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여성시대 북마크용
전편 : 아마 본 적이 없을 특이한 버섯 25개 上편
홍콩방에 말머리가 ‘징글돋음’인 글임 ↑
https://m.cafe.daum.net/subdued20club/RaxJ/108342?svc=cafeapp
글 내리기 전에 주의할 점
1) 대충 진균류를 버섯이라고 함.
2) 이미지 출처는 각 이미지 아래 링크.
3) 식용이라도 종류, 성숙도에 따라 달라짐.
4) ‘약용’이 ‘식용’을 의미하지 않음.
ex. 후*딘이 약이라고 먹지는 않잖아.
5) 본 글을 맹신하고 먹다가 사망할 수 있음.
6) 본문 버섯은 못 먹는다는 걸 전제로 봐야 함.
7) 작성자가 전문가가 아님을 깊이 숙지해야 함.
8) 작성자가 국내외로 조사했음을 깨달아야 함.
9) 작성자가 깊이 조사했다고 확신하지 말아야함.
10)
그러면 이제
버섯⋯
로딩합니다.
🦠🦠🦠🦠
1. 혓바늘목이 (Toothed Jelly Fungus)
학명 : Pseudohydnum gelatinosum
[짧은 정보]
• 거의 전세계에서 발견되는 버섯임.
• 촉감은 말랑말랑한 젤리.
• 생으로 먹을 수야 있지만, 향은 딱히⋯? 없다고 함.
2. 잭 오 랜턴 버섯
학명 : Omphalotus illudens
[짧은 정보]
• 독버섯임.
• ‘잭오랜턴’이라는 이름은.
색이나 모양이 호박같아서⋯
⋯도 맞지만.
이 버섯, 밤에 보면 어떨까?
위 사진처럼
밤에는 빛이 나기 때문에 잭 오 랜턴이라는 이름이 제격.
• 심지어 핼러윈 시즌에 폄.
• 식용 X, 먹으면 구토 & 설사
• 약용 O, 암 치료용 의약품으로 사용됨.
• 냄새가 달달하다고 함. 곤충 핫플.
3. 좀목이 (Witches' Butter)
학명 : Exidia glandulosa
[짧은 정보]
• 식용 가능. But 간에 기별도 안 가서 굳이?
• 영어명이 ‘마녀의 버터’인데 이유는 두 가지임.
(A) 마녀가 쓸 법한 칙칙한 생김새에, 버터 같아서.
(B) 마녀 주술에 대항하고자 불에 던졌다고 함.
4. 학명 : Amanita galactica
[짧은 정보]
• 식용 여부 불명 = 먹지 마
• 2020년에 발견된 따끈따끈한 버섯임.
• 버섯갓이 은하를 연상시킨다고 학명에 ‘galactica’가 붙음.
나였으면 cookiesandcream이랬을 듯.
5. 주름볏싸리 버섯 (Wrinkled Club)
학명 : Clavulina rugosa
[짧은 정보]
• 식용 가능. 근데 작아서 안 먹음.
• 끝부분이 뭉툭하게 자라서 ‘주름진 클럽(골프)’으로 불림.
6. 광대버섯
학명 : Amanita Muscaria
[짧은 정보]
• 그 유명하디유명한 독버섯임.
• 그 유명하디유명한 마리오 버섯임.
• 그 유명하디유명한 앨리스 버섯임.
• 먹으면 유명을 달리할 수 있음.
7. 노랑비늘 버섯 (Flaming Scalycap)
학명 : Pholiota flammans
[짧은 정보]
• 못 먹음.
• 학명에서 Pholiota는 ‘비늘’, flammans는 ‘불타는’을 뜻함.
8. 귀신그물 버섯
학명 : Strobilomyces strobilaceus
[짧은 정보]
• 맛있는 식용 버섯임.
• 약용으로도 쓰임.
이 버섯 찾다가
버섯갓보다 더한 버섯주름살 보고 환공포증을 느낌
검색 비추천
9. 구름송편 버섯 (Turkey Tail)
학명 : Trametes versicolor
[짧은 정보]
• 식용이자 약용 버섯.
• 외국에선 칠면조 꼬리 같다고 해서 ‘Turkey Tail’이라 부름.
• 굉장히 크고 알록달록하게 자람.
10. 이끼꽃 버섯 (Parrot Waxcap)
학명 : Gliophorus psittacinus
[짧은 정보]
• 국가마다 식용가능인지 불가능인지 다름 = 먹으면 안 됨.
