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있는 그대로 NO! GMO!!"
 
 
 
 

최근 댓글 보기

 
최신 댓글이 없습니다.
 
 

카페 인기 검색어

다음
 
 
카페 게시글
☞어촌민영화하는 갯벌양식어업의육성법 제정반대서명 반대서명해주세요. 어촌을 자본이 지배하게 하는 어촌민영화 법안을 반대한다.
강주영JUYOUNGKANG 추천 1 조회 411 12.02.17 12:20 댓글 3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2.02.17 13:18

    첫댓글 더이상 재벌에게 특혜를 제공하지마라 갯벌민영화를 반대합니다.

  • 작성자 12.02.17 13:30

    감사합니다. 첫 반대자입니다.

  • 12.02.17 15:53

    봉이김선달이 따로 없고만?? 무조건 반대!!!

  • 12.02.17 17:34

    갯벌을 기업이 소유하다니, 너무하다, 진짜! 반대합니다.

  • 작성자 12.02.17 21:51

    아! 힘솟아요

  • 12.02.18 13:31

    이거 퍼가도 될까요? 타카페로요..

  • 작성자 12.02.18 14:23

    퍼가도 돼요 제가 신문사 전화해서 동의 얻었어요. 출처 밝히셔야 합니다

  • 12.02.20 12:45

    네 출처 낼 퍼가면서 밝힐께요 일단 제 블로그로 담아갑니다^^

  • 12.02.21 22:18

    네.. 일단 쪽지 좀 봐주세요 제가 퍼갈 카페 쪽지로..

  • 12.02.19 16:51



    잘 못된 판단은 돌이깈 수 없는 우리 어촌경제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봅니다
    1) 임대차 합법화…어촌공동체 자본·기업에 종속을 우려하는 사항에 대하여는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어장주인은 어업인이고 외부자본 유치도 어업인 결정하게 되고 경영도 어업인이 하기 때문입니다.
    2) 양식업 산업화…갯벌·연안생태계 파괴 초래에 대하여도 그렇제 않다고 봅니다. 양식도 환경관련 기관 및 단체와 협의하도록 하면 된다고 봅니다
    3) 어촌계 중심 마을어업·소규모 양식업자 붕괴도 전혀 그렇제 않다고 봅니다. 지금 이대로 두면 고령화 영세성 등으로 붕괴가 빨라질 수 있는 점입니다

  • 작성자 12.02.19 22:36

    상황을 낙관적으로 보사는군요. 굴러온 돌이 박힌돌을 뺘낼 것입니다. 법인은 의결권이 투자자에게 있습니다. 어업은 살고 원주민이 죽으면 뭐합니까. 무안 줄포만 서천 태안반도 등의 갯벌을 외부 자본이 운영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분명합니다. 지금 농토의 반 가까이가 부재지주입니다. 어민이 아니라 어업노동자가 되겠지요. 바로 위의 생태지평연구소의 글을 참고하쎴으면 합니다. 환경단체와 협의해도 법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새만금이나 4대강사업처럼요. 독립자영어민의 지위를 유지하면서 어촌계나 어업협동조합에 의한 공유자원의 자치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수협은 이미 관제화 자본화되어 있습니다.

  • 12.02.21 01:23

    정말 어촌의 현실을 이해하지 못한 이야기입니다. 어촌의 인구가 어촌의 소득이 산업사회 아니 정보화사회의 사는 우리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현장에서 한번 들어보세요 그들이 어촌에 살아가는 이유를요!! 왜 젊은 사람들이 어촌을 떠나는지를 직시하고 그성세 합덩헌 대안을 제시해 보세요 어떤 것인 어촌 경제를 활엇화 시킬 수 있는지를 말입니다

  • 작성자 12.02.21 03:55

    농촌을 떠나는 이유, 어촌을 떠나는 이유가 다 같습니다. 저도 농사 짓기가 싫어 서 도시로 나왔습니다. 그런다고하여 어촌이나 농촌에 대자본을 유입시켜서 그들의 땅으로 만드는 것은 옳은 대안이 아닙니다. 저는 대안으로 공유자원의 자치적 관리 즉 협업화입니다. 개인독립어민과 자영농의 지위는 유지하면서 협업화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그 때 들어가는 자금은 정부의 지원금일수도 있고 출자금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 회사의 형태는 주식회사가 아니라 협동조합입니다. 오늘날의 수협이나 농협은 본래적인 의미의 협동조합이 아닙니다. 자치금융이 아닌 관제금융입니다.

