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naver.me/583mXcVY
https://youtu.be/dDv84jLjL54?si=fbwTOUiu8bjZd-nT
제가 있는 곳은 아프리카 가나 수도인 아크라 시내입니다
지금 제 뒤로는 의류 쓰레기들이 산처럼 쌓여 있습니다
거대한 옷더미 산에서 불과 1km 옆에는 세계 최대 중고 의류 시장 '칸타만토 마켓'이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버려진 옷들이 모이는 곳입니다
"하나에 5세디(5백 원가량)로 엄청 싸서 이렇게 걸레처럼 쓰고 버리기도 해요. 비가 많이 오면 다 바다로 가요."
이렇게 한글이 적혀 있는 수건도 대규모로 수출이 됐는데 상인들은 도저히 쓸 수 없는 쓰레기 수준이라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갈수록 쓸만한 옷 비중이 줄어들고 있는데, 품질을 낮춰 잠깐 입고 버리는 이른바 '울트라 패스트 패션' 옷들 때문입니다
수도 안에 있는 의류 폐기장 10곳은 7만 제곱 미터에 달하지만 모두 포화상태로 폐쇄됐습니다
강가에 버려진 옷들은 이렇게 바다까지 흘러들어왔고 파도에 휩쓸려서 어촌 마을 해안가를 이렇게 가득 메웠습니다
해안가는 염료로 둔탁하게 물들었고 폴리에스테르, 사실상 플라스틱인 미세 섬유 조각들이 바닷물로 녹아 들어갑니다
바다거북과 산호는 사라졌고 더 이상 고기도 잡히지 않습니다
"가까운 바다엔 고기가 없어요. 물고기를 잡으려면 먼 바다까지 나가야만 합니다."
전 세계 폐수의 20%, 온실가스의 10%가 옷을 만들고 버리는 과정에서 생겨납니다
유럽 사람 1명 당 매년 12kg의 섬유폐기물을 버리는 것으로 집계됐는데, 한국 역시 미국, 중국 등과 함께 의류 쓰레기를 가장 많이 수출하는 나라 5개국에 꼽혔습니다
"책임은 우리 모두에게 있습니다. 이런 착취적인 구조에서 우리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최근 20년간 패스트 패션 브랜드를 중심으로 폴리에스테르 옷이 2배 늘었고, 인터넷 쇼핑 활성화 등으로 의류 판매량 역시 오는 2030년까지 지금보다 65%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유럽 의회는 최근 옷과 신발 등을 만들거나 수입하는 회사들에게 처리 비용을 부담시키는 법을 만들었습니다
< 출처 참고 >
첫댓글 ㅠㅠㅠㅠ
반성하자나자신
하..옷 안사야자
우리나라 옷소비 진짜 과해..
※ 여성시대 인기글 알림 봇 v1.2.0
※ 연속 등극 시 최대 3회까지 기록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프로필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
2024년 03월 21일(목) 23시 - 인기글 64위 🎉
난 이거보고 옷가게꿈 접었어 ..동조하는 것 같아서 ..
당근같은 채널 이용하는거 정말 좋은 것 같아
빈티지 유행시켜ㅠㅠ
방금 보고 너무 충격 받아서 옷 안사려고…지금도 빈티지로 옷 사긴하는데 큰 문제라고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