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용접의 원리
① 용접은 접합하고자 하는 2개 이상의 물체나 금속 재료의 접합 부분을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만들어
직접 접합시키거나 또는 접합하고자 하는 두 물체 사이에 용가재를 첨가하여 간접적으로 접합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② 금속과 금속의 원자간 거리를 충분히 접근시키면 금속 원자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스스로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금속의 표면에는 매우 얇은 산화 피막이 덮여 있고 울통불퉁한 요철이 있어 상온에서 스스로 결합할 수 있는 1cm의
1억분의 1 정도까지 접근시킬 수 없으므로 전기나 가스와 같은 열원을 이용하여 접합하고자 하는 부분의 산화 피막과 요철을
제거하므로 금속 원자간에 영구 결합을 이루는 것을 용접이라고 한다.
2.용접의역사
1831년'패러데이'의 발전기 방명으로 전기시대에 들어선 후 1885년 베르나도스에 의한 탄소 아크 용접의 발명과
1888년 슬라비아노프에 의한 금속 아크 용접법 개발로 급진전되었다.
주조용접법과 개발자
구분 | 용접법 |
개발자 |
제1기 (1885-1902년) |
탄소아크 용접 전기저항 용접 금속아크 용접 테르밋 용접 가스 용접 |
베르나도스 (구소련) 톰슨 (미국) 슬라비아노프 (구소련) 골드 슈미트 (독일) 푸세, 피카르 (프랑스) |
제2기 (1926-1936년) |
원자수소 용접 불활성가스 아크 용접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 경납땜 |
랭그뮤어 (미국) 호버트 (미국) 케네디 (미국) 왓사만 (미국) |
제3기 (1948-1958년) |
냉간 압접 고주파 용접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 탄산가스 아크 용접 마찰 용접 초음파 용접 전자 빔 용접 |
소더 (영국) 구로호드 라트 (미국) 빠돈 (구소련) 소와 (미국) 아니이니 초지코프 (구소련) 비른 파워스 (미국) 스틀 (프랑스) |
3.용접의 종류
① 융접 : 접합하고자 하는 물체의 접합부를 가열.융용시키고 여기에 용가재를 첨가하여 접합하는 방법이다.
② 압접 : 접합부를 냉간 상태 그래도 또는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후 여기에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방법이다.
③ 납땜 : 모재를 용융시키지 않고 별도의 용융금속(예를들면 납과 같은것)을 접합부에 넣어 접합시키는 방법이다.
[참고]
- 기계적 접합법 : 볼트, 리벳, 나사, 핀 등으로 결합하는 방법이다.
- 야금적 접합법 : 고체 상태에 있는 두 개의 금속 재료를 열이나 압력, 또는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해서 서로 접합하는 것
으로 용접은 이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