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8월 12일 연중 19주간 목요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8,21─19,1
21 그때에 베드로가 예수님께 다가와, “주님, 제 형제가 저에게 죄를 지으면 몇 번이나 용서해 주어야 합니까?
일곱 번까지 해야 합니까?” 하고 물었다.
22 예수님께서 그에게 대답하셨다.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까지라도 용서해야 한다.
23 그러므로 하늘 나라는 자기 종들과 셈을 하려는 어떤 임금에게 비길 수 있다.
24 임금이 셈을 하기 시작하자 만 탈렌트를 빚진 사람 하나가 끌려왔다.
25 그런데 그가 빚을 갚을 길이 없으므로, 주인은 그 종에게 자신과 아내와 자식과
그 밖에 가진 것을 다 팔아서 갚으라고 명령하였다.
26 그러자 그 종이 엎드려 절하며, ‘제발 참아 주십시오. 제가 다 갚겠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27 그 종의 주인은 가엾은 마음이 들어, 그를 놓아주고 부채도 탕감해 주었다.
28 그런데 그 종이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을 빚진 동료 하나를 만났다.
그러자 그를 붙들어 멱살을 잡고 ‘빚진 것을 갚아라.’ 하고 말하였다.
29 그의 동료는 엎드려서, ‘제발 참아 주게. 내가 갚겠네.’ 하고 청하였다.
30 그러나 그는 들어주려고 하지 않았다. 그리고 가서 그 동료가 빚진 것을 다 갚을 때까지 감옥에 가두었다.
31 동료들이 그렇게 벌어진 일을 보고 너무 안타까운 나머지, 주인에게 가서 그 일을 죄다 일렀다.
32 그러자 주인이 그 종을 불러들여 말하였다. ‘이 악한 종아, 네가 청하기에 나는 너에게 빚을 다 탕감해 주었다.
33 내가 너에게 자비를 베푼 것처럼 너도 네 동료에게 자비를 베풀었어야 하지 않느냐?’
34 그러고 나서 화가 난 주인은 그를 고문 형리에게 넘겨 빚진 것을 다 갚게 하였다.
35 너희가 저마다 자기 형제를 마음으로부터 용서하지 않으면, 하늘의 내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그와 같이 하실 것이다.”
19,1 예수님께서는 이 말씀들을 마치시고 갈릴래아를 떠나, 요르단 건너편 유다 지방으로 가셨다.
용서는 하느님의 법에 따라 이웃을 사랑하는 정신
일생을 통해서 누군가를 한 번이라도 진정으로 용서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오늘 베드로는 아주 큰마음을 먹고 당시에 두 번 용서하라는 것을 일곱 번이나 용서하여야 하느냐고 주님께 자랑스럽게 말합니다. 그런데 주님은 열배가 넘는 셀 수 없는 만큼 용서하라고 말씀하시지요. 흔히 '보원이덕'(報怨以德)이란 말씀이 있는데 '원한이 있는 자에게 사랑으로 인덕(人德)을 베풀라'는 말로 ‘원수를 사랑하라.’는 말씀입니다. 주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시어 죽기까지 당신을 십자가에 못 박은 사람들을 용서하시고 하느님 아버지께 용서하여 주시기를 청한 것과 같습니다.
그런데 원수는 고사하고 아주 사소한 것으로 우리는 많은 사람들을 용서하지 못하고 삽니다. 고부간(姑婦間)의 갈등과 형제간의 갈등이나 많은 사람들과의 갈등으로 빚은 것도 우리는 쉽게 용서하지 못하고 그들의 잘못을 참지 못합니다. 용서(容恕)는 서(恕)를 받아들인다는 뜻입니다.
논어의 이인편(里仁編)에 보면 증자는 충(忠)과 서(恕)로 공자의 도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논어 이인편에 있는 말씀입니다.
