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염은 완치가 없다고 해서 엄청 고민하고 있었어요 어제 다른 데서 본 글인데 너무 좋아서 공유합니다 (허락은 받았어요)
----------------------------------------------------------------------------------------------------------------------------
안녕하세요 저는 28살에 4kg의 우량아 아들을 낳고 6년 동안 키우고 있는 평범한 30대 여자에요 저는 딱히 무릎을 많이 사용하거나 무리한 운동을 하지는 않았는데요.. 대신 하루 종일 앉아서 하는 일을 하고 있어요
출산 전에는 그래도 가끔 등산도 하고 별다른 탈 없이 지내고 있었는데 6년 전에 아이를 낳고나서 찌릿하는 무릎 통증을 처음 느꼈어요
무릎이야 누구나 아플 수 있는거니까... 그냥 별다른 생각없이 넘겼었는데요 카페에 검색해봐도 시간 지나면 좋아진다는 말도 많았구요
찌릿한 통증이 시큰시큰 욱신 거리는 통증으로 바뀌더니 없어지지를 않더라구요
냉찜질로 버티다가 도저히 안되서 병원에 가게 되었는데... 28살에 퇴행성 관절염 1기 진단을 받았어요 ㅠㅠㅠ
관절염이 너무 빨리 왔다고 관리 안하면 인공관절 수술해야한다는데 덜컥 겁이 났고.. 인공관절의 수명도 15년 정도라고 하니까... 막막하더라구요
아직 무릎을 써야할 날은 너무나 많이 남았고 누구나 그렇겠지만 솔직한 마음으로는 수술 하기가 너무 싫었어요
저희 할머니가 인공관절 수술을 하셔서 병문안을 갔던 기억이 있는데 수술 후에 그 무릎을 꺾는? 치료를 할 때 비명을 너무 지르셔서 ㅠㅠㅠㅠ 그게 약간 아직도 머리 속에 트라우마로 남아 있었나봐요
그래서 6년 동안 무릎에 좋다는 건 다해본거 같아요 이 치료는 도대체 왜하는지? 무슨 효과가 있는지 하나하나 알아보고 따져보고 하다보니 부끄럽지만 무릎 준전문가 다 되었어요 ㅎㅎ
저처럼 퇴행성관절염 때문에 힘들어하고 계신 분들이 정말 많네요 혹시 조금만 시간내서 글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수도 있을꺼 같아요
제가 해봤을 때 효과 있었던 치료, 효과 없었던 치료와 현재 무릎 상태에 대해서 간단히 공유해보도록 할께요
1. 연골주사
퇴행성관절염 진단을 받으면 보험으로 주사를 맞을 수 있어요 그래서 한 번 맞아봤는데요
맞고 나서는 확실히 편해지더라구요 연골주사로 쓰이는 물질이 히알루로산과 콘쥬란인데요 히알루론산은 관절 사이를 부드럽게 해주는 효과가 있고, 콘쥬란은 연골 재생효과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6개월 간격으로 3번 정도 맞았는데, 연골 재생효과는 솔직히 잘 모르겠어요.. 사진상으로는 똑같았거든요 그래도 맞고나면 몆 주간은 편해져서 통증 심하신 분들은 주사 맞는거는 추천이에요 부작용도 거의 없다고 하더라구요
2. 관절영양제
관절영양제로 쓰이는 대표적인 성분은 콘드로이친과 글루코사민인데요 제 입장에서는 이게 정말 애매했어요;;; 일단 가격부터가 엄청 비싸서 효과가 있으면 당연히 먹겠지만 이 돈주고 샀는데 효과가 없다면??? 이라는 고민을 안할 수가 없더라구요
저는 나름 석사를 했어서 논문에 익숙한 편이라.... 논문을 정말 많이 찾아봤는데 말이 다 달라요 ..ㅎㅎ 퇴행성관절염 환자에 대한 치료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는 논문도 있고 오히려 위약(가짜약, 밀가루약)을 먹었을 때 통증 감소 효과가 더 좋았다는 논문도 있어서 ㅎㅎㅎ
저는 콘드로이친 성분이 들어간 영양제를 6개월 정도 먹다가 안먹었어요 영양제 광고에서 말하는 드라마틱한 효과는 없더라구요 ㅠㅠ
3. 운동
보통 무릎 때문에 병원가면 많이 하는 말 있잖아요 허벅지 근력 운동하세요! 무릎 펴는 운동하면 좋다. 많이 걸으면 좋다 등등 이런 말들 진짜 조심하셔야 해요 (경험담이에요)
제가 의사쌤 조언이랑 물리치료실장님 조언 + 제가 알아본 것 정리해서 말씀드려볼께요 무작정 무릎 펴는 운동하면 무릎 아작나요 정말....
