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신(用神)의 변화를 말하다
(1) 용신의 변화가 일어나는 이유
用神既主月令矣然月令所藏不一而用神遂有變化如十二支中除子午卯酉外余皆有藏不必四庫也卽以寅論甲爲本主如郡之有府丙其長生如郡之有同知戊亦長生如郡之有通判假使寅月爲提不透甲而透丙則如知府不臨郡而同知得以作主此變化之由也 |
용신(用神)은 곧 월령(月令)이 주체(主體)가 된다. 그러나 월령(月令)의 지장간이 하나가 아니므로 용신(用神)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2지지 중에서 자오묘유(子午卯酉)를 제외하고는 모두 본기(本氣) 이외의 지장간을 소장(所藏)하고 있다. 사고(四庫)는 말할 필요도 없다. 인(寅)을 가지고 논해 보자면 인(寅)은 갑(甲)이 본기(本氣)가 되는데 가령 인중(寅中)의 갑(甲)은 본청(本廳)이 되고 인중(寅中)의 장생(長生)이 되는 병(丙)은 지청(支廳)이 되며 장생이 되는 무토(戊土) 역시 지청(支廳)이 된다. 그런데 가령 인월(寅月)의 제강(提綱)에서 갑(甲)이 투간하지 않고 병화(丙火)가 투간하였다고 하면 본청의 사람이 부임하지 않고 대리인이 본청의 권한을 대행하는 것과 같다. 이런 이유로 하여 용신의 변화가 생겨나는 것이다.
故若丁生亥月本爲正官支全卯未則化爲印己生申月本屬傷官藏庚透壬則化爲財凡此之類皆用神之變化也 |
만약 정화(丁火) 일간이 해월(亥月)에 출생했다면 본래는 정관격이다. 그런데 지지에 묘미(卯未)가 있으면 정관이 변화하여 인수가 된다. 또 기토(己土) 일간이 신월(申月)에 출생하면 본래 상관격이다. 그런데 신(申)의 지장간 무(戊), 임(壬), 경(庚) 가운데 본기(本氣)인 경금(庚金)은 투출하지 않고 임수(壬水)가 투출했다면 상관격이 정재격으로 변화한다. 이처럼 지지의 회합과 지장간의 투출에 의해서 사주의 구조가 변하니 이와 같은 유형이 바로 용신의 변화이다.
(2) 용신이 변해서 좋게 된 경우
變之而善其格愈美變之不善其格遂壞何謂變之而善如辛生寅月逢丙而化財爲官壬生戌月逢辛而化殺爲印不專以殺論此二者以透出而變化者也癸生寅月月令傷官秉令藏甲透丙會午會戌則寅午戌三合傷化爲財加以丙火透出完全作爲財論即使不透丙而透戊土亦作財旺生官論蓋寅午戌三合變化在前不作傷官見官論也乙生寅月月劫秉令會午會戌則劫化爲食傷透戊則爲食傷生財不作比劫爭財論此二者因會合而變化者因變化而忌化爲喜爲變之善者也 |
변화하여 좋게 되면 그 격(格)이 더욱 길(吉)해지고 변화(變化)하여 나쁘게 되면 그 격(格)은 더욱 흉(凶)해진다. 변화(變化)하여 길해진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예를 들면 신금(辛金)일간이 인월(寅月) 출생이면 재격(財格)이다. 그런데 병화(丙火)를 만나면 화재위관(化財爲官)이 되어 재성격(財星格)이 변화(變化)하여 정관격(正官格)이 된다. 임수(壬水) 일간이 술월(戌月)에 출생했는데 신금(辛金)을 만나게 되면 화살위인(化殺爲印)이므로 칠살(七殺)이 변화하여 인수(印綬)가 된 것이다. 이러한 2개의 격국은 투간하여 용신이 변화한 것이니 전적으로 칠살로 논할 수가 없는 것이다. 계수(癸水) 일간이 인월(寅月) 출생인데 월령에 상관(傷官)이 병령(秉令)한 것이다. 그런데 갑목(甲木)은 감추어져 있는데 병화(丙火)가 투간(透干)하였다면 혹은 오(午) 또는 술(戌)이 회합(會合)하여 인오술(寅午戌) 삼합(三合)이 되면 상관격(傷官格)이 변화하여 재격(財格)이 되는데 곧 화상위재(化傷爲財)가 되는 것이다. 