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먼 옛날 가난한 사찰에서
유명한 노(老)스님이 중병을 앓고 있었다.
기력이 점점 쇠약해져 일어나 앉을 수도 없는데 가난한 절 살림이라서
보약 한 첩 못 쓰고 모두 안타까워하고 있었다.
하루는 젊은 공양주 스님이 호미와 바가지를 들고 나갔다 와서
노스님께 국을 끓여 드렸는데 그날은 식사를 잘 하시었다.
젊은 스님은 매일 같은 국을 끓여 드렸고 스님은 원기를
차츰 회복하시어 한 달 만에 완쾌되셨다.
하도 신기하여 도반들이 무슨 국을 끓여 드렸기에 스님이 회복 되였느냐? 고 물었다.
공양주 스님이 토룡탕(지렁이)이라고 말하자 스님들이 깜짝 놀랐다.
"아니! 살생을 하지말라는 것를 첫 번째 계율로 받은 스님이 계율을 어겼으니 큰일 났다"
이제는 파계승이 됐으니 절을 떠나야 한다고들 야단이다.
젊은 공양주 스님이 내 생각은 다르다며 말했다.
"나는 두 가지 공덕(功德)을 지었습니다. 하나는 유명한 노스님을 살린 것이요.
또 하나는 평생을 지렁이로 살다가 날 짐승들의 먹이가 될 지렁이가
소신공양(燒身供養)하여 스님을 살리는 인연을 내가 만들어 주었습니다.
그 지렁이가 다음 생에는 좋은 생명을 받을 것이므로 두 가지 공덕을 지었다고 생각합니다."
이 말을 들은 스님들은 아무 말도 못하고 그저 놀랄 뿐이었다.
고려 보조국사 지눌 스님은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에
지범개차(持犯開遮)하라고 설(說) 하셨는데,
이는 계율에 얽매이지 말고 때에 따라서는 열기도 하고 막기도 하라는 뜻이다.
즉 크게 생각하면 대의(大義)을 위해서는 소의(少義) 양보를 권하듯이,
그래서 원각대사는 세속 5계에 '살생유택'를 넣어 화랑에게 가르쳤고,
임진왜란 때 '서산대사'와 '사명당'은 나라를 위해 승병(僧兵)을 일으켜 왜적과 싸웠다.
주(柱)
공양주(供養主)스님 = 절에서 밥을 짓는 소임을 맡은 스님.
소신공양(燒身供養) = 자기몸을 불태워 부처님께 바치는 것.
지범개차(持犯開遮) = 법을 지키되 선(善)을 위해서는 때로 열고 닫을 줄 알라.
세속 5계(世俗五戒) = 1). 事君以忠(사군이충).임금을 충성으로 섬긴다.
2). 事親以孝(사친이효). 어버이를 효도로 섬긴다.
3). 交友以信(교우이신).벗을 믿음으로 섬긴다.
4). 臨戰無退(임전무퇴).싸움에 임해서는 물러나지 않는다.
5). 殺生有擇(살생유택).산 것을 죽일 때는 가려서 한다.
첫댓글 토룡탕(土龍湯)..
맹물훈장님 감사히 즐감 합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어떤 법이나 규율에도 잘 살펴보면
유연성이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