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theqoo.net/2047419332
게임화된 세대
한 사람, 한 사람을 놓고 보면 더 '착한 사람'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집단 단위에선 선악 차이는 없다고 생각한다. 어느 규모 이상의 사회 집단에 대해 이야기할 땐 그들이 공유하는 사고방식이나 문화를 봐야 한다. 왼쪽 도표에선 어떤 성별·연령과도 확 차이 나는 청년(20~34세) 남성의 경향이 보인다.
아래로 뻗은 파란 곡선은 '잘사는 집 아들일수록 남과 나누기 싫어한다'는 걸 말한다. 바로 '거봐라 이대남이란 것들 순 이기적인 놈들'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걸 선악 관점이 아니라 행동 방식 차이로 보면 어떨까.
이 집단의 특성이 드러나는 차트가 하나 더 있다. 연령·성별 주식 수익 률이다. 청년 남성 집단은 압도적으로 투자를 못 한다. 코스피가 30% 떤 해에 20대 남성은 수익률이 3%대다.
문제는 회전율이다. 20대 남성의 주식 회전율은 68배다. 평잔 100만원이면 한 해 동안 6800만 원어치 샀다는 얘기다. 잡주 사고 가즈아 외치다 다음날 곱버스 탄다. 반면 20대 여성의 회전율은 25배다.
투자에서 드러나듯 청년 남성의 가장 큰 특성은 즉각적인 보상 추구다. 빠른 보상을 원하고 위험 감수에 희열을 느끼는 성향이 강하다. 행동경제학에서 말하는 테스토스테론이 강한 집단이 보이는 특성이다.
즉각적인 보상 추구가 극대화된 게 게임이다. 게임이 나쁘다는 게 아니라, 보상의 연속인 게임의 작동 방식을 따져보자는 얘기 다. 사냥을 해 아이템을 얻고, 랜덤박스를 까서 보상을 받는 인풋-아웃뜻이 빠르게 이어진다.
청년 남성 문화에서 게임이 미치는 영향은 지배적이다. 온라인 문화 자체가 게임에 두고 있다. 같은 나잇대 여성보다 2~3배 높은 회전율은 이들이 투자를 게임으로 접근한다는 걸 뜻한다.
'즉각적 보상 추구' '단기적 관점'. 청년 남성을 규정하는 '이기적 행동'을 이해하려면 거꾸로 '이타적 행동'을 왜 하는지 따져야 한다. 이타적 행동은 '장기적 전술'이다.
개체 간 협력을 시뮬레이션한 연구를 보면 매번 신뢰를 깨는 개체는 처음엔 득점하다가 머지않아 아군을 얻지 못해 도태된다. 이걸 학습하면서 점점 이타적 경향이 커진다. 가진 게 많은 고소득층이 더 나누려하는, 이타적 행동의 이면에는 그게 장기적으로 이득이라는 계산이 있다.
양극화가 극단으 로 치달으면 높은 수익률이 유지되지 않는다. 혁명이든 포플리즘이든 문제가 생기기 마련이다. 이걸 단기적으로만 보면 더 가진 사람은 당장 자기 것을 내주기 싫고, 자산이 적은 사람은 더 가져오고 싶은 것이다. 테스트스 테론은 단기적 성향을 강화하고, 여기에 단기 보상을 추구하는 게임-온라인 문화가 집단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단기적이란 말은 '좁다'는 의미도 된다. 큰 구조로 사고하기보다 개인, 사건 단위로 보려는 경향이 강하다. 투자에서도 그런 특 성이 드러난다. 구조를 따지는 리버럴 정치관과는 완전히 어긋난다. 그보다 시험·면접은 '직관적 보상'이라는 게임의 원리에 맞다.
청년 남성은 사회를 게임의 관점으로 본다. 사회를 미니게임의 연속으로 보는 게임화 사고가 '능력주의'라는 그럴듯하지만 틀린 외피를 쓰고 돌아다니는 게 아닐까. 게임화된 세대는 그래서 '보수화' 됐다고 규정할 수 없다. '나쁜 놈들' 같은 납작한 분석으로는 아무것도 못 한다. 물론 이 얘기 는 다 장삼이사의 추측이다. 이 집단에 속해 있으니 편향도 있을 것이다. 똑똑한 분들의 더 많은 연구가 나오면 찾아봐야겠다.
글 주인은 중앙일보 기자 ㅊㅊ
https://m.facebook.com/photo.php?fbid=1411269152579695&id=100010898703590&set=a.104688056571151&source=48
청년남성의 이기주의를 게임의 즉각적 보상심리랑 연결시켜서 본 관점이 흥미로워서 가져와봄
모바일배려
투자도 게임하고 비슷하게 생각하지.