병화(丙火)까지 투출하면 완전한 재격(財格)으로 논하지만 설사 병화(丙火)가 투출하지 않고 정관인 무토(戊土)가 투출하였다고 하면 역시 상관견관(傷官見官)이라 하지 않고 재왕생관(財旺生官)으로 논한다. 을목(乙木)일간이 인월(寅月) 출생이면 월겁(月劫)이 병령(秉令)한 것이다. 그런데 만약 무토(戊土) 재성(財星)이 투간(透干)하면 월겁봉재(月劫逢財)가 되어 흉(凶)하다. 그러나 만약 오화(午火) 혹은(銀) 술토(戌土)가 모여 회합(會合)하면 겁재(劫財)가 식상(食傷)으로 변화(變化)하는데 곧 화겁위상(化劫爲傷)이 된다. 무토(戊土)가 투간(透干)하여 식상생재(食傷生財)가 되는 것이니 군겁쟁재(群劫爭財)로 논하면 안된다. 이 둘의 경우가 회합(會合)으로 인해 변화가 발생한 것이다. 용신(用神)의 변화(變化)로 인해 기신(忌神)이 희신(喜神)으로 변화(變化)가 된 것이니 변화(變化)하여 길(吉)한 격국(格局)이 된 것이다.
【예시】계수(癸水)일간은 월령(月令)에 인월(寅月) 출생이므로 상관격(傷官格)이다. 그런데 월간에 병화(丙火)가 투간(透干)하였다. 이는 본청(本廳)의 대리인이 지부(知部)로 출장온 것이다. 그러므로 상관격(傷官格)이 변화하여 재격(財格)이 된 것이다. 그런데 무토(戊土) 정관(正官)이 출현하였다. 본래 상관격(傷官格)에서는 정관(正官)을 보면 상관견관(傷官見官)이라 흉(凶)하게 논하는데, 만약 병화(丙火) 재성(財星)이 투간(透干)하여 재격(財格)이 된다면 이것은 재생관(財生官)으로 변한 것이다.
時 | 日 | 月 | 年 |
일간 | 재성 | 정관 | |
癸 | 丙 | 戊 | |
寅 | |||
상관 |
【예시】을목(乙木)일간이 인월(寅月) 출생이니 월겁격(月劫格)이다. 그런데 무토(戊土) 재성(財星)이 투간(透干)하였으니 월겁이 정재를 본것이니 곧 월겁봉재(月劫逢財)가 되어 흉(凶)하다. 그러나 년지의 오화(午火)가 인오합이 되어 겁재(劫財)가 식상(食傷)으로 변화(變化)하는데 곧 화겁위상(化劫爲傷)이 되었다. 이것은 식상생재(食傷生財)가 되는 것이니 군겁쟁재(群劫爭財)로 논하면 안된다.
時 | 日 | 月 | 年 |
일간 | 정재 | ||
乙 | 戊 | ||
寅 | 午 | ||
겁재 | 식신 |
(3) 용신이 변해서 나쁘게 된 경우
何謂變之而不善如丙生寅月本爲印綬甲不透干而會午會戌則化爲劫丙生申月本屬偏財藏庚透壬會子會辰則化爲殺如此之類亦多皆變之不善者也 |
용신이 변화하여 나쁘게 된 격은 무엇을 말하는가. 예를 들어 병화(丙火) 일간이 인월(寅月) 출생이면 본래 인수격(印綬格)이 된다. 그런데 갑목(甲木)이 투간하지 않고 지지에 인(寅) 혹은 오(午)가 있어서 회합(會合)이 되면 곧 화인위겁(化刃爲劫)이다. 이것은 본래 인수격(印綬格)으로 좋은 것이였지만 인수(印綬)가 겁재(劫財)로 변화하므로 나쁘게 된 것이다. 병화(丙火) 일간이 신월(申月)에 출생하면 본래는 재격(財格)이다. 그런데 경금(庚金)은 숨겨지고 임수(壬水)가 투간하거나 혹은 또는 자수(子水) 혹은 진토(辰土)가 회합(會合)하여 신자진(申子辰) 삼합(三合)을 이루게 되면 화재위살(化財爲殺)이 된다. 따라서 재겨의 좋은 용신이 칠살로 변한 것이니 나빠졌다고 말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형은 너무 많은데 모두 용신이 변화하여 나쁘게 된 것들이다.
