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내용을 삭제하지 마세요!! (아래 선 아래에 글을 올리세요!!)----------------------------------------
"홍보에 아주 재질이 있으시네" 대통령도 못말린 홍보의 귀재... 누구?? I K-제조업 기업현장 간담회
2025. 9. 3. #이재명 #제조업 #간담회
https://www.youtube.com/watch?v=3MK4-vPRE7U
첫댓글 정부는 앞으로 저런 강소기업들을 더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필요한 부분을 적극 지원하여야 합니다꼭 필요하지만 개별기업의 힘만으로는 못하는부분을 정부는 정부연구단체나 관련기업간공동연구 등으로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중재연계협업 등을 지원하고요.
특히 소재부분과 첨단부품, 장비까지도...의약품 개발까지도 자립을 이루길 바랍니다.그러기 위해서 정부는산업부지, 기술융합, 시장개척, 세제 등 다방면으로 지원하고특히 대기업들의 중소기업 기술 훔치기나과도한 단가 후려치기를 못하도록법적,제도적 장치 마련과 감독을 철저히 하고필요하다면 정부가 나서서 중재도 하기를...
미국의 날강도같은 관세정책 압박에 쉽게 넘어가서는 절대로 안됩니다.그리고 앞으로 정부경제정책 관리 방향을GDP 중심 관리에서 벗어나 내수경제의 내실 다지기와 자국내 생산을 늘리는 쪽으로 빨리 수정했으면 합니다GDP는 경제지표 중 하나일 뿐이지절대적으로 관리해야만 하는 지표가 아닙니다차라리 국민실소득 지표가 관리 목표가 되어야죠
지금은 후진국 시절 외화획득을 위한 수출위주의 경제를 운영할 단계는 진즉 지났다고 봅니다외환위기...는 다양한 헷지전략을 쓰면됩니다금융권 단기 외환자금 유동성만 잘 관리하면...금도 있고, 위완화,루블화, 엔화 등의 분산 조달...주요국과의 통화스왑도 있고요
앞으로는 국내생산설비 투자와 국내에서 생산해 수출하는 기업에게혜택을 더 주어야합니다.국내에서 고용하고, 생산하니 근로소득과전후방 산업연관효과와 법인세 납부 등국가에 기여하는 역할이 훨씬 크니까요원할하고 저렴한 물류이동을 위한 해운업 관리와 지원은 중요하겠죠
해외에서 생산해서 팔고, 현지 사람들 고용하면모든 법인세, 근로소득이 그 나라로 갑니다.해외 현지투자는 각 나라의시장규모, 물류비,관세,법인세 등을 고려하여그냥 기업별 자체 투자전략을 사용하게 하면된다고 봅니다.수익이 안되면 기업은 투자나 장사를 안하겠죠정부는 해당 국가별로 조세 부과나 정책지원 등 유리한 투자환경 조성을 위해외교력만 잘 발휘하면 됩니다.
미국이 우리나라 반도체 등 첨단소재나 제품,제조기술이 꼭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과도한 관세 압박과 생산시설 이전을 압박, 강요하고 있는데,,,그럼에도 불구하고정권교체로 인한 미국시장 환경변화 등장기적인 관점에서라도 미국내 투자를진행해야한다면기업이 시기와 투자규모를 조절하고,현지 가격정책을 효과적으로 쓰면서장기적으로 대응해가면 될 것입니다.이부분에 애로가 발생한 경우정부외교력이 잘 뒷받침되면 좋겠지요
한국은 세계 최대의 FTA중심국가입니다.즉 국내 수출기업들에겐 최고의 환경이라는 의미도 됩니다미국과 북미,남미시장을 어떻게 재규정할 것이냐는 문제를 제외하고는이번 기회에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해 국내생산을 더 늘릴수 있는 기회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제조업 생산자동화율도 이미 세계 최고 수준으로 임금문제도어느정도 회피하고 있습니다물류비와 현지 인건비를 고려해해외현지 법인 설비투자를 하고 있지만세계 최대시장이 이미 아시아에 있으니AI를 활용한 물류시시템 전략을 잘 구사하면어느 정도 극복될 것입니다
물류비용 절감은AI 물류시스템을 더 발전시키며 활용하고, 필요하다면 조선업과 연계하여해운사를 준공공으로 운영 한다던지, 다국적 해운사들과 연계하는 운용전략을 잘 짜면 해결이 가능할 것도 같은데...해운업도 국내SOC사업처럼국가기간산업으로 적극 육성해야...
