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하고 되는 일이 없던 이가 석가모니를 찾아가 호소했다. “저는 하는 일마다 되는 게 없는데 무슨 이유입니까?” “그건 네가 남에게 베풀지 않았기 때문이다.”
“저는 아무것도 가진 게 없는 빈털터리입니다. 제가 남에게 뭘 줄 수 있단 말입니까?” 석가가 말했다. “아니, 그렇지 않다. 재산이 없어도 누구나 남에게 줄 수 있는 게 일곱 가지는 있다.”
1. 화안시(和顔施)
얼굴에 화색을 띠고 부드럽고 정다운 얼굴로 남을 대하는 것을 말한다. 좋은 인상은 복을 부른다. 걸핏하면 짜증내고 그 감정을 외부에 쏟아내는 사람을 좋아할 사람은 없다. 웃는 얼굴에 욕하기 어려운 법이다.
2. 언시(言施)
말로도 남에게 베풀 수 있다. 사랑, 칭찬, 위로, 격려, 양보 등 상대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부드러운 말이 그것이다. 말은 돈 드는 것도 아닌데 유난히 인색한 사람이 많다. 좋은 말은 아낄 필요가 없다.
3. 심시(心施)
마음의 문을 열고 따뜻한 마음을 주는 것이다. 진심의 가치가 무시 당하기 쉬운 시대지만, 그래도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건 진정성 있는 따뜻한 마음이다. 사람들은 상대가 나를 진심으로 생각한다고 여길 때 비로소 마음의 문을 연다.
4. 안시(眼施)
호의 담은 눈으로 상대를 바라보면 무언가를 베풀 수 있다. 눈은 마음의 창이다. 사특한 마음을 품고 바라보면 그 특유의 탁한 기운이 눈빛에 서려 있다. 그런 건 말하지 않아도 상대가 눈치 채기 마련이다. 항상 선의를 가지고 남을 대해야 한다.
5. 신시(身施)
몸으로 남을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 무거운 짐을 들고 가는 이를 외면하지 않고 다 같이 청소하더라도 적극적으로 자신이 먼저 하면 복이 온다. 당장 보상이 없어도 이런 태도를 하늘이 꼭 기억해 중요한 순간에 기회를 준다.
6. 좌시(座施)
때와 장소에 맞게 자리를 내주고 양보하는 것을 말한다. 양보하는 것이 차지하는 것보다 더 빛을 발하는 순간이 있다. 그런 걸 잘 파악해 상대를 배려하면 그 덕이 반드시 더 크게 돌아온다. 사람은 누구나 은혜를 보답하려는 마음이 있다.
7. 찰시(察施)
굳이 묻지 않아도 상대의 마음을 헤아려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 곤경에 처한 이는 자신의 처지를 외부에 쉽게 말하지 않는다. 자존심 센 사람은 더 그렇다. 이렇게 외부에 어려움을 말하지 않는 이를 찾아 먼저 도움 주면 그 가치가 언젠가 큰 빛을 발한다. 무재칠시(無財七施). 재물이 없어도 줄 수 있는 일곱 가지를 말한다. 석가모니는 가진 게 없어도 이것은 누구나 베풀 수 있는 것이라 했다. 이는 '잡보장경'이라는 불경에 실려 있다. 이걸 제대로 실천하는 이는 곧 복이 모여 상황이 나아지기 마련이다. 돈 없이도 다른 이를 도울 방법은 많다. 물론 이렇게 실천할 의지가 가장 중요하지만.
“선한 일을 하는 데 전념하라. 끊임없이 행하면 마음이 기쁨으로 채워지리라.” – 석가모니
- 좋은 글에서 -
처절하나, 찬란한
나에게는 꼭 붙어 다니는 친구가 둘 있다. 우리 셋은 공통점이 많다. 사는 동네, 음식과 음악 취향, 아버지가 없고 가진 게 없다는 점까지. 나는 우리가 삼각형 같다고 생각했다. 각자 하나의 변으로서 서로를 지탱하는 삼각형. 지칠 때마다 머릿속으로 세모를 그리면 힘이 차올랐지만 그런 마음을 표현하기보다는 시시껄렁한 대화를 주로 나눴다. 그런데 얼마 전 술자리에서 처음으로 속내를 꺼냈다. 1년 전, M이 단체 채팅방에 메시지를 올렸다. '나 이번 달 가스비랑 월세 못 낼 것 같아. 30만 원만 빌려주라.' 우리는 가까운 사이일수록 불편한 일을 만들지 말자는 주의인지라 이런 부탁은 처음이었다. 난처했지만 답장을 보냈다. '나도 빠듯해서. 미안' K는 바쁜지 며칠 동안 메시지를 읽지 않았다. M에게 서운한 기색은 없었다. K가 멋쩍게 웃으며 그때 이야기를 꺼냈다. "도와주고 싶었는데, 나도 교통비 아끼려고 자전거로 90분 거리를 오갈 때였거든. 못 본 척해서 미안했다." M은 어색한 얼굴로 그런 부탁을 한 자기가 잘못이라고 했다. 나도 코끝이 찡해져 조금이라도 도울걸 그랬다며 사과했다. 그 뒤로 우리는 서로 자기 잘못이라고 하다가 한 번만 더 사과하면 30만 원을 내기로 했다. 1년이 지난 지금은 모두 직장에 다닌다. 30만 원 때문에 죄책감을 가졌던 것이 우습기도, 슬프기도 하다. 우리는 서로를 의지하고 응원하며 현재를 뜨겁게 살아간다. 먼 훗날 모든 것이 식는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처럼. 그래서 청년의 때는 찬란하다. 그 처절하게 반짝이는 빛은 무엇도 가릴 수 없다. 김대종(가명)ㅣ경기도 의정부시
|
첫댓글
좋은글 감사합니다 ^^
반갑습니다
예당촌 님 !
고운 멘트 감사합니다 ~
오늘도 좋은하루보내시고
늘 강건하시길 기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