【예시】병화(丙火)가 인(寅)월생이면 인수격(印綬格)으로 길하다. 그런데 년지(年支) 오화(午火) 겁재(劫財)가 인오합(寅午合)이 되면 인수(印綬)가 겁재(劫財)로 변화한 것이니 월겁격(月劫格)이 된 것이다. 따라서 만약 재성을 만나게 되면 월겁봉재(月劫逢財)가 되어 흉(凶)한 사주가 된다.
時 | 日 | 月 | 年 |
일간 | 편재 | ||
丙 | 庚 | ||
寅 | 午 | ||
인수 | 겁재 |
【예시】병화(丙火) 일간이 신월(申月)에 출생하니 재격(財格)이다. 그런데 임수(壬水)가 투간하고 자수(子水)가 회합(會合)하여 신자진(申子辰) 삼합(三合)을 이루게 되어 화재위살(化財爲殺)이 되었다. 이것은 재격(財格)이 칠살(七殺)로 변한 것이다.
時 | 日 | 月 | 年 |
일간 | 편관 | ||
丙 | 壬 | ||
申 | 子 | ||
편재 | 정관 |
(4) 용신이 변해도 본래 격을 잃지 않는 경우
又有變之而不失本格者如辛生寅月透丙化官而又透甲格成正財正官乃其兼格也乙生申月透壬化印而又透戊則財能生官印逢財而退位雖通月令格成正官而印爲兼格癸生寅月透丙化財而又透甲格成傷官而戊官忌見丙生寅月午戌會劫而又或透甲或透壬則仍爲印而格不破丙生申月逢壬化殺而又透戊則食神能制殺生財仍爲財格不失富貴如此之類甚多是皆變而不失本格者也 |
또한 용신이 변화해도 본래의 격을 잃지 얺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신금(辛金)일간이 인(寅)월생이면 재격(財格)인데 병화(丙火)가 투간(透干)하면 정관격(正官格)으로 변한 것이다. 또한 갑목(甲木)이 투간하였다면 정재격(正財格)으로 다시 성격(成格)이 된 것이다. 이것은 재성(財星)과 정관(正官)이 겸격(兼格)이 된 것이다. 을목(乙木)일간이 신월(申月) 출생이면 정관격(正官格)이다. 그런데 천간에 임수(壬水)가 투간하여 인수(印綬)로 변하였다. 그런데 다시 무토(戊土) 재성(財星)이 투간하여 재생관(財生官)이 되면 비록 월령(月令)에 통근(通根)이 되었다고 해도 퇴위(退位)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여전히 정관격(正官格)과 인수격(印綬格)을 겸하고 있다. 계수(癸水) 일간이 인월(寅月) 출생이고 천간에 병화(丙火)가 투간하면 정재격(正財格)으로 변화하였다. 그런데 다시 갑목(甲木) 상관(傷官)도 투간하였다면 본연의 상관격(傷官格)으로 복귀(復歸)를 한다. 그러므로 정관인 무토(戊土)를 보는 것을 기피한다. 병화(丙火)일간이 인월(寅月) 출생인데 오술합(午戌合)을 하면 편인(偏印)이 겁재(劫財)로 변한다. 또한 갑목(甲木)이 투간(透干)하거나 혹은 임수(壬水)가 투간하면 이는 인수격(印綬格)이니 격이 파괴가 되지 않는다. 병화(丙火)가 신월(申月)에 출생하고 천간에 임수(壬水)를 만났다면 편재(偏財)가 칠살(七殺)로 변화한 것이다. 그런데 역시 무토(戊土) 식신(食神)도 투간하였다면 식신(食神)은 능히 제살(制殺)생재(生財)하므로 다시 재격(財格)이 되니 부귀를 잃지 않는다. 이런 종류는 매우 많은데 이상은 모두 변화해도 본래의 격국을 상실하지 않는 경우이다.
【예시】신금(辛金)일간이 인(寅)월생이면 재격(財格)이다. 천간에 병화(丙火)가 투간(透干)하면 정관격(正官格)으로 변한 것이다. 또한 갑목(甲木)이 투간하였다면 정재격(正財格)으로 성격(成格)이 된 것이다. 이것은 재성(財星)과 정관(正官)이 겸격(兼格)이 된 것이다. 이러한 형태를 용신이 변해도 본래 격을 잃지 않는다고 말한다.