  • 작성자 12.02.21 03:55

    농촌의 경우 1군에 축사 한개만 두는 것입니다. 대관령 삼양사 목장 처럼요. 여기저기 촌스러운 축사하지 말고, 이 협업축사의 운영은 농민조합원이 합니다. 자기가 위탁관리한만큼의 약간의 시설사용료만 지불하면됩니다. 기존의 소련이나 북한의 협동농장이 실패한 것은 당이 일방적으로 통제하고, 독립적인 지위를 유지한 것이 아니라 농업노동자로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저는 덴마크나 네덜란드 모델을 꿈굽니다. 갯벌목장이나 바다목장 역시 대기업이 운영하는 것이 아닌 어민이 운영해야겠지요. 거기 자금은 정부가 줘야지요. 은행 공적자금이나 대기업 수출자금은 몇조씩 주면서 왜 안줍니까.

  • 작성자 12.02.21 03:56

    그간 정부지원금이 실패한것은 개인에게 주고 사업의 실패도 아무도 책임지지않았기 때문입니다. 지역 토호의 손으로 들어가고요. 영농법인 역시 사실상 지배적인 한두명의 소유지 구성원의 소유가 아닌 것은 다 아시는 일이고요. 그럼으로 이제 규모화된 시설을 지자체와 국가 농어민이 공유해서 공동으로 관리하고 각 참여자의 지위는 개별적으로 다보장하는 것입니다. 투자지분과 관계없이 의결권은 1인1표입니다. 다행히우리나라도 유럽식의 협동조합기업을 할 수 있는 법이 2011년12월29일제정 2012년12월1일 시행됩니다. 스펜인에서 매출액 10위안에 드는 '몬드라곤생산복합체'나 축구명가 'FC바르셀르나'는 협동조합기업입니다.

  • 12.02.21 19:41

    그래서 계획하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어업인은 생산에 전념하고 가공과 유통은 전문업체가 전담하고 공공기관이 투명한 경영을 하여 모든 참여자들이 공히 이익을 볼 수 있도록 갯벌양식어업에서 그 해결책을 찾는다고 하니 관계기관을 찾아가시든지 한번 문의해 보세요

  • 12.02.21 19:45

    농사 짓기 싫다고 했습니까? 왜그랬나요? 저 또한 농사꾼 아들이지요 옛날은 농사로 대학교를 가르칠 수 있다면 현재로는 어림도 없지요 왜 그렇게 된지 아시나요? 이는 계속 조상대대로 해 오던 방식의 농사에서 벗어나지 못해서 그래요 즉 다시말하면 고부가가치 농업을 자본이 없어 할 염두도 못내고 정보도 없어서 그렇구요 그렇지 않나요? 그럼 어떻게 해야겠습니까 무엇인가 대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나요? 무조건 반대만 하지 마시고 대안을 내세요

  • 12.02.21 19:48

    대관령 삼양사 목장이라구 했나요. 그야말로 대자본이 싹쓸이한 대표이군요 이렇게 어촌을 만들자는 것인가요? 그렇게 합시다.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해 보세요 농수산업 수출 및 진흥을 위한 예산이 투입되는 것으로도 알고 있습니다