자왈 : “삼호! 오도일이관지.” 증자왈 : “유.” 자출. 문인문왈 : “하위야?” 증자왈 : 부자지도, 충서이이의.“
子曰:“參乎!吾道一以貫之。”曾子曰:“唯。”子出。門人問曰:“何謂也?”曾子曰:“夫子之道,忠恕而已矣。”
“공자께서, ‘삼(參)아, 나의 도리는 하나로 관통되어 있어.’라고 말하니, 증자(曾子)가 ‘그렇습니다.’라고 답하였다. 공자가 나가자 ‘무슨 말씀이십니까?’ 라고 제자가 물으니 증자가 말하였다. ‘공자님의 도리란 오직 충서일 뿐이야.’ ”
여기에서 ‘충서’를 공자가 직접 말한 것이 아니라 공자가 나간 뒤에 증자가 대신 말했다는 점에 의문이 생깁니다. 공자사상의 일관된 핵심은 ‘인(仁)’인데, 증자는 ‘인(仁)’이라 하지 않고, ‘충서(忠恕)’라고 말했을까? 하는 것입니다.
공자는 논어에서 ‘忠’자를 직접 언급한 적은 없으나, ‘恕’는 자주 보입니다.
“자공(子貢)이, ‘평생 가슴에 새겨두고 실천해야하는 말씀이 있습니까?’라고 물으니, 공자께서 ‘그것은 바로 서(恕)라는 도리이지. 자기가 싫어하는 것을 남에게 강요해서는 안돼요.’라고 말했습니다.” 《논어·위령공(衛靈公)》
공자는 ‘서(恕)’자를 평생 가슴에다 새겨두고 실천하여야하는 덕목으로 보았으며, 인(仁)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남의 입장을 이해하고 행동하여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강자의 위치에 있다고 하여 남이 싫어하는 것을 자기 주관에 따라 강요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이는 다른 말로 하면 <충(忠)과 서(恕)는 하느님에 의해 규정된 질서와 법칙에 대해 자신을 완전하게 비우고 하느님을 섬기는 정신을 忠이라고 하고, 恕는 곧 하느님의 법에 따라 이웃을 사랑하는 정신을 말한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용서의 서(恕)자는 같은(如) 마음(心)의 합성어인 여심(如心)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오늘 주님께서도 ‘자기 형제를 같은 마음으로 용서하지 않으면,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도 우리에게 그와 같이 하실 것이다.’라고 말씀하십니다. 바로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 형제와 하느님과 항상 같은 마음이 되기를 간곡히 바라고 계십니다. 우리가 주님의 마음과 같고, 또한 그 마음으로 세상의 모든 사람들과 같은 마음이 되기를 바라시는 것입니다.
용서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몇 번을 용서했느냐고 아니고 어떻게 용서했느냐가 더 중요한 것 입니다. 먼저 용서하기 위해서 성령의 도우심을 간청해야 합니다. 특히 성령께서 은총을 베푸시어 용서를 청할 수 있게 하여야 하고, 그리고 형제의 용서를 받아줄 수 있는 사랑을 심어 주시기를 간청해야 한답니다. 내가 아무리 용서한다고 하여도 주님의 도우심이 없이는 나는 용서를 시작도 하지 못할 것입니다. 때로는 마귀의 유혹에 빠져서 내가 잘한 것으로 자꾸 생각되어지기 때문에 유혹을 견딜 수 있는 자신의 내적 성찰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주님의 계약 궤가 너희 앞에 서서 요르단을 건널 것이다.>
▥ 여호수아기의 말씀입니다. 3,7-10ㄱㄴㄹ.11.13-17
그 무렵 7 주님께서 여호수아에게 말씀하셨다. “오늘 내가 온 이스라엘이 보는 앞에서 너를 높여 주기 시작하겠다.
그러면 내가 모세와 함께 있어 준 것처럼 너와도 함께 있어 준다는 것을 그들이 알게 될 것이다.
8 너는 계약 궤를 멘 사제들에게, ‘요르단 강 물가에 다다르거든 그 요르단 강에 들어가 서 있어라.’ 하고 명령하여라.”
9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말하였다. “이리 가까이 와서 주 너희 하느님의 말씀을 들어라.”
