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네트웍 구축하기
- 무선 네트웍을 구축하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것.
수년전부터 무선 IP공유기 보급이 할발해지면서 무선 IP공유기를
이용한 무선네트웍 구축이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무선공유에 대해 기초지식이 없는 초보분들이 무선공유기를
구입해서 가정집에서
구축하려다가 신호를 받지 못해서 인터넷이
아예 안되거나 인터넷접속은 되는데
자주끊기는등
장애가 심해 울며 겨자먹기로 다시
유선공유로 바꾸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분은 전자렌지만
돌려도 무선인터넷이 끊긴다는 분도 있었구요.
무선공유기 판매업체의 광고와는 달리 공유기와 컴퓨터사이에
벽이 2개가 있을때는 아예 무선이
안되고
그나마 벽이 1개만 있더라도 벽의 재질에 따라서 겨우 통과되거나 자주
끊기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무선 네트웍(무선공유기)구축은 가정집(특히 아파트)에서는 이런
장애발생 요인이 많으니
컴퓨터 2대를 같은방에서 사용하거나, 사무실등의 목재로
파티션이 되어있는 곳이 아니라면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비용은
유선공유에 비해 2배정도 더 들면서 정작 무선공유를
하려다 낭패를 보는분들이 없기를 바랍니다.
그럼 무선 IP공유기를 이용한 무선네트웍 구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 필요한 장비 : 무선 IP공유기, 무선랜카드, 랜선(다이렉트케이블)
1m
1. 무선이라해도 설치방법은 유선공유와 별 다를 것은 없습니다.
무선공유기를 설치하고나서 무선으로 사용할 PC에서 무선신호를
받아오는 작업을 해주면 되니까요
접속프로그램을 사용하는 ADSL인 경우,
접속프로그램을 삭제한 후 시작합니다.

위 그림은 PC, 무선공유기, 모뎀을 연결한 연결도입니다.
위
공유기는 안테나가 없지만 대부분의 무선공유기는 안테나가 달려 있습니다.
유선공유기
연결과 마찬가지로 랜선(다이렉트케이블)로 모뎀과 공유기의 WAN포트와 연결하고
PC와
공유기의 1,2,3,4번포트중 아무곳에나 랜선(다이렉트케이블)로 연결합니다.
2. 무선공유기에 연결한 내부 PC의 네트워크 설정
2 -1. Windows 버전별(98, ME, 2000, XP) 네트워크 설정 방법
Windows의 버전에 따라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화면에 약간씩의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각 Windows 버전에 따라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Windows 98이나 ME]

1) Windows의 [시작]->[설정]->[제어판]의 순서대로 클릭합니다. [제어판]화면이 위와
같이 나타나면
[네트워크]를 클릭합니다.

2) 위와같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화면이 나타나면 [TCP/IP]로 시작하는 항목 중에 사용중인
LAN카드와 연결된 것을 선택하여 더블
클릭하거나 [등록정보]를 클릭합니다.

3)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자동으로 IP주소 지정]를 선택한 후에 [확인]을 클릭하고 컴퓨터를 다시 시작합니다.
[Windows 2000

1) Windows의 [시작]->[설정]->[제어판]의 순서대로 클릭합니다. [제어판]화면이 다음과 같이 나타나면 [네트워크
및 전화접속연결]를 클릭합니다.

2) 다음 화면에서 마우스로 [로컬영역연결]을 가리킨 후에 오른쪽버튼을 클릭하고 [등록정보]를 다시 클릭합니다.

3) 다음 화면에서 [인터넷프로토콜(TCP/IP)]을 선택하여 더블 클릭하거나 [등록정보]를 클릭합니다.

4)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자동으로 IP주소받기]를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Windows XP]

1) Windows의 [시작]->[설정]->[제어판]의 순서대로 클릭합니다. [제어판]화면이 다음과 같이 나타나면 [네트워크연결]를
클릭합니다.

2) 다음 화면에서 마우스로 [로컬영역연결]을 가리킨 후에 오른쪽버튼을 클릭하고 [속성]을 다시 클릭합니다

3) 다음 화면에서 [인터넷프로토콜(TCP/IP)]을 선택하여 더블 클릭하거나 [속성]을 클릭합니다

4)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자동으로 IP주소받기]를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3. 무선공유기 셋팅
사용하는 PC의 네트워크설정이 되었으면 무선공유기와 PC간에 정상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우선 공유기에
전원을 연결하여 공유기의 WAN포트 및 PC와 연결된 LAN포트가 점등 되는지 확인합니다.
이제 무선공유기 구입시 동봉되어진 매뉴얼을 펼치고 매뉴얼 내용대로
무선공유기 셋팅을 시작합니다.
공유기마다 셋팅창에 접속하는 주소는 다르지만
대개가 192.168.x.x 로 시작합니다.
- 파일, 프린터공유는 [공유기없이 인터넷공유하기]게시판을
참고하세요~
첫댓글 좋은 자료 고맙습니다. 많이 배우고 가요(준회원인데도 볼수 있네요..감사^^
xp인데요 근데;; ip 어떻게 알음??
시작 -> 실행 -> command -> 엔터 -> 검은색 도스창이 뜹니다. -> ipconfig -> 엔터 IP Adress : 뒤에 숫자가 IP입니다. 예) IP Adress . . . . . . : 123.456.7.8 이라고 되어있으면 123.456.7.8 이 IP입니다.
2층집인데요~ 아래위층사이에도 무선공유기 사용가능한가요?
요즘 최신성능이라고 선전하는 무선공유기에 기대하고 여러가지 비싸게 샀다가 낭패본 경우가 바로 저..^^; 나무벽(가정의 방문 등)은 문제없이 전파가 투과하는 반면 콘트리트벽은 얄짤없이 통과 못하거나 전파강도가 들쭉날쭉이더군요.. 결국 무선공유에 대한 환상을 버리고 며칠전 단자함공유를 성공시켜 쾌적하게 사용중입니다..
777...
연구개발 / 생산기술 / 품질관리 / 설치시공 각 분야별 기술지원, 프로젝트,
자재/장비를 직접 거래 할 수 있는 곳이더군요
기술경매 형태의 "테크노옥션" www.technoauction.co.kr 에서 엔지니어의 능력과 노하우를 직접
거래 하실수 있도록 지식거래의 장을 마련 되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