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라는 물건의 아이러니
언젠가부터 나는 책을 쉽게 읽는다. 책을 읽을 때 중압감을 느끼지 않는다.
책의 저자와 내용에 별다른 권위를 느끼지 않는다.
그저 점심 먹고 잠깐의 개운함을 위해 마시는 카페모카 한잔과 같다,
일회용 컵을 버리듯 책도 쉽게 버린다.
그렇게 된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지만, 책이 ‘저렴한 물건’ 이라는 깨달음도 한몫했다.
책이 저렴한 혹은 상대적으로 ‘싸구려 물건‘이 라는 조금 극단적인 깨달음은
책에 대한 내 오랜 의문 하나를 더 크게 만들었다.
나는 커피를 잘 못 마시지만, 하루에 아이스 카페모카 한 잔은 늘 마시는 편이다.
간단한 점심식사 후 아이스 카페모카와 머핀 하나를 먹는 것은 내 오랜 즐거움이다.
카페모카는 한식이 주는 약간의 텁텁함을 달콤한 개운함으로 바꿔 주는 신기한 희석제이기 때문이다.
보통 아이스 카페모카 한 잔이 6500원 정도 한다.
카페모카 두세 잔의 가격이면 책 한 권을 살 수 있다. 카페모카는 소장품이 아니라 단순 소비재이다.
또 대부분 사람은 커피를 마시면서 거기에 대단한 의미를 두지 않는다.
그런데 왜 책은, 자본주의의 매뉴얼에 따르면 커피 두 세 잔과 동일한 가치에 불과한 책은
여전히 이리도 무겁고 과중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
값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책이란
커피 한 잔처럼 순간의 개운함을 느낀 후 버리는 소모품에 불과한 것은 아닐까?
실제로 사람들은 무협지나 할리퀸 로맨스를 커피 한 잔처럼 가볍게 소비한다.
하지만 여전히 책이란 ‘커다란 삶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 ‘반드시 필요한 것’,
‘소중한 것’과 같은 둔중한 이미지를 갖고 있다.
심지어 무협지나 대중소설, 에세이 같은 책들을 경시하고,
그 저자나 독자에게 정도에 따른 멸시의 시선을 보내기도 한다.
소위 문화 민주화가 이루어졌다는 이 시대에도 여전히 그러한 경향이 있음을 부정하기 힘들다.
책을 많이 읽는 계층일수록 심한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나는 커피 두어 잔 값에 불과한 책이라는 물건이 가진 이러한 ‘무게감’에 깊은 아이러니를 느낀다.
그 무게감은 아마도 책이 사람과 세상을 바꾸는 근본 인 힘 중의 하나라는 믿음에서 비롯되었으리라 짐작된다.
어느 대형 서점의 광고 문구처럼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라는 믿음.
결국 책에 한 개인을, 그리고 시대를 바꾸는 힘이 있다는 전제가 이 모든 믿음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김윤관, <아무튼, 서재>중에서
**********************************************************************************************************************************************
영주문협에서 해마다 시행하는 시민독서감상문 공모전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초중고 대학일반부별로 읽을 '책'을 알려주고 기한 내에 독서감상문을 제출하면 입상작을 결정합니다
학업을 마친 뒤로 직업을 갖게 되면 독서는 그저 고급진 취미로 남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특별한 목적을 가져야 '책'을 고르게 되는 버릇을 고쳐보자는 뜻에서 출발했지만
'선비의 고장, 영주' 시민은 문인협회에서 주관하는 독서감상문공모전을 기다리게 되나 봅니다
요즘 과학이 의심받는 풍조가 생겼고, 사상과 이념이 손가락질 받는 기이한 현상도 생겼습니다
누구는 판단력이 흐려졌다고 분석하기도 하고, 한 권의 '책'에 몰입된 탓이라고 보기도 합니다
책장이 닳도록 여러번 읽어 명상에 이르게 되면 '책'은 사람까지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화두 하나에 매달려도 깨달음을 얻는 삶이긴 한데 급속하고 급변하는 사회현상은 그저 놀랍기만 합니다
이럴 때 자극적인 SNS나 유투버의 짧은 뉴스는 오히려 해악이 될 수 있습니다
질병보다 약의 오남용이 더 무섭고, 치유의 방식 선택도 확실한 근거가 있어야 유효하잖아요
오늘이 음력으로 7월 그믐날이니 한가위도 딱 보름 남았습니다
하룻길 천천히 걸으며 자주 웃으시기를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