10 여호수아가 말을 계속하였다. “이제 일어날 이 일로써, 살아 계신 하느님께서 너희 가운데에 계시면서,
가나안족을 너희 앞에서 반드시 쫓아내시리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11 자, 온 땅의 주인이신 분의 계약 궤가 너희 앞에 서서 요르단을 건널 것이다.
13 온 땅의 주인이신 주님의 궤를 멘 사제들의 발바닥이 요르단 강 물에 닿으면,
위에서 내려오던 요르단 강 물이 끊어져 둑처럼 멈추어 설 것이다.”
14 백성이 요르단을 건너려고 자기들의 천막에서 떠날 때에, 계약 궤를 멘 사제들이 백성 앞에 섰다.
15 드디어 궤를 멘 이들이 요르단에 다다랐다. 수확기 내내 강 언덕까지 물이 차 있었는데,
궤를 멘 사제들이 요르단 강 물가에 발을 담그자,
16 위에서 내려오던 물이 멈추어 섰다. 아주 멀리 차르탄 곁에 있는 성읍 아담에 둑이 생겨,
아라바 바다, 곧 ‘소금 바다’로 내려가던 물이 완전히 끊어진 것이다. 그래서 백성은 예리코 맞은쪽으로 건너갔다.
17 주님의 계약 궤를 멘 사제들이 요르단 강 한복판 마른땅에 움직이지 않고 서 있는 동안,
온 이스라엘이 마른땅을 밟고 건너서, 마침내 온 겨레가 다 건너간 것이다.
축일8월 12일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 (Jane Frences de Chantal)
신분 : 설립자, 수녀
활동 연도 : 1572-1641년
같은 이름 : 방지가, 샹딸, 요한나, 잔, 잔느, 쟌, 제인, 조반나, 조안, 조안나, 조한나, 지아나, 지안나, 지오바나, 지오반나, 프란체스카, 후아나
1572년 1월 23일 프랑스 동부 부르고뉴(Bourgogne) 지방 디종(Dijon)에서 귀족 가문의 둘째 딸로 태어난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Joanna Francisca de Chantal)은 18개월 만에 어머니를 여의고 엄격한 가톨릭적 분위기 속에서 아버지로부터 폭 넓은 교육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20세 때에 크리스토프 드 샹탈(Christophe de Chantal) 남작과 결혼한 그녀는 충실한 아내이자 헌신적인 어머니요 검소하고 알뜰한 주부로서 몰락의 위기에 처해 있던 집안을 일으켜 세웠다. 뿐만 아니라 그녀는 성(城)에서 매일미사를 봉헌하는 관례를 만들었고, 다른 성의 신심활동을 도입하여 소개하면서 자선활동도 열심히 하였다. 그들 부부는 6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그 중 둘은 유아 때 사망하였다. 게다가 1601년 남편이 사냥을 나갔다가 불의의 사고로 사망하자 그녀는 네 명의 자녀와 함께 친정으로 돌아와 신앙생활에 전념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시아버지로부터 자신이 살고 있는 몽틀롱(Monthelon)으로 오지 않으면 손자들의 상속권을 박탈하겠다는 위협을 받고 할 수 없이 몽틀롱으로 가서 7년 동안 자녀교육에 힘쓰며 살았다.
1604년 사순시기 동안 친정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디종을 방문한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은 마침 그곳을 방문한 제네바(Geneva)의 주교 성 프란치스코 드 살(Franciscus de Sales, 1월 24일)의 설교를 듣고 대단한 감명을 받아 그의 영적 지도를 청하였다. 처음에 다소 망설이던 주교는 결국 그녀의 간청을 받아들였고 여러 번의 만남을 통해 서로 영성적인 교감을 나누게 되었다. 그 후 그녀는 다시 결혼하지 않을 것과 주교에게 순종할 것을 서원하였다. 디종의 카르멜회 수녀들과 만남을 통해 큰 영향을 받은 그녀는 자신을 하느님께 전적으로 봉헌하고자 원했으나 주교는 좀 더 인내를 갖고 기다리도록 했다.