낮은 티어는 코인, 중간 티어는 주식, 상위 티어는 부동산 이 공식이 있음
목돈 없을 땐 코인으로 대박을 노려서
돈 좀 모이면 주식 굴리고
그 수익으로 부동산 내집마련 한다는 단계별 성장 공식
그리고 이 성장 과정에 방해가 된다 싶으면 다 민폐 혜지 발암으로 여기는 거임
게임하는 도중에 엄마가 들어오면 신경질 내는 것처럼
내 코인 주식 부동산 테크에 방해가 되면
지역균형이니 할당제니 여성정책이니 소수자우대니 정부시책이니 뭐니
다 민폐 프리라이더 적폐 공산당으로 느끼는 거
나 레벨 올리고 경험치 따고 파밍하고 CS 채우고 티어 올려야 하는데 왜 발목을 잡냐는 그 마인드임
투자에만 적용되는 이야기가 아니라 취미도 그럼
그래서 남초 커뮤에서는 표현의 자유 논리가 절대적으로 받아들여지지
내가 돈 내서 내가 원하는 컨텐츠를 보상으로 받아야 하는데 왜 검열이니 수위니 여혐이니 태클 거냐는 그런 거임
즉각적인 보상을 가로막는 논리들은 다 헛똑똑이들의 쓰잘데없는 훈수질로 느껴지는 거
사실 그리고 이런 남초 유저들, 특히 고소득 고학력일수록
나름대로 교육 잘 받고 머리 좋고 테크놀로지에 능하고 인터넷에서 항상 주류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다른 집단 다른 계층보다 자신들이 훨씬 똑똑하고 합리적이라는 확신을 가짐
노인부터 중년층은 다 무능한데 짬빨로 기득권과 자리 차지 하고 있는 거고
여자들도 무능한데 페미니즘 정책으로 프리라이딩한다고 생각하는 거
나보다 티어 낮은 것들이 운영자하고 정치질해서 상위 티어를 부당하게 가로채고 있다는 피해의식인 거지
그리고 고소득 고학력일수록 게임이든 만화든 웹소든 영화든 예능이든 비즈니스모델BM을 따지는 데에 엄청 길이 잘 들어 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돈벌이 안 되는 일은 쓰잘데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
그래서 돈벌이 안 되면서 윤리나 대의나 도덕이나 공익을 위해 필요한 것들을 이야기하면
'지옥으로 가는 길은 선의로 준비되어 있다' 같은 관용어구 복붙하면서 무시하는 거임
허울 좋은 명분에 헛돈 헛심 낭비하게 만들면서 남들 등골 빨아먹는 민폐들이라는 뜻
그래서 이 집단은 인터넷에 밝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배운 게 많을수록
오히려 편협해지고 완고해지고 악감정이 높음
특히 사고방식 자체가 수정주의적임.
수정주의라는 게 뭔 뜻이냐면
'통념적으로 알려진 것들은 거품이고 진짜 진실은 다르며 합리적으로 생각하는 소수들만이 통찰하고 있다'는 그런 거임
2030남성들일수록 자신들의 교육 수준이나 학력이나 업무력 행동력 인터넷리터러시 같은 거에 자부심이 엄청 높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언론이나 제도권에서 말하는 것들에 대해 불신이 극심하게 높고
저런 헛소리가 아니라 자신들이 합리적으로 이성적으로 가려낸 '팩트'가 훨씬 더 정확하다고 생각함
어른들 여자들 노인들 586들은 다 감성의 노예들이라 판단력이 없고
자신들만이 객관적인 사실 검증을 할 수 있으며
그러하기에 이 게임같은 한국땅에서 상위 랭크로 올라갈 자격이 있고
그걸 방해하는 제도니 법이니 정책이니 민식이법이니 차별금지법이니 다 우리를 짓밟기 위한 음모라고 여김
주식에서 꼬라박는 것도 그런 거임. 남들보다 자신들이 똑똑하다는 확신이 있으니까
조금만 머리 써서 꼼수를 터득하면 진득하게 투자하는 덜떨어진 주알못들은 단타질로 금방 역전할 수 있다는 근거없는 자신감에 빠지게 됨
'삼전 살 거면 왜 주식함?' 같은 밈이 그런 사고방식을 대표함
근데 현실은 그 자신감에 취한 나머지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메타지능이 부족하기 때문에
실전 경험에서는 쪽박 차기 십상이고 그게 낮은 투자 수익률로 드러나는 거.