時 | 日 | 月 | 年 |
일간 | 정관 | 정재 | |
辛 | 丙 | 甲 | |
寅 | |||
정재 |
【예시】병화(丙火) 일간이 인월(寅月)출생이니 인수격(印綬格)이다. 그런데 인오합(寅午合)으로 회합(會合)하면 인수(印綬)가 겁재(劫財)로 변한 것이다. 그런데 다시 갑목(甲木) 상관(傷官)이 투간하엿다면 본래의 인수격(印綬格)을 회복하는 것이다.
時 | 日 | 月 | 年 |
일간 | 편인 | 편관 | |
丙 | 甲 | 壬 | |
寅 | 午 | ||
편인 | 겁재 |
是故八字非用神不立用神非變化不靈善觀命者必於此細詳之 |
그러므로 팔자는 용신(用神) 없이 세울 수 없고 용신(用神)은 변화 없이는 정밀하지 못하니 사주를 올바르게 보려는 자는 반드시 이러한 변화를 세밀히 살펴야 한다.
(5) 변격에 대한 올바른 이해
✓투간회지(透干會支)는 용신편에서 광범위하게 등장한다.
자평진전에서 말하는 투간회지(透干會支)는 본래 변격(變格)을 언급하는 글입니다. 곧 천간에 투간(透干)하거나 혹은 지지(地支)가 회합(會合)하면 용신(用神)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는 뜻입니다. 다음 아래 구결들은 자평진전에서 언급된 투간회지(透干會支)가 등장하는 장소입니다.
① 용신(用神)을 논함에서 서두부분에 등장하는 투간회지이다
然亦有月令無用神者,將若之何?如木生寅卯日與月同本身不可爲用必看四柱有無財官殺食透干會支另取用神然終以月令爲主然後尋用是建祿月劫之格非用而即用神也[논용신] |
일(日)과 월(月)이 동일한 오행은 용(用)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일단 투간회지(透干會支) 별취용신(別取用神)을 통해 변격(變格)용신(用神)을 정해야 한다. 그러나 그것마저도 없다고 하면 어찌할 것인가. 그렇지만 종국에 용신은 월령에서 구해야 한다. 즉 본래 비견(比肩)은 용(用)할 수 없는 물건이지만 록당(祿堂)이 되어 건록(建祿)이 되면 용신(用神)으로 삼을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건록월겁격(建祿月劫格)은 용(用)이 아닌 것으로 용신(用神)을 잡는 것이다.
② 용신 변화편에서 투간회지(透干會支)를 설명하다
十.論用神變化 故若丁生亥月本爲正官支全卯未則化爲印己生申月本屬傷官藏庚透壬則化爲財凡此之類皆用神之變化也[논용신변화] |
해월(亥月) 정(丁)일간은 본래 정관(正官)이지만 지지에 묘미(卯未)가 회지(會支)하므로 인수(印綬)로 변한다. 즉 화관위인(化官爲印)이 된다. 또한 신월(申月)출생의 기토(己土)일간은 본래 상관(傷官)이지만 경금(庚金)은 암장(暗藏)되고 임수(壬水)가 투간하면 화상위재(化傷爲財)가 되어 재성으로 변한 것이다. 이처럼 지지의 회합과 지장간의 투출에 의해서 사주의 구조가 변하니 이와 같은 종류가 바로 용신의 변화이다.
③ 논잡기에서도 투간회지(透干會支)의 언급이 있다
十六、論雜氣如何取用 四墓者沖氣也何以謂之雜氣以其所藏者多用神不一故謂之雜氣也如辰本藏戊而又爲水庫爲乙餘氣三者俱有于何取用然而甚易也透干會取其清者用之 雜而不雜也[논잡기취용] |
천간에 투간(透干)한 것이 있거나 지지에서 회합(會合)한 것이 있으면 맑고 깨끗한 것을 골라 용신으로 삼으면 된다.