1607년에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주교는 그녀에게 영성적으로는 성모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방문하였을 때에 드러내었던 덕들을 따르고, 활동적으로는 노인들과 병들고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자선활동을 하는 수도 공동체를 세우려는 자신의 계획을 설명하였다. 이에 뜻을 같이 한 그녀는 주교의 도움으로 자녀들의 장래 문제와 집안의 대소사를 해결한 후 안시(Annecy)로 떠났는데, 그곳은 주교가 새로운 수도회를 세우고 싶어 하던 곳이었다. 1610년 6월 6일 삼위일체 대축일에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주교는 안시 수도원의 축성식을 거행하였다. 그녀와 2명의 동료들이 그 자리에 함께 참석해 주교로부터 정식으로 회칙을 받았으며 이듬 해 그들 모두 수도 서원을 하고 그녀가 원장이 되었다. 이 수도회의 이름과 회헌은 여러 번 바뀌어 오다가 마침내 ‘성 마리아 방문 수도회’를 공식 명칭으로 확정하였다. 이 수도회는 1612년 1월부터 병자방문을 시작하여 사람들로부터 칭찬과 경탄을 불러일으켰다. 이듬해 그녀는 시아버지의 사망과 함께 많은 재산을 상속받은 후 더욱 영성적인 성숙에 힘쓰며 수도회의 새로운 분원 설립에 주력하였다.
1614년 리옹(Lyon)에 새로운 수도원을 설립하면서 많은 난관을 겪기도 했지만 그 모든 시련에도 불구하고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은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주교의 도움을 받아 수도원을 급속히 확장해 나갔고 많은 여성들이 입회하였다. 이러한 성공적인 확장은 육체적인 고행보다는 겸손과 온화함을 강조한 주교의 가르침과 그녀의 신중함과 헌신 덕분이었다. 1619년에 그녀는 파리(Paris) 분원을 설립하면서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Vincentius a Paulus, 9월 27일)를 만나게 되었는데,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는 성 마리아 방문 수도회의 초기 정신과 활동 방향을 옹호하였을 뿐만 아니라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주교가 사망한 후에는 그녀의 영적 지도자가 되어 주었다.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주교가 사망하던 1622년 당시 성 마리아 방문 수도회의 분원은 13개였고, 프랑스 전역으로 확장되어 그녀가 사망할 당시 약 86개의 분원이 있었다.
그녀는 수도회 내적, 외적인 시련을 견디어 내면서 계속해서 분원을 설립하기 위해 거처를 옮겨 가며 생활하였다. 1628년 흑사병으로 많은 수도자들이 사망한 후 안시 수도원으로 돌아온 그녀는 다시금 장상을 역임하다가 1641년 마지막으로 파리에 가서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를 만나고 돌아온 후 느베르(Nevers)에서 병을 얻었다. 결국 물랭(Moulins)의 분원에서 몸져누운 그녀는 1641년 12월 13일에 그 수도원에서 선종하였다. 그녀의 시신은 안시로 옮겨져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주교의 무덤 곁에 묻혔다. 그녀는 1751년 11월 21일 교황 베네딕투스 14세(Benedictus XIV)에 의해 시복되었고, 1767년 7월 16일 교황 클레멘스 13세(Clemens XIII)에 의해 시성되어 1769년부터 로마 전례력에 포함되었다. 그녀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주교가 쓴 “신심생활 입문”(The Introduction to the Devout Life)에 잘 나타나 있다.
2001년 12월 18일 교황청 경신성사성의 교령에 의해 성녀 축일의 전례적 기념일이 12월 12일에서 8월 12일로 변경되었다. 그 이유는 1999년 3월 25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가 라틴아메리카의 수호자로 선포한 ‘과달루페(Guadalupe) 성모 축일’과 같은 날이어서 전례적인 기념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었다. 이런 이유로 미국에서는 그녀의 축일을 8월 18일로 변경하여 기념하고 있다.
오늘 축일을 맞은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 자매들에게 주님의 축복이 가득하시길 기도합니다.
야고보 아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