한국의 이런 FTA체결과 국제무역에서 쌓은 경험과 노하우는향후 북한경제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수도 있으니남북은 서로 민족의 빛나는 미래를 위해 담대하고 통크게 협력해 나가길 소망합니다 🙏
첫댓글
정부는 앞으로 저런 강소기업들을
더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필요한 부분을
적극 지원하여야 합니다
꼭 필요하지만 개별기업의 힘만으로는 못하는
부분을 정부는 정부연구단체나 관련기업간
공동연구 등으로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중재
연계협업 등을 지원하고요.
특히 소재부분과 첨단부품, 장비까지도...
의약품 개발까지도 자립을 이루길 바랍니다.
그러기 위해서 정부는
산업부지, 기술융합, 시장개척, 세제 등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특히 대기업들의 중소기업 기술 훔치기나
과도한 단가 후려치기를 못하도록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과 감독을 철저히 하고
필요하다면 정부가 나서서 중재도 하기를...
미국의 날강도같은 관세정책 압박에
쉽게 넘어가서는 절대로 안됩니다.
그리고 앞으로 정부경제정책 관리 방향을
GDP 중심 관리에서 벗어나
내수경제의 내실 다지기와 자국내 생산을 늘리는
쪽으로 빨리 수정했으면 합니다
GDP는 경제지표 중 하나일 뿐이지
절대적으로 관리해야만 하는 지표가 아닙니다
차라리 국민실소득 지표가 관리 목표가 되어야죠
지금은 후진국 시절 외화획득을 위한
수출위주의 경제를 운영할 단계는
진즉 지났다고 봅니다
외환위기...는 다양한 헷지전략을 쓰면됩니다
금융권 단기 외환자금 유동성만 잘 관리하면...
금도 있고, 위완화,루블화, 엔화 등의 분산 조달...
주요국과의 통화스왑도 있고요
앞으로는 국내생산설비 투자와
국내에서 생산해 수출하는 기업에게
혜택을 더 주어야합니다.
국내에서 고용하고, 생산하니 근로소득과
전후방 산업연관효과와 법인세 납부 등
국가에 기여하는 역할이 훨씬 크니까요
원할하고 저렴한 물류이동을 위한
해운업 관리와 지원은 중요하겠죠
해외에서 생산해서 팔고, 현지 사람들 고용하면
모든 법인세, 근로소득이 그 나라로 갑니다.
해외 현지투자는 각 나라의
시장규모, 물류비,관세,법인세 등을 고려하여
그냥 기업별 자체 투자전략을 사용하게 하면
된다고 봅니다.
수익이 안되면 기업은 투자나 장사를 안하겠죠
정부는 해당 국가별로 조세 부과나
정책지원 등 유리한 투자환경 조성을 위해
외교력만 잘 발휘하면 됩니다.
미국이
우리나라 반도체 등 첨단소재나 제품,
제조기술이 꼭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과도한 관세 압박과 생산시설 이전을
압박, 강요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권교체로 인한 미국시장 환경변화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라도 미국내 투자를
진행해야한다면
기업이 시기와 투자규모를 조절하고,
현지 가격정책을 효과적으로 쓰면서
장기적으로 대응해가면 될 것입니다.
이부분에 애로가 발생한 경우
정부외교력이 잘 뒷받침되면 좋겠지요
한국은 세계 최대의 FTA중심국가입니다.
즉 국내 수출기업들에겐 최고의 환경이라는
의미도 됩니다
미국과 북미,남미시장을 어떻게
재규정할 것이냐는 문제를 제외하고는
이번 기회에 수출시장 다변화를 위해
국내생산을 더 늘릴수 있는 기회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조업 생산자동화율도
이미 세계 최고 수준으로 임금문제도
어느정도 회피하고 있습니다
물류비와 현지 인건비를 고려해
해외현지 법인 설비투자를 하고 있지만
세계 최대시장이 이미 아시아에 있으니
AI를 활용한 물류시시템 전략을 잘 구사하면
어느 정도 극복될 것입니다
물류비용 절감은
AI 물류시스템을 더 발전시키며 활용하고,
필요하다면 조선업과 연계하여
해운사를 준공공으로 운영 한다던지,
다국적 해운사들과 연계하는 운용전략을
잘 짜면 해결이 가능할 것도 같은데...
해운업도 국내SOC사업처럼
국가기간산업으로 적극 육성해야...
한국의 이런 FTA체결과
국제무역에서 쌓은 경험과 노하우는
향후
북한경제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수도 있으니
남북은 서로 민족의 빛나는 미래를 위해
담대하고 통크게 협력해 나가길 소망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