④ 또 다른 구결에서도 투간회지(透干會支)가 언급이 된다
如癸生辰月透戊爲官又有會申會子以成水局透干與會支相剋矣然所剋者乃是劫財譬如月劫用官何傷之有[논용신] |
계수일간(癸水日干)이 진월(辰月)에 생(生)하면 투출한 무토(戊土)는 정관(正官)이 된다. 그런데 신(申)이 모이고 자(子)가 모여 수국(水局)을 이루면, 정관과 겁재는 투간회지(透干會支)가 서로 상극(相剋)이 된다. 하지만 정관이 극(剋)하는 것은 바로 겁재(劫財)이므로, 비유하면 월겁용관(月劫用官)과 같으니 어찌 손상이 있겠는가
⑤ 투간회지(透干會支)가 되었으나 고관무보(孤官無保)이다.
若壬戌丁未戊甲乙卯雜氣正官透干會支最爲貴格而壬財丁印二者相合仍以孤官無輔論所以不上七品[논정관] 乙 戊 丁 壬 卯 申 未 戌 |
무토(戊土)일간이 미월(未月) 출생인데 투간회지(透干會支)하여 잡기 정관격(正官格)이 되면 최고의 귀격(貴格)으로 본다. 그런데 임수(壬水) 재성(財星)이 정화(丁火) 인수(印綬)와 상합(相合)하였다. 곧 고관무보로 논(論)한다. 그러므로 벼슬이 7품이상 오를 수 없었다.
⑥ 투간회지(透干會支)하여 변화용신을 만드는 한 글자가 상신이다
癸生亥月透丙爲財財逢月劫而卯未來會則化水爲木而轉劫以生財者全賴於卯未之相[논상신긴요] ●癸●丙 ●卯亥● |
계수(癸水)가 해월(亥月)에 나고 병화(丙火) 재성(財星)이 투출하였다. 재봉월겁(財逢月劫)을 만난 것이다. 그런데 묘미(卯未)가 래합(來合)하면 곧 화수위목(化水爲木)으로 변하니 수(水) 겁재가 목(木)으로 변하니 생재(生財)가 된다. 이것이 용신(用神) 변화(變化)이다. 그러므로 용신변화를 주도한 한 글자에 의지하는데 해수 월령은 전적으로 묘(卯)와 미(未)에 의지하니 묘(卯)와 미(未)가 상신(相神)이다.
⑦ 투간회지(透干會支)가 된 화수위금(化水爲金)으로 용신으로 잡았다
庚生申月透癸泄氣不通月令而金氣不甚靈子辰會局則化金爲水而成金水相涵者全賴於子辰之相如此之類皆相神之緊要也[논상신긴요] ●庚●癸 ●子申● |
경(庚)일간이 신월(申月)에 생하고 계수(癸水)가 투출하고 설기(泄氣)한다. 그러나 계수(癸水)는 월령 금기(金氣)와는 불통(不通)이니 설기가 신통치가 않다. 그런데 자진(子辰)이 모여 회국(會局)하면 곧 화금위수(化金爲水)이므로 금수상함자(金水相涵者)가 되는 것이다. 이것은 전적으로 자진(子辰)에 의지하니 이것이 상신(相神)이다. 이와 같은 것들은 모두 상신의 긴요한 일이다.
【설명】위 구결에서 소개가 된 명조는 투간회지(透干會支)하여 화금위수(化金爲水)로 변한 별취용신(別取用神)과 변하게 만드는 한 글자 자수(子水)를 별취상신(別取相神)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⑧ 투간회지(透干會支)를 확실하게 설명한 명조 사례
其祿劫之格無財官而用傷食洩其太過亦爲秀氣唯春木秋金用之則貴蓋木逢火則明金生水則靈如張狀元命甲子丙寅甲子丙寅木火通明矣又癸卯庚申庚子庚辰金水相涵也[논건록월겁] 丙 甲 丙 甲 寅 子 寅 子 庚 庚 庚 癸 辰 子 申 卯 |
록겁격에서는 재관(財官)이 없으면 식상(食傷)으로 설기 해야 한다. 그러나 설기(泄氣)가 태과(太過)하면 비록 수기(秀氣)라고는 하지만, 오로지 봄의 목(木) 일주와 가을의 금(金) 일주만 귀하게 될뿐이다. 왜냐하면 목(木)은 화(火)를 만나면 통명(通明)하게 되고, 금(金)은 수(水)를 생하면서 영통(靈通)하게 되기 때문이다.
