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MI의 경쟁력 ①현존 I/F중 가장 많은 전송량으로 우위성 확보 *'HDMI 2.2(96Gbps) Vs GPMI Type-B/C(192/96Gbps)’→GPMI 우위 *'USB-C(USB4 v2.0·Thunderbolt 5/80Gbps) Vs GPMI Type-C(96Gbps)'→GPMI 우위 *'DisplayPort 2.1(80Gbps) Vs GPMI Type-B/C(192/96Gbps)’→GPMI 우위 GPMI Type-B는, HDMI 2.2(96Gbps)에 비해 2배, USB-C(USB4 v2.0·Thunderbolt 5/80&120Gbps)에 비해서는 2.4배 & 1.6배, DisplayPort 2.1(80Gbps)에 비해서는 2.4배나 많은 전송량을 보낼 수 있다. 특히 2~3년 후 상용화가 예상되는 HDMI 2.2의 성능을 빠르면 2026년부터 GPMI를 통해 경험할 수도 있다. ②유동적인 프로토콜(코딩체계) GPMI의 코딩체계(프로토콜)는, 기존 인터페이스와의 호환성을 위해 HDMI, DisplayPort, USB-C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토콜(코딩체계)을 '캡슐화(encapsulate)'하거나 '터널링(tunnel)' 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 HDMI/DP/USB-C랑 동일한 성능으로 호환성을 가져갈 수 있다. ③유동적인 Lane 수 총 8Lane을 사용하는 GPMI Type-B는, HDMI, DisplayPor(DP)에서 사용하는 Lane수 만큼만 사용하여 호환성을 유지한다. 즉, GPMI Type-B가, HDMI 2.2로 연동할 때는, 총 8Lane 중 HDMI 2.2의 4Lane만 사용하여(Lane당 24Gbps)하여 96Gbps의 전송량과 함께 코팅 체계를 HDMI 2.2에서 사용하는 '16b/18b'를 사용하여 HDMI 2.2의 성능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GPMI Type-B가, DP 2.1로 연동할 때는, 총 8Lane중 DP 2.1의 4Lane만 사용하여(Lane당 20Gbps) 80Gbps의 전송량과 함께 코팅 체계를 DP 2.1에서 사용하는 '128b/132b'를 사용하여 DP 2.1의 성능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GPMI Type-C가 USB-C(USB4 v2.0/Thunderbolt 5)로 연동할 때는, 2Lane & 3Lane을 사용하여(Lane당 40Gbps), 80 & 120Gbps를 전송하여 전송량과 함께 코팅 체계를 USB-C에서 사용하는 '128b/132b'를 사용하여 USB-C(USB4 v2.0/Thunderbolt 5)의 성능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④기존 I/F와 모두 호환 결국 GPMI의 유동적인 Lane수와 프로토콜(코딩체계)는, 기존 I/F와 완벽하게 호환하여, 시장지배력을 빠르게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⑤GPMI만의 차별성(HDMI 2.2/DP 2.1 대비) *GPMI는 케이블 컨넥터 방향이 USB-C처럼 방향성이 없어, 케이블 꼽기가 편리하다. *최고의 충전(480W) 전원을 제공한다. ▶GPMI의 한계 GPMI의 한계는 이제 막 시작하여 시장 지배력이 없다는 점과 중국 내수용 규격이 최대 약점이다. 그렇지만, USB-C랑 호환되는 GPMI Type-C가 국제 USB 개발자 포럼(USB-IF)으로부터 인증을 받았다는 점에서, GPMI Type-C가, TV나 모니터, 모바일 기기, 재생기(PC) 등에 적용되어 출시가 된다면, 2~3년 후에나 상용화가 될 것으로 보이는 HDMI 2.2를 완전히 무력화 시킬 수도 있다고 본다. 특히 중국 업체들이 TV나 모니터, 모바일 기기, 재생기(PC)의 세계시장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제품들에 GPMI를 내장해서 해외 시장에 출시를 한다면, 그 파장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즉, ICT기기의 특성상 기존 기기의 수명이 길지 않다는 점에서, 새로운 기기에 GPMI가 적용된다면, 가장 빠른 속도로 기존 I/F시장을 장악할 수도 있다고 본다.
GPMI의 또 다른 한계성은 사용 Pin수가 40여개나 되어 선이 40가닥이나 들어가야 하고, Lane당 20Gbps이상을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선의 품질이 상당히 좋아야 하는데, 이는 케이블 원가로 이어지고(5만원 이강), 상황에 따라서는 3m이상은 전송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그렇지만 제일 중요한 변수는, 중국을 제외한 제조사들이 중국을 꺼려하고나, GPMI에 대한 적용을 꺼려할 것으로 보여, GPMI가 확산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위에서 지적한 GPMI의 경쟁력을, 중국을 제외한 제조사들이 무한정 꺼리는 것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3~4년 뒤에는 GPMI가 I/F시장을 장악할 수도 있다고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