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三日修心 千載寶 (삼일수심 천재보)
소년은 15살 이었습니다. 하루는 마을 근처에 있는 절에 놀러 갔습니다.
거기서 동자승을 만났습니다. 동자승은 그에게 명구(名句) 하나를 읊었습니다.
“삼일수심(三日修心)은 천재보(千載寶)요,
백년탐물(百年貪物)은 일조진(一朝塵)이다.”
뜻을 풀면 이렇습니다.
사흘 닦은 마음은 천년의 보배요, 백년 탐한 재물은 하루 아침의 티끌이다.
소년은 상당히 조숙했었나 봅니다. 그는 이 말에 큰 충격을 받았고,
큰 감동도 받았으며, 자신이 갈 길이 바로 이 길임을 직감했습니다.
소년은 그 길로 몰래 집을 나와 출가를 하는데, 15살 소년의 자발적 출가였습니다.
그 소년이 누구냐고요? 불교계에서 강백(講伯)으로 이름이 높은 무비(無比) 스님입니다.
15살 소년은 이제 79살의 노승이 되었지요.잠시 카톨릭으로 모시고 가겠습니다.
예전에 카톨릭에서 주관한 '죽음체험 피정'을 취재한 적이 있었습니다.
줄지어 선 참석자들은 자기 차례가 되자 관 속에 들어가 누웠습니다.
잠시 후 관 뚜껑이 닫히고 그 속에서 5분 가량 있다가 다시 나왔습니다.
그런데 관에서 나온 사람마다 눈물을 뚝뚝 흘렸습니다.
그걸 쭉 지켜보던 저는 궁금해졌습니다.
저들은 무엇을 본 것일까? 저들은 왜 눈물을 흘리는 걸까?
저는 취재수첩과 카메라를 잠시 내려놓고 줄을 섰지요. 제 차례가 왔고,
저도 관 속으로 들어가 누웠는데 곧이어 관 뚜껑이 닫혔습니다
관 뚜껑과 관, 그 사이로 실처럼 가느다란 빛이 들어왔기에 아주 캄캄한 어둠은
아니라고 생각하는 순간, 관 뚜껑 위로 천이 덮였습니다.
그러자 빛이 하나도 없는 완전한 어둠 속에 제가 누워 있었습니다.
'아~, 여기가 무덤이구나!'
공간은 철저하게 분리돼 있었고, 관 속과 관 바깥은 달라도 아주 달랐습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생각이
“관 바깥 세상에 있는 어떠한 것도 이 안으로 가지고 올 수가 없구나.”
관 바깥에는 많은 것들이 있지요. 나의 가족, 나의 친구, 내가 하는 일,
내가 늘 보고 읽는 책, 내가 아끼는 이런저런 물건들.
그러나 그 어떤 사람도, 그 어떤 물건도 관 속으로 가지고 들어올 순 없는 것이었습니다
“그럼 무엇이 남는 걸까? 관 속에 누워있는 나에게 남아있는 것은 대체 무엇일까?”
이 물음이 저절로 떠올랐습니다. 그때 비로소 알겠더군요.
“아! 마음이구나. 죽어서 관 속에 누운 나에게 남는 것은 마음이고,
이 관 속으로 가지고 들어올 수 있는 것도 마음 뿐이구나!
그럼 어떻게 살아야 하는거지? 잘 살아야지, 마음을 잘 가꾸며 살아야지.”
무비 스님의 출가담을 들으면서, 저는 관 속에 누웠던
'죽음체험 피정'이 떠올라서 몇 자 올려 봤습니다.
사흘 닦은 마음이 천년의 보배라고 했습니다.
저는 그 구절에 무척 공감이 갔습니다. 왜냐고요?
죽은 뒤에 내가 가져가는 건 마음 뿐이라는 걸 절감했으니까요.
아무리 빛나는 보석과 좋은 자동차도, 좋은 집도 가지고 갈 수가 없다는
것을 알았고, 오직 하나 나의 마음만 가지고 갈 뿐이라는 걸 알았습니다.
그리고 무비 스님에게 이런 질문을 던진 적이 있었습니다.
“불교는 마음 닦는 종교, 즉 깨달음의 종교라고 말하는데,
깨닫기 前과 깨달은 後는 무엇이 달라질까요?”
무비 스님은 이렇게 답했습니다.
“달라지는 건 없다. 다만 인간의 삶에서 맛봐야 하는 굉장한 기쁨,
엄청난 절망, 잊지 못할 고통 앞에서는 그 차이가 확 달라진다.”
어떻게 달라지는지 다시 여쭈었습니다.
“도인일수록 폼 잡지 않는다. 정말 명경지수(明鏡止水,
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의 마음을 가진 도인은 더 인간적이다.
더 슬퍼하고, 더 기뻐하지만, 그 슬픔과 기쁨에 젖지 않을 뿐이고,
기뻐하되 기쁨에 물들지 않고, 절망하되 절망에 물들지 않는다.
물론 불의를 보면 분노한다. 그런데 그 분노에 물들지 않는다.
그러면 어찌 되겠나.
슬픔과 고통과 절망 속에 있어도 '나[我]'가 상(傷)하는 일이 없다.”
'그런 삶은 어떤 삶일까?'를 다시 여쭈었습니다.
가뿐한 삶이 된다고 하셨습니다. 살기가 아주 수월한 삶이 되며,
삶도 가뿐하고 죽음까지도 가뿐하게 느껴진다고 하셨습니다.
생사 해탈이 대단한 것이 아니며, 그게 바로 생사 해탈이라고 하셨습니다.
“삶이 뭔가?
인연따라 세상에 관광 왔다가 돌아갈 시간이 되면 당연히 돌아가는 것이다.”
무비 스님은 자신이 입적할 때 다비식도 않겠다고 했습니다.
괜히 산 사람들 번거롭게 한다는 이유였습니다. 몸은 그동안 입었던 옷이니
그냥 벗으면 된다고 했습니다. 이미 시신기증 서약까지 해 놓았다고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무비 스님에게 '가뿐한 삶', '물들지 않는 삶'에 대해 여쭈었습니다.
무비 스님은 바둑에 빗대서 答을 내려주셨습니다.
“하수들이 바둑을 둘 때 고수의 눈에는 다 보인다.
어디에 두면 죽고, 어디에 두면 사는지 말이다.”
곧 죽을 자리인데도 돌을 놓는 것이 빤히 보인다는 말씀이시다.
사람들은 자기 바둑을 둘 때는 수를 놓칠 때가 많지만, 반면에 남의 바둑에
훈수를 둘 때는 수가 잘 보인다.
훈수 둘 때는 2급 이상 바둑 실력이 더 높아진다고 하지 않던가.
왜 그렇겠나. 바둑에 '나(我)'가 없기 때문이다. 삶도 마찬가지다.
삶에 '我'가 없으면 지혜가 생기고, 그래서 인생에서도 고수(高手)가 되는 것이다.
사흘 닦은 마음은 천년의 보배라고 했는데, 무비 스님은 그런 마음을
어떤 식으로 닦아야 하는지 중요한 힌트를 주셨습니다.
남의 바둑에 훈수 두듯이, 한 발 뚝 떨어져서 나의 바둑을 바라보는 여유와
거기서 나오는 지혜로 나의 바둑을 풀어가면 된다고 하셨습니다.
그렇게 한 발짝 또 한 발짝 가다 보면 우리의 삶도 가뿐해지고,
수월해질 것이며, 물들지 않는 삶이 되지 않을까?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말입니다.
- 중앙일보 백성호 종교전문 기자-
첫댓글 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합장.
나무 아미타불 관세음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