'
기사내용보다 댓글이 더 흥미돋이여서 퍼옴
첫댓글 첫줄부터 끝줄까지 존나공감하면서 읽었음 나도 게임좋아하지만 한남한테서 게임 뺏어야함 게임자체도 여혐지리지만 트위치방송 게임유튜브 게임커뮤니티 등등에서 재생산되는 노답사상들 어마어마하더라
게임화 사고가 '능력주의'라는 그럴듯하지만 틀린 외피를 쓰고 돌아다니는 게 아닐까. 게임화된 세대는 그래서 '보수화' 됐다고 규정할 수 없다. '나쁜 놈들' 같은 납작한 분석으로는 아무것도 못 한다.
이 부분 진짜 통찰력 쩐다... 우리교수도 남자들 게임얘기(본문과 비슷)했다가 성차별발언했다고 교평 때 욕먹었대 ㅋ... 여튼 나도 이걸 보수화라고만 표현할 수 없다고 봄 참 세상 노답이다...
진짜 이래서 한국남자들(줄이면 난리남) 게임이 주류문화되는거 싫었어
어릴수록 더 심해지잖아 요새 애들 모이면 가서 공을 안차.. 피씨방만 가려고 하지
와 진짜 글 공감되고 이해 쏙쏙 된다 잘 봤어
젊은 남성 정말 열등하네... 댓글 정말 맞말..
'즉각적 보상 추구' '단기적 관점'. 청년 남성을 규정하는 '이기적 행동'을 이해하려면 거꾸로 '이타적 행동'을 왜 하는지 따져야 한다. 이타적 행동은 '장기적 전술'이다.
아하..근시안적 관점을 진리로 여기면서 스스로를 합리적이라 믿고 그 외는 모두 짓밟아야 된다고 고집 부리는데 정작 투자 결과를 보면 제일 댕청..
반대로 한남처럼 댕청하게 안 살려면 즉각적 보상보다는 진득하게 견디는 사고를 할줄 알아야 겠구나
개흥미돋
음 진짜 흥미로워 이게 전세계적으로 2-30대 남자 공통점인지 아니면 한국 특징인지도 궁금하다 진짜 현존하는 나라들이 생긴 이래로 가장 특이한 사회현상일듯 ㅋㅋㅋ ㄹㅇ 불나방같음
댓글 흥미롭다 어떻게 보면 중이병이 계속 안 나은 상태인 거 같기도 하고
펨베놈들 반응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존나 팩트를 가져다 줘도 아닌데?아닌데?20대 남자들 같은 스펙은 없음.. 웅앵웅..이러고 잌ㅅ음ㅋㅋ
역시나ㅋㅋㅋㅋㅋㅋㅋ 모지리한테 알려주면 뭐하냐고 이해를 못하는뎈ㅋㅋㅋㅋㅋㄴ
게임을 많이하면서 단기보상에 너무 익숙해졌을 뿐 아니라 그에 대한 적당한 제재가 없이 자랐음 여자랑 근본적으로 달라 우리 세대들은 공부잘하고+착하고+예뻐야+남자를 잘만나서 결론적으로 잘 살 수 있다고 배운 반면에 남자들은 공부만 잘하면 모든 걸 얻을 수 있고 심지어 공부를 못하더라도 또 다른 능력이 있으면 되며 그것조차 없다고하더라도 그것은 스스로의 탓이 아닌 게임+여자+너를 이해해주지 않는 세상(꼰대)이라고 배움.. 그러니까 자신의 실패는 자신의 탓이 아니고 오로지 주변환경이 문제라는 얘기만 듣고 자랐다는 말임 그러니까 모든게 자신의 불행은 모두 자신의 성취를 방해하고 괴롭히는 어떤것들 때문임.. 고소득층으로 갈수록 나는 이 모든걸 이겨내고 얻은 대단한 사람이기때문에 자신을 방해하던 것들과는 그 성취를 절대 나눌 수 없는거야 자기 빼고는 다들 자신을 방해하는 족속들인데 무엇을 베풀려고 하겠어? 모두 적으로 인지하는거지
2 동의해. 게임은 보상을 얻기 위한 노력이나 피지컬(능력)이라는 제한이 있고 누구나 알 수 있는 데이터로 보이는데 현실에는 그런게 없으니까 객관화가 안되는데고추 숭배하는 나라에서 컸으니 자기의 찐 능력은 대단한데 남이 몰라보는 거라고 생각하고 그게 공정하지 못하다는 거지.
젊은남자만 걸리는 치사율 100프로 전염병 돌아야 한반도에 미래가있음
존나 혐오스러워
1020남자들 게임 규제해라ㅡㅡ
통찰력이 장난 아니다
맞말이다...
완전 맞말 대잔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