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입술을 다무세요.
이유는? 코로 숨길을 열어주면 만병이 낫는 이유를 알게 됩니다. 비염·축농증을 넘어 안구건조증 등의
눈 질환이 낫고, 이명증·중이염 등의 귀질환까지 치료되면서 비로소 알게 됐던 사실 ! 이비인후과 최
박사는 “코는 단순히 공기의 통로 역할만 하는 게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됐다.” 고 말한다.
수 많은 눈 증상과 연결돼 있었고, 수 많은 귀 증상과도 연결돼 있었다. 그 비밀의 키는 바로 눈과 코 주
변에는 부비동(副鼻洞)이라는 8개의 빈 공간이 있다는 데 있었다. 최 박사는 “코로 들이마신 공기는 곧
바로 기도를 통해 폐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8개의 부비동을 모두 지나면서 머리와 눈의 열을 식혀주
고 폐로 들어간다.”며 “그래서 코호흡은 두뇌 과열방지 장치라 할 수 있다.” 고 말한다. 머리의 ‘라지에타’
(방열기) 구실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숨을 쉴 때마다 이마에 있는 빈 공간으로도 공기가 지나 가야 하고,
광대뼈 속 빈 공간으로 도 공기가 지나가야 하며, 눈 뒤쪽에 있는 빈 공간으로도 공기가 지나가야 한다.
눈과 코 주변에 있는 8개의 부비동 전체로 공기가 술술 잘 통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뇌의 열도 식
혀주고 눈의 열도 식혀 주고 귀의 열도 식혀줘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제 임상에
서도 코호흡이 제대로 되지 않아 두뇌 과열방지 장치가 제 기능을 못하면 축농증, 코골이, 안구건
조증, 중이염, 메니에르병, 신경성 두통, 탈모, 호르몬 이상, 수면장애 등 온갖 증상이 나타난다는 걸 확인
할 수 있었다.” 고 말한다. 그래서일까? 최박사는 전 국민에게 말하고 싶어 한다. 코로 숨이 잘 통해야 한
다는 것이다. 코로 숨이 잘 통하면 눈도 숨 쉬고, 귀도 숨 쉬고, 뇌도 숨 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코로 숨이 잘 통하면 크고 작은 병도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코로 숨이 잘 통하게 하면 생긴 병도
낫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머리가 맑아지고 눈도 밝아지고 귀도 밝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최 박사는 “비
염, 축농증은 단순한 코질환이 아니라 전신의 병에 영향을 미친다.” 며 “숨길을 열어주는 침법에 온갖 정성
을 쏟아 붓고 있는 것도 이 때문” 이라고 말한다. 이유를 알았다면 이제 낮이나 밤이나 꼭 입술을 다물고
사세요. 🍎 뇌(腦) 노화(老化) 늦추는 방법.. 🍎 80세 넘어서도 말이 젊은이 못지않게 빠르고, 대화(對話)
에 쓰는 단어가 풍부한 사람들을 본다. 중 고등학교 졸업 학력이지만, 은퇴(隱退) 후에 새로운 직업이나
배움에 뛰어드는 ’70세 청년'도 있고, 영어 수상 소감으로 전 세계를 휘어잡은 시니어 윤여정도 나
온다. 반면 박사(博士) 공부까지 한 사람이 70대 중반에 치매(癡呆)로 고생하는 경우도 꽤 있다. 나
이 들면서 어쩔 수 없이 생물학적(生物學的)으로 퇴화하는 뇌를 "닦고 조이고 기름" 치면, 노화를
늦춰가며 총명하게 지낼 수 있다. 🎈뇌(腦)는 어떻게 늙어가나? 🎈 약 70세부터 사용하는 단어 수가 준다.