• 주황색, 보라색, 노란색, 갈색을 띠기도 함.
11. 한입 버섯
학명 : Cryptoporus volvatus
이름대로 한입 넣고 싶게 생겼음.
속살도 장난 아님.
[짧은 정보]
• 약용 버섯임
• 죽은 소나무에서 자람
• 잘못 땄다가는 거주중인 딱정벌레와 마주칠 수 있음
12. 학명 : Podoserpula miranda
[짧은 정보]
• 식용여부 불명.
• 버섯위버섯위버섯위⋯형태는 여태 없던 형태라고 함.
13. 흰바구니 버섯
학명 : Ileodictyon cibarium
[짧은 정보]
• 어린 개체는 먹을 수야 있지만 굳이 안 먹는다고 함.
• 원래는 달걀 같은 점막 안에 있다가
코난 벨트 축구공처럼 펴지면서 모양을 잡는다고 함.
• 나중에 사진 속 골조가 무너지며 안에 있는 포자가 나옴.
14. 픽시컵이끼 버섯 (Pixie Cup Lichen)
학명 : Cladonia asahinae
[짧은 정보]
• 진균류에 속해서 버섯이라고 퉁침.
• 먹을 수야 있지만 굳이 안 먹는다고 함.
• ‘픽시’는 피터팬 속 팅커벨 같은 크기&스타일의 숲요정.
15. 꽃송이 버섯 (Cauliflower Fungus)
학명 : Sparassis crispa
[짧은 정보]
• 식용⋯⋯에다가 블로그글 효능만 보면 만병통치약임.
• 외국에선 콜리플라워 닮았다고 콜리플라워 버섯이라 부름.
• 수국 닮은 버섯으로 방송 출연 경험 있음.
16. 솔버섯 (Plums And Custard)
학명 : Tricholomopsis rutilans
[짧은 정보]
• 식용임. 근데 유럽에서는 독버섯으로 취급.
• 소나무 주변에서 자라지만 송이버섯처럼 향이 깊지 않음.
• 영명은 자두랑 커스터드를 닮아서 Plums And Custard임.
• 북한에서는 ‘붉은털무리 버섯’이라 부름.
17. 자주졸각 버섯 (Amethyst Deceiver)
학명 : Laccaria amethystina
[짧은 정보]
• 식용이긴 한데 비소(As) 흡수를 잘 해서 비추천함.
• 영명이 Amethyst Deceiver(자수정 사기꾼)임.
이유는 덜 자랐을 때는 진하고 예쁜 자주색이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색이 바랜다고 사기꾼이라고 함.
18. 차가 버섯
학명 : Inonotus obliquus
[짧은 정보]
• 식용임.
• 신이 내린 버섯이라고 함. 15번도 그러던데
• 위 사진 속 검은 것을⋯
이렇게 뽑아 단감색 부분을 씀.
19. 수중 버섯
학명 : Psathyrella aquatica
[짧은 정보]
• 식용여부 불명.
• 주름버섯과가 땅에서만 난다는 편견을 박살낸 버섯.
• 찬물에 잠길 때만 포자주머니를 생성한다고 함.
20. 사막먼지 버섯
학명 : Battarrea phalloides
[짧은 정보]
• 질겨서 못 먹는 것 이전에 채취, 파괴가 불법임.
• 꽤나 특이하게 포자를 퍼트리는 편.
웬만한 버섯은 아래 그림 속 a번처럼
갓 아래에서 포자를 퍼트리지만,
사막먼지 버섯은
갓 위에 포자를 뒀다가
사막 햇빛에 건조되면 바람에 날려 포자를 퍼트림.
21. 콩 버섯
학명 : Daldinia concentrica
[짧은 정보]
• 외국에선 먹으면 안 되는 버섯.
• 영명은 ‘King Alfred's Cake’라고 불림.
이유는⋯
바이킹이 쳐들어오자, 알프레드 왕이 한 농부 집으로 피신함
→ 농부가 화로 속 케이크를 봐 달라고 부탁한 뒤에 나감
→ 왕이 케이크 보는 걸 잊어버려서 새까맣게 탐
→ 돌아온 농부가 열받아서 왕을 혼냄
이때 태운 케이크 같아서 ‘알프레드 왕의 케이크’라고 불림.
버섯에 이름까지 붙여가며 조롱하는⋯⋯
22. 앵두낙엽 버섯
학명 : Marasmius haematocephalus
[짧은 정보]
• 식용 불명. 애초에 위에 기별도 안 가서 딱히 안 먹음.