時 | 日 | 月 | 年 |
丙 | 甲 | 丙 | 甲 |
寅 | 子 | 寅 | 子 |
【설명】장장원(張壯元)의 명조는 인월(寅月) 갑목(甲木)으로 건록격(建祿格)이 분명한데 일단 일간과 월이 동일한 오행은 용신으로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투간회지(透干會支)를 찾아보니 인중(寅中) 병화(丙火)가 투간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병화(丙火) 식신(食神)을 용신으로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별취용신이므로 변격으로 찾은 용신이 되는 것입니다. 고로 장장원 사주는 건록용식상격(祿劫之格用傷食)이면서 식신격(食神格)으로 겸격(兼格)을 말할 수가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목화통명이 되어 귀하게 된 것입니다.
時 | 日 | 月 | 年 |
庚 | 庚 | 庚 | 癸 |
辰 | 子 | 申 | 卯 |
신자진(申子辰)합수(合水)하여 겁재(劫財) 신금(申金)이 화겁위상(化劫爲傷)으로 용신변화를 일으켰습니다. 그러므로 금수상함(金水相涵)을 구성했는데 투간회지(透干會支)하게 만드는 한 글자 진토(辰土)와 자수(子水)가 별취상신(別取相神)이 됩니다.
✓ 화겁위식(劫化爲食), 화겁위상(化劫爲傷) 등의 용어는 용신의 변화를 말하는 내용들입니다. 그래서 그 이외 용신변화에 해당하는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화위인(化爲印): 인수로 변하다
② 화위재(化爲財): 재성으로 변하다.
③ 봉병이화재위관(逢丙而化財爲官): 병화를 만나 재성으로 변해 관이 되다.
④ 화상위재(傷化爲財): 상관이 재성으로 변하다.
⑤ 화겁위식(劫化爲食): 겁재가 식신으로 변하다.
⑥ 화수위목(化水爲木): 수(水)가 목(木)으로 변화하였다.
⑦ 투무즉위식상생재(透戊則爲食傷生財): 무토가 투간하여 식상으로 변하니 곧 식상생재가 되었다
⑧ 화위살(化爲殺): 칠살로 변하다.
⑨ 투병화관(透丙化官): 병화가 투간하여 관성으로 변하다.
⑩ 투임화인(透壬化印): 임수가 투간하여 인수로 변하다.
(6) 자평진전 격국편에서 용신의 변화를 설명한 명조
① 상관격(傷官格)
나장원(羅壯元)의 명조는 신금(辛金)일간이 해월(亥月) 출생이니 상관격(傷官格)이다. 그런데 갑을목(甲乙木)이 투간(透干)하였으니 화상위재(化傷爲財)가 되었다. 상관이 변하여 재성이 되면 크게 뻬어나게 된다. 수(水)가 변하여 목(木)이 되었으니 상관생재하여 유정(有情)하다. 그러니 겨울철이라 해도 물이 변해 목(木)이 되어 있는 사주이므로 얼지 않았다고 말한다.
【예시】나장원의 명조는 화상위재(化傷爲財)가 되어 상관이 재성으로 변했다고 말을 합니다. 용신의 변화는 투간회지(透干會支)가 된 화상위재(化傷爲財) 등으로 많이 표기(表記)를 합니다.
時 | 日 | 月 | 年 |
정인 | 일간 | 편재 | 정재 |
戊 | 辛 | 乙 | 甲 |
子 | 未 | 亥 | 子 |
식신 | 편인 | 상관 | 식신 |
재(財)와 상관(傷官)이 유정(有情)한 것과 상관(傷官)이 재(財)로 변화한 것은 빼어난 수기(秀氣)에 있어서 별 차이가 없다. 예를 들면 진룡도(秦龍圖)의 명조는 화상위재(化傷爲財)이다 기토(己土)와 경금(庚金)이 월령에 같은 뿌리이니 동근(同根)이 되었다
【예시】화상위재(化傷爲財)라 함은 용신(用神)의 변화(變化)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곧 상관(傷官)이 재성(財星)으로 변했다는 말입니다.
時 | 日 | 月 | 年 |
편재 | 일간 | 겁재 | 상관 |
庚 | 丙 | 丁 | 己 |
寅 | 寅 | 丑 | 卯 |
편인 | 편인 | 상관 | 정인 |
만약 겨울의 금(金) 일주가 정관을 쓰는데 상관이 변하여 재가 되었다면 화상위재(化傷爲財)이다. 극히 수기가 빼어나고 극히 귀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정승상(鄭丞相)의 명조가 그렇다.