  • 작성자 12.02.21 20:19

    삼양사는 주인이 주주이지만 제가 말하는 것은 농민이조합원으로 참여하는 협동조합기업입니다. 자본이 들어올 자리가 아닙니다. 삼양사는 그정도의 큰 목장을 1군에 하나씩(상징적 표현으로)두자는 규모성을 말하는 것입니다. 일례로 덴마크의 알라라는 농식품기업은 조합원이 3만명인데 사장도 조합원들이 투표로 뽑습니다. 규모의 경제성과 주주의 소유가 아닌 농민적 소유입니다. 협업화 농어업은 주주기업과는 달라서 7~80년대만해도 빨갱이 취급받았습니다. 하림이 닭으로 큰 기업이 되었지만 그건 농민이 하도급으로 전락한 사례일 뿐입니다. 농업은 발달하지만 농민은 다 죽죠. 하림닭공장에서 방역복 입은 이는 노동자지 농민이 아니죠

  • 작성자 12.02.21 20:17

    저는 몇개의 라면회사가 싹쓸이하는 식품보다 일본처럼 수천수만개의 라면집을, 파리바게트가 싹쓸이하는 빵가게보다 동네 빵집의 생존이 서민경제를 살리는 길이라 믿습니다. 이마트의 참여로 유통산업은 커졌지만 이는 다른 자영업자의 몰락을 초래했을 뿐입니다. 다른 토론에서 대안이 없다고 말하시는데 주주의결권이 아닌 투자지분에 관계없이 1인1표의.협동조합기업이 규모의 경제성을 달성하는 안을 분명 말씀드린걸로 압니다. 거대 RPC(현대식미곡처리장)는 농민적 소유는 거의 없고 농민을 단순 납품자로 전락시켰지요. 고부가가치는 농민적소유에서 의미가 있지요. 예컨데 하림이 싹쓸이하는 닭시장을 저는 대안으로 보지 않습니다.

  • 12.02.21 21:21

    도대체 이런 논란이 우리 회원들간에 생기는 이유는 뭔가요? 전문업체에 가공과 유통을 맡기면 어민들의 삶이 나아지나요 대기업에 무엇을 맡겨서 제대로된 답안을 받아본적이 없는데 다시 또 이런 일들을 되풀이 해야 되나요

  • 12.02.22 22:31

    ㅎㅎㅎ 전 좋은데염??

  • 12.02.22 22:35

    이건 논점이 다른 말인데 ㅋ '대안을 내라'라는 말 무지 싫어해요 왜냐구요? 같이 고민해야지요 ^^ 무슨 우리가 전문가 집단도 아니고 ㅋㅋㅋ 문제제기 하면 돌아오는 답은 '개선하겠다'가 아닌 '대안이 있냐'지요. 그럼 교수고 학자는 왜 있데요??ㅋㅋㅋ 토론회는 왜 하구요? 공론화 시켜서 함께 의견을 나구고 개선점을 찾아야 나중에도 탈이 없는데 말이죠

  • 12.02.23 16:05

    ((네덜란드 화훼산업---알스미어))를 벤치마킹하면 농수산업의 해답을 어느정도 찾을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횡성축협과 평창축협의 사례도 좋은 모델이 될 수 있구요 공공기관(조합, 협회, 단체 등)이 투명경영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주면 모든 해답은 찾을 수 있다고 봅니다. 종자생산업자, 생산자, 가공자, 유통자 등이 개별사업 객체로 참여하는 형태 말입니다 ^^ 그렇게 농수산업이 틀을 잡아 갈 수 있도록 중지를 모았으면 합니다

  • 12.02.23 16:25

    ㅡ,ㅡ 그래서 강주영 샘이 공동체협동조합 대안 내놓았잖아여. 좀 게시물좀 읽어주세요

  • 12.02.23 17:45

    "공동체협동조합"이라는 어떻게 조직하고 어떻게 운영하자는 것인지 자세히 설명 부탁드리면 안되겠는가요?^^

  • 12.02.24 00:06

    닭치고, 반대!!!

  • 12.02.24 00:49

    절대 반대합니다.

  • 12.03.01 23:50

    저두 반대 !!!

  • 12.03.01 23:50

    저두 반대 !!!

  • 12.05.18 09:16

    반대합니다.

  • 12.05.29 08:27

    서명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