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www.fmkorea.com/7149896661
우연히 보게 된 유튜브 채널인데 독특한 관점이라서 갖고 와 봄.
-----------------------------------
얼마 전에 한 외국인에게 '한국은 지금 우생학 실험이 진행중이며 조만간 뛰어난 사람만 남을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다.
한국을 잘 아는 일부 경제학자들이나 생물학자들이 공공연하...지는 않게 하는 이야기라고 하는데, 이게 무슨 개소리인가?
----------------------------------------------------------
일단 우생학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우생학은 19세기 말에 등장한 '인간도 소나 닭처럼 유전적으로 우월한 품종과 열등한 품종으로 나뉘며, 그렇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우월한 품종을 가진 인간만 번식시키면 결국 인간이라는 종 자체를 우월하게 만들수 있다'는 학문이었다.
그리고 20세기에 이 우생학을 신봉하던 나치는 장애인, 정신질환자, 특정인종을 강제낙태하고, 그것도 부족해서 이들을 가스실에 넣어 말살하는 끔찍한 일을 저질렀고 이 일을 계기로 우생학은 금기시되는 학문이 되었다.
---------------------------
그런데, 21세기에 등장한 '인적자본론'은 어찌 보면 네오 우생학이라 볼수 있을 정도로 비슷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인간 사회에서는 일론 머스크 같이 엄청난 수익 창출 능력을 지닌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평생 가도 월소득이 몇백만원을 못 넘는 평범한 사람, 더 나아가서는 수익 창출 능력이 없는 사람도 부지기수다.
이런 현상을 '불평등'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인적자본론에서는 이것이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사람마다 여러 능력을 고르게 갖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고, 그 능력을 고르게 발전시키는게 아니기 때문에 수익 창출에 있어 우월한 사람과 월등한 사람간의 차이는 존재할수밖에 없고 이것이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이 소득과 자산의 차이일 뿐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즉, 우생학이 유전자와 DNA를 기준으로, 인적자본론은 개인의 수익 창출 능력을 기준으로 삼을 뿐 선천적으로 결정된 우월한 개인과 열등한 개인으로 인간을 나누어 보는 것은 마찬가지라고 볼수 있다.
------------------------------
현재 한국의 출산율을 보면, 계층적 성격이 뚜렷하다. 부자들은 낳고 가난한 사람들은 낳지 않고 있다.
그런데, 이것을 인적자본론에 의해 설명해보면, 자본주의 시장 경제에서 '우수한 생산성'을 가진 인적 자본만이 재생산을 선택하고 있으며 그러한 생산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사람들은 스스로 도태를 선택하고 있다라고 설명할수 있다.
20세기의 우생학은 나치라는 절대권력에 의해 실행되었지만, 21세기의 초경쟁사회 대한민국에서는 시장경제라는 이름으로 '경쟁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이 알아서 자식을 낳지 않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아까 말했던 외국의 사람들은 이런 이유로 한국의 저출산을 긍정한다. 그렇게 우월한 사람들만이 자식을 낳고, 열등한 사람들이 재생산을 선택하지 않고 사라진 한국은 더 높은 생산성을 가진 나라가 될 것이라 보기 때문.
---------------------------
이러한 이야기에 많은 사람들이 거북함을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그야 우생학이 그랬듯, 인적자본론에 의한 자연도태 선택론 역시 상당히 비윤리적이고 도발적인 이론이기 때문이다.
나는 지금부터 그것을 도덕이나 종교가 아닌 실험으로 반박해보고 싶다. 과연 '우수한 인적자본만이 아이를 낳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도태되면 사회 전체의 생산성이 올라갈 것인가?'에 대한 반박이다.
미국 퍼듀 대학교의 윌리엄 무어 교수는 2가지의 '닭장 실험'을 진행했던 적이 있다.
첫번째 실험은 한 닭장에 수탉 1마리와 암탉 9마리를 넣어놓고 가장 알을 많이 낳는 암탉 1마리씩만 선별해내 이들만 자식을 낳을수 있게 하고, 그 자식들로 닭장을 채운 뒤 같은 선별을 계속 반복하는 실험이었다.