【예시】정승상 명조는 지지가 회국(會局)하여 용신변화가 발생한 경우입니다 곧 해미(亥未)가 합작(合作)하여 상관(傷官)이 재성(財星)으로 변했다고 말을 합니다. 그런데 해미(亥未)는 왕지(旺地)가 없어 합국(合局)에 우려(憂慮)가 있었는데 다행히도 동방목(東方木)운을 만나게 되면 목국(木局)이 가능해집니다.
時 | 日 | 月 | 年 |
편인 | 일간 | 편인 | 정관 |
己 | 辛 | 己 | 丙 |
亥 | 未 | 亥 | 申 |
상관 | 편인 | 상관 | 겁재 |
그런데 금수상관격이 아니면서도 정관을 보아도 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어떤 경우인가? 장승상(章丞相)의 명조는 화상위재(化傷爲財)가 되어 신금(申金) 상관(傷官)이 변하여 수국(水局)의 재(財)가 된 것이다. 이것은 재왕생관(財旺生官)이 된 것이지 상관견관(傷官見官)이 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예시】장승상의 명조는 기토(己土)일간이 신월(申月)에 출생한 것이므로 상관격(傷官格)이 됩니다. 그런데 임수(壬水)가 투간하고 자수(子水)가 회지(會支)하므로 수국(水局)으로 변했습니다. 이것을 화상위재(化傷爲財)라 하였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상관격(傷官格)에서 정관(正官)을 보아 흉(凶)하다고 말하지 않고 오히려 금(金)이 수(水)로 변해 목(木)을 생조하므로 오히려 재왕생관(財旺生官)이 되어 길해졌다고 말을 하는 것입니다.
時 | 日 | 月 | 年 |
식신 | 일간 | 정재 | 정관 |
辛 | 己 | 壬 | 甲 |
未 | 亥 | 申 | 子 |
비견 | 정재 | 상관 | 편재 |
② 식신격(食神格)
심로분(沈路分)의 명조는 장식노상(藏食露傷)이다. 그런데 식상과 상관이 중첩해서 드러나 있으니 부귀가 크지 못하다.
【예시】심로분(沈路分)의 명조는 식신격(食神格)에서 소개가 되고는 있지만 장식노상(藏食露傷)이라 말을 합니다. 장식노상(藏食露傷)이란 식신(食神)은 감추어져 있는데 상관(傷官)이 노출이 되었다는 뜻입니다. 곧 묘중(卯中)의 을목(乙木)이 숨겨져 있고 갑목(甲木)이 투간했다는 뜻이니 곧 용신(用神)의 변화(變化)를 말하는 것입니다.
時 | 日 | 月 | 年 |
상관 | 일간 | 비견 | 편재 |
甲 | 癸 | 癸 | 丁 |
寅 | 卯 | 卯 | 亥 |
상관 | 식신 | 식신 | 겁재 |
또 다른 예를 들면 공지현의 명조도 장식노상(藏食露傷)이다. 곧 묘중(卯中)의 갑목(甲木) 상관(傷官)이 투출하였다
【예시】이 명조도 식신격에서 소개가 되고 있지만 장식노상(藏食露傷)이라 말을 합니다. 즉 식신(食神)은 숨어 있고 상관(傷官)이 투간했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식신격(食神格)에서 상관격(傷官格)으로 변화를 한 것입니다만,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의 겸격(兼格)으로도 보기도 합니다.
時 | 日 | 月 | 年 |
정재 | 일간 | 편재 | 상관 |
丙 | 癸 | 丁 | 甲 |
辰 | 丑 | 卯 | 午 |
정관 | 편관 | 식신 | 편재 |
③ 인수격
인수(印綬)가 변하여 비겁(比劫)으로 되면 화인위겁(化印爲劫)이다. 곧 인오(寅午)합국이니 인목(寅木) 인수(印綬)를 버리고 재관(財官)을 취한다. 예를 들면 조지부(趙知府)의 명조는 다음과 같다.
【예시】조지부의 명조는 인수격(印綬格)이지만 인오합(寅午合)으로 겁재(劫財)로 변한 것이니 곧 월겁격(月劫格)으로 변한 것입니다. 이것을 화인위겁(化刃爲劫)이라 말을 하는데 용신변화를 뜻합니다.