• 주름살도 예쁜 편임.
23. 황색고무 버섯 (Alpine Jelly Cone)
Guepiniopsis alpina
[짧은 정보]
• 식용 불명 = 먹지 마
• 촉감이 살짝 녹아 끈적한 젤리st
• ‘거지의 젤리사탕(Poor Man's Gumdrop)’이라고도 불림.
24. 학명 : Spongiforma squarpantsii
[짧은 정보]
• 식용 불명.
• 이 버섯 이름을 천천히 읽어보면
뭘 모티프로 학명을 지었는지 알게 됨.
• 그 모티프의 종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음.
25. 픽시의 양산 (Pixie's Parasol)
학명 : Mycena interrupta
[짧은 정보]
• 같은 속의 버섯들이 독쟁이라 얘도 의심스러워서 식용X.
• 독 이전에 굉장히 작아서 굳이 안 먹음.
• 약한 바람에도 쓰러질 만큼 작고 약함.
이번에는 上편 속 피즙이 같은 버섯이 없어서
쩌리로 왔음.
아무튼
글 끝.
후기 : 이번에는 19금 의인화 짤보다 게임 ‘인스크립션’ 속 진균학자, 게임 ‘The Last of Us’ 속 블로터를 꽤 본 듯.
그냥 끝내기는 뭔가 애매해서
버섯 찾다가 발견한 버섯 TMI 알려줌.
1. 버섯과 번개
⚡
🍄
• 버섯은 낙뢰를 맞으면 잘 자람.
• 주로 표고 버섯이 2배 가량 잘 자란다고 함.
• 이유는 아무래도 번개 맞다보니 균이 활성화돼서⋯
• 한편으로는 위기의식 때문에 더 번식한다고⋯.
2. 플라스틱을 분해
🍄🍄🍄🍄🍄
👓💥🎲💥📏
• 몇 버섯은 플라스틱을 분해함.
• 대표적으로 느타리 버섯이 있음.
• 2주~몇달 걸린다고 함.
• 플라스틱을 먹은 버섯 섭취 여부는
독성 물질을 흡수 의심 때문에 X.
• 근데 만약 먹을 수 있게 된다면⋯
플라스틱 문제와 식량문제 한 번에 해결.
3. 버섯이 만든 요정의 링
🍄🍄
🍄 🍄
🍄🍄
• 가끔 버섯들이 원을 그리며 자라난 경우를 볼 수 있음.
• 영어권, 서유럽 등은 요정들이 춤을 추면 생긴다고 생각함.
그래서 ‘요정의 링(Fairy Ring)’이라고 함.
↓자세한 내용은 이 글 참조↓
https://m.cafe.daum.net/subdued20club/ReHf/4374196?svc=cafeapp
이제 진짜
글
끝
.
첫댓글 진짜신기해...!!!
오 신기해
우와 홀린듯 읽었어..!!! 이런글 너무좋아
우와 ㅎㅎㅎ 한입버섯 너무귀여워ㅜㅠ
와 너무 재밌어..
와 대박 글 너무 재밌어 귀신구름버섯 호기심에 검색했다가 좀.....왜 검색하지 말라는지 알거 같더라 ㅋㅋㅋㅋㅋㅋ 안에 엄청...따다다다ㅏㄱㄱ 있네 ㅠ
너무너무 재밌다ㅜㅜㅜㅜㅜㅜ좋은 글 고마워♡♡♡♡
재밌다
우와 너무재미ㅁ다 ㅜㅜㅜㅜ
우와 너무흥미로우ㅓ ㅜㅜㅜ픽시의 웉앵 시리즈 너무귀엽다
진짜 흥미돋이야ㅋㅋㅋㅋㅋㅋㅋ 넘 재밌다 길고 상세하게 쓰느라 고생했어 고마워 글쓴여시!!
이름을 정말 귀엽게 잘 짓는다.. 한국 명칭들이 이쁘네
24번 네모바지 스폰지밥 버섯인거야?ㅁㅊ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무재밌다
광대버섯 개무섭게생김
버섯박사
완전 흥미돋&정성 그자체다! 엄청 정독했어. 설명에 독성 적혀있는거보면서 애초에 먹을 생각을 한 게 신기한 버섯들이 많은데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무 재밌어!!!
요정의 링도 봤었는데 나 버섯에 흥미있나봐
잘봤어 재밌닼ㅋㅋㅋ흥미로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