이러한 '슈퍼 암탉'의 유전자만 고스란히 물려받은 닭장은 생산성이 좋은 닭장이 되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전혀 아니었다.
기본적으로 이런 '슈퍼 암탉'들은 힘이 세며, 다른 암탉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기 일쑤였다. 이런 슈퍼 암탉의 유전자를 몇 세대에 걸쳐 정제한 결과 사이코패스 암탉이 등장한 것이었다.
마지막 세대에서는 이런 사이코패스 암탉 1마리가 나머지 8마리 중 6마리를 물어 죽였고 나머지 2마리도 닭털이 다 뜯기는 등의 일을 당하고 말았다.
2번째 실험은 암탉 한마리의 생산성이 아닌 닭장 단위의 생산성을 비교하는 실험이었다.
여러 닭장들을 비교해 알을 제일 많이 낳는 닭장을 고르고 이 닭장의 암탉 모두가 다음 세대의 자식들을 낳을수 있게 한 것이었다.
결과는 흥미로웠다. 몇 세대만에 생산성이 160%나 향상되었던 것이다. 앞선 실험에서 보였던 사이코패스 암탉 문제도 없었다.
---------------------------------------
이러한 두 연구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준다.
첫번째로 '긍정적인 형질'만을 가진 동물은 이 세상에 아무도 없다는 것이다. 예컨대, 알을 많이 낳는다는 긍정적인 형질을 가진 암탉은 힘이 세며, 다른 개체들을 억압하는 성격도 함께 갖고 있었다.
그리고 이 두 형질 중 어떤 형질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냐는 상황과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힘세고 똑똑한 사람은 이순신 장군 같은 명장이 될수도 있지만 연쇄살인범이 될 수도 있다.
뛰어난 인적 자본만을 솎아내 그들의 자식만으로 이루어진 세상이 만들어진다면, 그 세상은 뛰어난 사람들만 존재하는 생산성의 낙원이 될 수 있을까? 그럴수도 있겠지만 각자의 뛰어난 능력을 서로를 해치고 박살내는 데 쓰는 생지옥이 펼쳐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두번째로 '생산성'이라는 것이 과연 개체의 성질인가 집단 전체의 성질인가라는 문제다.
어떤 암탉은 다른 암탉보다 더 많은 알을 낳는다. 하지만 그 원인이 암탉 개체에 있는 것이냐 그 암탉이 처한 조건과 환경에게 있는 것이냐, 아니면 둘 다인가, 그렇다면 그 비중은 어떻게 되느냐는 알수 없는 문제다.
손흥민을 어느 날 갑자기 다른 나라, 다른 팀에 집어넣어도 지금과 같은 성적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인가? 그런 보장은 전혀 없다.
--------------------------------
이제 지금까지의 이야기들을 한국 사회에 대입해서 생각해보겠다. 출산율의 저하가 계급/계층에 따라 차이나는 현상, 즉 소득에 따라 출산율이 결정되는 이 현상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 준다.
하지만 나는 최소한 지금의 현상이 행여 조금이라도 더 나은 대한민국으로 나아갈수 있게 해주지 않느냐는 생각은 도저히 할 수가 없다.
자연과 인간 세상에는 경제논리에서 설명하는 '효율적이기만 한 인적자본'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런 '인적자본'이 누적된 세상은 더 효율적이고 더 높은 생산성을 가진 세상이 아닌 서로가 서로를 해치고 등에 칼을 꽂는 사이코패스 사회가 될수도 있다.
----------------------------------
지독한 경쟁과 효율성을 추구하며 사람들과 사회 전체를 채찍질하며 반세기 넘게 달려온 대한민국은 전례없는 저출산 상황에 처해있다.
사람들 사이에 자산과 소득을 놓고 극도의 경쟁을 벌여온 결과 그 경쟁의 성패에 따라 출산 여부까지 좌우되는 상황에 와있으니 이것이 변형된 우생학의 실험실이 아니면 무엇인가.