時 | 日 | 月 | 年 |
정관 | 일간 | 정재 | 비견 |
癸 | 丙 | 庚 | 丙 |
巳 | 午 | 寅 | 午 |
비견 | 겁재 | 편인 | 겁재 |
④ 재격(財格)
겁재와 양인이 너무 많으면 재를 버리고 칠살을 쓴다. 어느 상서(尙書)의 명조를 보면 기재취살(棄財就殺)이다. 변화가 무궁한 명조라고 하겠다.
【예시】병화(丙火)일간이 신월(申月)출생이므로 재격(財格)입니다. 그러나 임수(壬水)가 투간(透干)하고 신진(申辰)합작이 되면 수국(水局)으로 변화를 합니다. 이것은 곧 투간회지(透干會支)한 용신변화를 말하는 것입니다.그러므로 기재취살(棄財就殺)이라 했는데 곧 재성(財星)을 버리고 칠살(七殺)을 취했다는 뜻입니다. 이것은 팔자에서 비겁(比劫)이 태왕(太旺)하고 양인(陽刃)이 강해서 재격(財格)을 취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時 | 日 | 月 | 年 |
편관 | 일간 | 비견 | 비견 |
壬 | 丙 | 丙 | 丙 |
辰 | 午 | 申 | 辰 |
식신 | 겁재 | 편재 | 식신 |
⑤ 정관격(正官格)
김장원의 명조를 보면 다음과 같다. 화관위인(化官爲印)이다. 곧 정관이 변하여 인수가 되었다. 그런데 재성도 투출한 명조이다
【예시】김장원의 명조는 해월(亥月)이므로 정관격(正官格)입니다. 그런데 을목(乙木)이 투간하고 해묘미(亥卯未)삼합이므로 목국(木局)으로 변화를 한 것입니다. 이것을 투간회지(透干會支)로 된 화관위인(化官爲印)라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용신(用神)변화(變化)를 말한 것으로 곧 정관(正官)이 변하여 인수(印綬)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時 | 日 | 月 | 年 |
정재 | 일간 | 비견 | 편인 |
庚 | 丁 | 丁 | 乙 |
戌 | 未 | 亥 | 卯 |
상관 | 식신 | 정관 | 편인 |
⑥ 편관격(偏官格)
유운사(劉運使)의 명조이다. 신강하고 칠살은 약하다면 인수가 있어서 칠살의 기운을 설기하면 살우화인(殺又化印)이 되어 안좋다. 용신이 청(淸)하지 못할 때는 재를 빌려서 격을 맑게 하면 이 역시 귀격이 된다
【예시】유운사(劉運使)의 명조는 해수(亥水)가 칠살격(七殺格)인데 투간회지(透干會支)로 보면 갑을목(甲乙木) 투간이고 지지는 인해합(寅亥合)이 됩니다. 그러면 용신 변화로 인해 인수격(印綬格)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년지(年支)의 신금(申金)이 인신충거(寅申沖去)하여 지지 회합(會合)을 풀었고 천간의 경금(庚金)은 을경합(乙庚合)으로 을목(乙木)을 무력화 시킨 경우입니다. 그러므로 오히려 신금(申金)이 강해졌고 목(木) 인수(印綬)는 약해졌습니다. 그러므로 재성(財星)이 약한 칠살(七殺)을 생조하여 칠살 용신을 강하게 만든 경우입니다. 여기서 살우화인(殺又化印)은 용신변화를 설명하는 용어가 됩니다. 곧 칠살(七殺)이 인수(印綬)로 변화한 것을 말합니다.
時 | 日 | 月 | 年 |
편재 | 일간 | 정인 | 편인 |
庚 | 丙 | 乙 | 甲 |
寅 | 戌 | 亥 | 申 |
편인 | 식신 | 편관 | 편재 |
⑦ 양인격(陽刃格)
무(戊) 일주가 오(午)월에 출생하고 천간에 병정(丙丁)이 모두 투출하고 지지에 화(火)회국과 을목이 되면 양인(陽刃)이 변하여 인수(印綬)가 된다. 곧 화인위인(化刃爲印)이다.
⑧ 건록월겁격(建祿月劫格)
화겁위재(化劫爲財)가 되거나 화겁위생(化劫爲生)이 되면 더욱 빼어나다. 곧 겁재가 재성으로 변화하거나 혹은 겁재가 식신으로 변화면 길하다는 용신변화를 설명하는 장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