무릎을 펴는 근육은 대퇴사두근이라는 근육인데요 근육이 네개로 이루어져 있어 대퇴사두근이라고 부르는데, 좀 더 큰 범위로 나누자면 안쪽과 바깥쪽 이렇게 두 부위로 나눌 수 있어요
바깥쪽은 외측광근,중간광근, 대퇴직근으로 이루어져있고 안쪽은 내측광근(내측빗근)으로 이루어져있어요
이 바깥쪽과 안쪽의 균형이 중요한데 퇴행성관절염 포함 무릎 문제 있으신 분들은 99% 확률로 이 둘 사이의 균형이 깨져있어요 (무릎에서 딱딱소리나면 깨져있다고 보시면 돼요)
보통은 바깥쪽의 근육은 과하게 사용되고 안쪽은 약해지는게 일반적이에요
근데 이 상태에서 무조건 다리를 펴는 운동을 한다?? 바깥쪽은 더 쓰고 안쪽은 못써서 균형이 더 무너져요 ㅠㅠ 무릎 상태를 더 악화시킬 수 있어요....
이렇게 균형이 깨진 상태로 걷거나 뛰는 것도 마찬가지구요
그래서 초기 운동은 무릎 아래에 동그랗게 돌돌 말아준 수건을 넣고 부드럽게 무릎으로 수건을 누르는 느낌으로 다리를 펴는 운동부터 시작하는게 좋아요 이 방법이 안쪽 대퇴사두근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에요 (Q-setting)
4. 무릎보호대
무릎보호대 장기간 차면 안좋다는거 다들 아시죠? 저는 몰랐어요... 차면 안아프니까 그냥 평소에도 계속 차고 다녔어요 한 3개월 정도 차니까 무릎보호대 풀면 바로 통증 더 심해지더라구요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무릎보호대는 격하게 움직일때만 하는게 좋았더라구요 계속 차고 있으면 무릎근육이 할 일을 보호대가 대신해주기 때문에 오히려 근육을 약하게 만들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지금은 그래서 무릎보호대는 안하고 있어요
5.고관절 안정밴드
앞에서 운동 설명드릴 때 대퇴사두근 안쪽과 바깥쪽 균형이 무너지는 것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는데요 고관절에 대한 접근은 균형이 무너지는 원인에 대한 접근이에요
저는 하루종일 앉아서 일하기 때문에 가만히 있는 시간이 많은데요 이러한 습관들이 엉덩이 근육을 약화시켜 고관절을 불안정하게 만든다고 치료실장님이 말씀하시더라구요
대퇴사두근 근육 중 대퇴직근이라는 근육은 고관절과 무릎관절에 모두 관여하는 다관절 근육이에요
고관절이 불안정해진다면, 무릎을 보호해야할 대퇴직근이 고관절을 움직일 때까지 쓰이면서, 과하게 사용돼요 많이 사용된 근육은 짧아지고, 근육이 짧아지면서 무릎 관절사이의 압박력이 올라가요
압박력이 올라간 상태로 시간이 지나면 퇴행성관절염으로 진행돼요 ..
이게 제가 파악한 20대에 관절염이 생기는 원인이에요 (요즘 많더라구요)
때문에 무릎 문제를 해결하려면 고관절을 안정시켜야 해요! 이게 정말 중요한데 다들 놓치고 계시더라구요
고관절이 안정된 상태여야 무릎 운동이든 걷기 운동이든 의미가 생겨요
고관절을 안정시킬 수 있는 제일 좋은 방법은 엉덩이 근육 운동이에요 근데 제가 운동치료하면서 Clam shell 이란 운동을 해봤는데 생각보다 디테일한 부분이 많더라구요 ... 혼자하기는 쉽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치료실장님이 추천해주신게 고관절 안정밴드에요
약해진 코어와 고관절을 보조할 수 있게 만든 밴드인데 애 보느라 운동할 시간이 없던 저는 밴드를 할 수 밖에 없었어요...
효과는 제일 좋았어요
평소에 움직이면 무릎에 무게가 많이 실리는 느낌이 있었는데 밴드를 하고 움직이면 누가 무릎을 들어주는 것같이 가벼워지는 느낌?
이거 하고 움직일 때가 통증이 제일 많이 줄었어요
저는 또 논문을 찾아봤죠...ㅎㅎ (변태인거 같아요)
고관절 안정화가 무릎 통증을 줄여준다는 논문은 정말 너무 많아서 셀 수가 없었구요
고관절 안정화가 힘든 경우에는 보조기를 사용하라는 논문도 많았어요
혹시 무릎 아플 때 무릎만 치료하고 계셨던 분들 있으시면 고관절 안정밴드는 진짜 추천이에요
꼭 코어랑 고관절 같이 잡아주는거 쓰셔야 하구요 (고관절에만 걸쳐지는건 큰 의미없음)
간단히 쓰려고 했는데 글이 너무 길어졌네요 ㅎㅎ 이제 안아파서 너무 좋았나봐요
엊그제 병원 다녀왔는데 관절염은 아직 1기 유지중이고, 통증도 많이 줄었어요 이렇게 계속 관리해주면 될 꺼 같다는 희망을 보고 왔네요
이미 너무 관절염 진행이 많이 되어서 수술이 불가피한 경우도 물론 있겠지만 ㅠㅠ 관절염은 증상보다는 원인에 대한 접근을 할 때 효과가 더 좋은거 같아요
관절염은 말그대로 증상이고,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은 따로 있으니까요 저 같은 경우는 너무 안움직여서, 고관절이 불안정해진게 원인이었어요
저를 포함해서 무릎 아프신 분들 앞으로도 무릎관리 잘하셔서 오랫동안 건강하게 걷고 뛰고 하면서 지낼 수 있기를 응원해요
|
첫댓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정말 감사합니다 정독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