하지만 이 실험의 성격을 이제부터 어떻게 바꾸어 나갈 것인가, 이 실험실을 어떤 곳으로 만들 것이냐는 아직 열려있다. 진짜 실험은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첫댓글 사패같은 사람들만 살아남는 세상이 될거같음 진심…
그리고 직장에서 결국 높은자리에 올라간 소패한명이 신입들 오는 족족 퇴사시키게 만들어서 결국 회사 생산성 말아먹는거 저 암탉사례하고 개똑같은거같음
글쎄 잘 모르겠어 나는... 결국엔 다음 세대가 어떤 부류인가... 를 살펴보면... 요즘의 애 낳는 사람들이 뭐 도태되어있지 않아서, 우등해서 좋은 유전자를 남길 것 같진 않거든? ㅋㅋㅋㅋ 내가 하고자하는 말은 '우등'한 개체가 남지도 않을 것 같다는 말...
22
그니까 생산성 좋은 인구가 번식을 계속 해서 걔네가 멀쩡하게 크는게 아니잖아? 지금 봐도 멀쩡하고 예의바른 아이와 교권박살내고 남한테 피해주는 아이들이 점점 양극화 되는데, 주로 생산성 좋은 부모 밑에서 태어난 애들은 나쁜 짓 저질러도 부모 자본으로 처벌 안받는 사례도 많아지고.. 또 중간층 사람들이 점점 애를 안낳지만 또 부양능력도 안되면서 애 막 낳는 사람들은 많은거 보면 그냥 점점 양극화될 것 같아 ㅠㅠ
22
흥미로운 담론이네 전에 이기적 유전자에서 비둘기 가지고 실험한 내용 나오는데 이 내용이랑 비슷한 점이 많았던듯 좋은(이라고 생각하는) 유전자끼리만 남겨도 장점만 계속 재생산되는건 아니더라고
그래? 생각없는 애들이 순풍순풍 애 낳는거 아니고?ㅋㅋ
22
멍청한사람이 더 많은거같은데 비난아니고 경계성지능장애 해당되는 사람 꽤 많다고 기사 본 거 같음,,지금 애들 수준도 갈수록 낮아지는데 더 이상 기대도 안됨 나 혼자 어떻게든 잘 살아야지
양극화의 끝을 달려갈거 같은데 ㅎ
내 생각에 한국은 이미 첫번째 실험으로 인한 닭장의 결과임.
그렇게 돈 좋아죽는 자본주의 마스터들은 낳으라 그래. 프롤레타리아는 재생산을 거절합니다.
저소득도 아무 대책없이 많이 낳던데
돈이 있어도 환경이나 여권 생각 하면 안낳는 사람도 있는데.. 비혼들은 다 거지게? 아무튼 요즘 부모들 교육하는거보면 우리 중년 되었을때 20-30대들은 인성교육 안되어있고 헛똑똑이 잘난척만하는 기본도 못하는 성인들만 그득할거같음 그래서 난 제발 공교육과 가정교육에 신경 좀 썼으면 좋겠어
경쟁사회, 물질만능주의, 약자혐오를 타파할 생각 없이 방치한 나라의 말로라고 생각...멀쩡한 사회인데 우리가 그냥 애 안낳아야지~하고 안낳는 게 아니잖아 이 사회가 고통받는 국민을 방치해서 낳은 결과임...범죄자 처벌도 솜방망이라서 권선징악도 옛말인데 무서워서 애를 낳겠나...나름 경쟁사회에서 돈이든 권력 잡아서 이긴 사람들 아니면 저런 사회에 아무 생각 없고 둔한 사람들만 낳을 수 밖에 되버렸어 저 담론이 엄청나게 화제된다고 해도 방치할 거 같음...
상향 병준화되도 거기서 또 급 나누고 또 급 나누고할텐데...
그렇다기엔 고소득 고학력 여성들은 결혼 덜하는 추세아닌가...
애를 부자만 낳아라 학벌 높은 사람만 낳아라 그러는거 다 우생학이랑 비슷한 논리같음
내 주변엔 저학력에 일용직이 애 주렁주렁 낳더라
확실한 건 중간층 출산율리 붕괴됨
흥미롭네
난 이거 잘 모르겠다 고소득 결혼 자녀들 비율 증거 저소득 혹은 중간정도 200-300월급 따리 결혼 자녀 비율 통계내지 않는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