말하는 속도나 대화 구성 등 언어(言語) 능력(能力)도 떨어지기 시작한다. 상황을 판단하고 정보를 처리하
는 능력(能力)은 다만 특별한 질병(疾病)이 없다면, 80세 정도에도 유지된다. 시간이 점점 길어져도, 기다리
면 제대로 그런 일을 마친다. 나이 들어 뇌 신경세포 수는 감소(減少)하나, 그 안에서 새로운 신경망을 만들
어서 뇌 기능을 보상토록 한다. 기억력(記憶力)은 최신 것부터 떨어진다. 새로 만난 사람의 이름이나 어제
먹었던 메뉴가 잘 생각이 나지 않는다. 이른바 휘발성 기억력이 낮아진다. 70세가 넘어가면 뇌 혈류량이 젊
었을 때보다 20% 정도로 감소한다. 뇌혈관(腦血管) 동맥(動脈) 경화로 혈관(血管)이 좁아지는 탓이다. 담배
를 피우거나, 고혈압(高血壓) · 고지혈증 · 고혈당 등이 있으면 뇌 혈류(血流) 감소가 촉진(觸診)된다. 이 때
문에 초고령에서는 혈관성 치매(癡呆)가 원인(原因)을 알 수 없는 알츠하이머 치매만큼 발생한다. 하루 두잔
이 상의 음주(飮酒)는 뇌 기능 감소(減少)를 증가(增加)시킨다. 🎈 끊임없이 머리를 굴려야 뇌가
싱싱! 🎈 눈·귀·코·입이 즐거우면, 뇌에도 좋다. 보기에 좋은 것을 많이 보고, 즐거운 것을 많이 듣고,
맛있는 음식(飮食)을 자주 먹고 내가 즐겁고 내가 행복하다 느끼면 뇌(腦)에 좋다는 의미(意味)다.
시력(視力)을 잃으면 사물을 잃고, 청력(聽力)을 잃으면 사람을 잃는다는 말이 있듯이, 뇌는 시력과 청력의 자
극으로 움직인다. 청력이 떨어지면 보청기(補聽器)로 만회하고, 시야가 뿌예지면 백내장(白內障) 수술 등으로
청력과 시력과 시야를 회복(回復)시켜야 한다. 모두 뇌(腦)를 위해서다. 맛을 음미(吟味)하며 씹어 먹는 食事가
뇌를 크게 자극한다. 이를 위해 위아래 맞물리는 저작 운동과 치아(齒牙)를 최대한 많이 보존해야 한다. 치아
(齒牙)를 잃었으면 임플란트로 채워, 씹는 능력(能力)을 유지해야 한다. 호기심은 뇌를 끝까지 작동시키는 온
(on) 스위치다. 매일 다니던 길거리를 산책(散策)하더라도 평소와 다르게 새로 바뀐 게 있는지 유심히 관찰
(觀察)하며 다니는 게 좋다. 평상시 다니던 길 아닌 다른 길로도 다니는 것이 좋은 것이다. 새로 생긴 가게가 있
으면 들러보고, 어디서 어떤 물건(物件)이나 식품(食品)이 싸고 좋은 것을 파는지 알아보러 다니면, 뇌 기능이
활성화된다. 다양한 책 읽기와 쓰기, 그림 보기, 그리기 음악 감상, 습득 등 예술적 경험은 새로운 신경망을 만들
어 생각을 풍부하게 하고, 사고(思考)를 유연하게 만든다. 외국어(外國語) 같은 처음 접하는 학습(學習)
은 깨어 있는 뇌세포를 늘리는 데 가장 좋다. 매일 하던 것을 아무 생각없이 반복하는 생활은 뇌 세포
를 오프(off)로 만들어 노화(老化)를 촉진한다. 카드놀이, 낱말 맞추기, 산수 풀이 등 일부러 시간내어
머리 쓰기를 꾸준히 하는 게 좋다. 여러 사람과 지속해서 교류(交流)하는 것도 뇌를 깨운다. 대화(對話)에 참여
하려면 뉴스도 자세히 보게 되고, 바깥출입 하려면 옷 매무새도 챙기게 된다. 거동이 불편해지는 초고령에서는
멀리 있는 친구(親舊)나 가족보다, 동네서 어울리는 사람들이 더 소중(所重)하다. 나이가 많이 들 수록 학연·혈연·
직장 등 연고 중심의 어울림보다, 지역(地域) 중심 어울림을 늘려야 한다. 뇌는 저수지(貯水池)와 같다. 평소에
저수지에 물이 충분(充分)히 차 있으면 가뭄이 와도 버틴다. 일상에서 머리를 끊임없이 굴리고 오감(五感)을 즐겁
게 하며 살면, 뇌(腦)가 싱싱해진다!
ㅡ 조병철 (김시곤,김광준 교수) 님 께서 주신 사진과 안내 글 자료 ㅡ
넷 향기(向基) 이사장 : 최종찬 장로 올림 ( HP 010 - 6361 - 2625. ☎ 02) 391 - 2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