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여성시대 (긴축하자)
https://youtu.be/AzagRrAi-pY
우리가 존엄사, 안락사라고 익히 알고있는 스위스 조력 사망 취재 영상이야.
유튜브 보다가 흥미로워서 공유함.
2년 전, 60대 남성 허모 씨는 작가 신아연 씨, 가족들과 함께 죽음을 맞으러 스위스로 떠났음
허모 씨는 폐암을 앓고 있는 60대 중반임
6~7개월 전부터 식도협착으로 음식물을 넘길 수가 없고, 몸은 말라가고. 가족들의 설득에도 본인의 완고한 의지로 재작년 8월 스위스 바젤로 넘어감
공장같은 병원에서 본인 확인을 마친 후 돌아가실 분 앞에 정면으로 카메라를 대고 따라하라고 함.
"I am sick. I want to die. I will die."
나는 아프고 죽길 원하며 죽을 것이다.
조력사망을 합법화 한 곳은 10곳이 넘지만, 외국인을 받아주는 곳은 스위스 뿐임.
한국에서 타인의 자살을 도우면 처벌 대상이므로 스위스행을 준비하는 한국인들도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
스위스에서 만난 65세의 조력사망 신청자
신경교종증이라는 불치병을 앓고 계셔
진단 후 수명이 얼마 남지 않으셨고, 화학 치료를 받았지만 오히려 더 아픔을 느꼈고, 현재 모든 치료를 거부중.
가족들과 잠깐의 인터뷰 후 정해진 시간이 다가왔어
그는 마지막 잠을 청할 침대에 눕고,
팔에 링거 주사를 꽂고 치사량의 수면제를 준비하고 기록용 카메라가 돌아감
스스로 링거 밸브를 열고 가족들에게 작별인사를 시작해
이렇게 가족들 품에서 마지막을 정리하셨어.
하지만 이 존엄한 사망이 장점만 있는게 아님
실제로 투병을 시작하며 1년에 쓰이는 비용이 상당하더라고. 오랜 투병에 빚만 남으신 분도 많고 가정이 가계가 무너지는데 투병의 끝이 완치나 치료가 아닌 경우도 많음.
이런 상황에 한국에 조력사망이 들어오게되면 경제적으로 힘드신 분들이 눈치를 보면서 스스로의 죽음을 결정하게 될 수도 있고(자살 조장), 그 사실여부를 판단하기도 어렵다는 거지.
언젠가 생명이 끝나가는 과정에서
남아있는 삶을 어떻게 존중해줄 것인가
취재한 기자님들 말대로 꾸준한 논의와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함
볼만한 취재영상 같아서 가져왔어!
링크 들어가서 보는 걸 추천!!
➡️ 영상 보러가기
https://youtu.be/AzagRrAi-pY
첫댓글 지금 스위스에 조력자살 하러 가려면 수천만원 필요한걸로 알아서 마지막에 고통 덜고 떠나는것도 돈이 있어야 가능하구나 씁쓸하게 생각해서 우리나라도 생겼음 좋겠는데 나도 우리나라 저런문제때문에 아직은 이른거같긴함 ㅠㅠ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아래부분 보니 저렇게 악용될 가능성도 있긴하다싶네 어려운 문제다ㅠ
오래 살 생각 없어서 15년쯤 후에 스위스 갈생각이라 돈 모으고 있음... 15년후면 지금이랑 가격 다르겠지만 그거보다 많이 모으면 남은돈 다 쓰고 죽어야지
내가 죽고 싶을때 죽고 싶어
신체 아픈사람만 받아주나보네.. 우리가 부모님을 부양하는 지금 시대에는 확실히 시기상조의 느낌은 있지만 미래에는 조력사망이 생길것 같다고 생각해
나도 이거 유튜브에서 봤는데 인상깊은 내용이었어 많은 여시들이 보았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