsb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하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