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록격(歸祿格)
귀록격이라는 뜻은 정록(正祿)이 돌아와, 하나의 격이 성립됨을 말함인데, 즉 시간에 일주의 록이 귀착하여 격이 성립되므로 이 격을 윈명, 일록귀시(日祿歸時)또는 일록걱시격(日祿居時格)이라고한다.
그런데 록이 월건에도 임할수있지 않겠느냐의 문제인데, 이것은 지난번 건록격으로 다루었기 때문에 이곳에서는 논하지않는다.
가령 갑일생인이 인월에 출생이면 건록이요, 갑일생인이 인시에 출생하면 귀록격이라고 칭하는것이니 똑 같은 격이지만, 월령에 있음과 시간에 있음에따라, 건록,귀록으로 구분하는것이다.
그런데 이격에 대하여 사언독보(四言獨步)에서는, 일록거시가 청운득록인데 월령에 있으면, 그것은 재나 관으로 용하게되는바, 시간의 록은 비견이 되므로,신주를 방신(幇身)하여 재관을 능히 사용하게 도와주는 역활을 한까닭이다.
비교을 해보았을때 사언독보에서는 월령재관을 좋아하는 듯하고, 이 희기편에서는 관성을 보지않아야 된다고하여, 모순된말과 같으나, 그 실은 양론(兩論)이 다같은것이다.
왜냐하면 전자는 재와 관이 있으면, 재와 관을 쓰기때문이요 후자는 이 귀록격을 사용할려면 관이 없어야만 성립된다는 면으로 본까닭이다.
그리고 뒤이어. 일간이 생왕(生旺)하면 금신,상관운을 좋다고하였는데, 그것은 일주가 귀록하면, 득위(得位)가 되어 자연 왕하게 되는데,그 때는 상관식신을 생하여 泄精(설정){가상관}하게 되므로 인하여 발복하게 된다는것이다.
그리고 이격은 10종중 7종이 있는데, 그것은 갑일인시, 을일묘시 병일사시, 정일오시,무일사시, 기일오시 경일신시 신일유시 임일진시 계일자시 의 10종이있는데,이중에 을일기묘시는 시상편재격, 병일계사시는 시상관성격, 신일 정유시는 시상편관격으로써 월령재관에 의하여 재관격으로 작용하므로, 록조재관(祿助財官)하고 3일외에 7일만이 귀록격으로 작용되는것이라고, 삼거일람부(三車一覽賦)에 기록되어있다.
다음 이격에 싫어하는것은 여섯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형충으로 건록을 파괴시켜 일주지위를 약화시킴이요
둘째는 합으로써 록의 작용을 못하게 함이요
셋째는 도식으로써 록이 식신상관을 생하여, 설정을 도모하는데, 도식으로써 식신상관을 타도하여 파료상관(破了傷官)을 시킴이요,
넷째는 관성으로써 록이 가상관식신격을 잘이루는데, 방해가 되는것이요,
다섯째는 일월이 천원동으로써 일월록이 같은 비견이되어서 부를 극함이요
여섯째는 세일 즉 생년이나 생일이 같은 비견으로써 생시록에 같은 비견으로 합작하여 극처극재(剋妻剋財)함이다.
그러나 이것도 일례로 무조건 나쁘다고만 판다해서는 안되는것이니 가령 갑자 병자 계축 임자시로 지원3자 즉 년자 월자 시자로 귀록에 3비견이 합작하였어도, 극처극재(剋妻剋財)하지않고 복록을 누린 사주도 있는것이다.
*시결해석
귀록격에 재를 만나면, 신왕재왕으로써 명리가 쌍전하는데, 귀록을 놓아 신주가 강하므로, 재가 간두(干頭)에 투출(透出)되어도 싫어하지않는다.
이격은 파가없으면, 신왕으로 평생이 좋은데 ,크게두려워하는것은 록궁을 형파(刑破)하여 일주근을 제거하는것과, 또 한가지는 세월천원에 비견이있어,록궁비견과 합세하여 재를 극하는것이다.
일록귀시궁이 왕함을 바라는데, 형충한것도 두렵고, 식신상관이 있어 그 곳에 설정함이 가장기쁜것이다.
상관을 작용할때에 두려운것은, 재를 상하는 비견운인것이니 그것은 신왕에 설정을 좋아하여, 상관생재(傷官生財)가 되는것인데, 비견운이 들어와 재를 생하는것을 방해하므로, 재가 생할수없음에 재부당(財不當)하고,또 재는 관을 생하지못하여, 관불고(官不高)하게 되는것이다.
일록귀시격은 가장좋은데, 두려워하는 것은 관살이다. 귀록이 형충파해를 당하던가, 비견을 많이 만나게 되면, 모든일이 난처함을 당하게 될것이다.
일찍 청춘에 출세길을 얻음은,귀록격을 놓은탓인데 또는 운명이 이것을 잘 놓으면, 귀하고 기특(奇特)하도다.
사주에 충도 없고 해(害)도 이르러오지않아, 몰관성(沒官星)이 되어있으면, 소년에 힘들지않고도 등과하여 월계수를 쓰게될것이다.
*귀록격의 용신
이격은 시에 정록으로써 육친의 비견에 해당하므로, 일주를 도와 용겁될때에 많이 작용되는 것이다.
가, 귀록용식상격
일주가 왕하여 식신,상관에 설정하는 예
나, 귀록용귀록격
사주에 재다신약으로 또는 식상태왕으로 신약인경우 시지귀록으로 보강하는예
다,귀록용재격
인수가 없고, 비견,겁재으로 신왕한 사주가 재를 작용하는 예
라,귀록용인격
이것은 있을수없다.
귀록은 본래 신을 도와서 신이 왕해있으므로, 인수를 필요로하지않기때문이다. 그리고 혹은 이귀록격을 놓고 관살이 왕하여, 인수를 용신으로 필요할때가 없지는 않으나, 그 때는 이미 이격은 관성이 없어야만 성립되는것이므로 관살이있으면, 이격자체가 성립되지않기때문이다.
마,귀록용관격
이격도 있을수없다.
왜냐하면, 이 격자체가 관성이 없어야 이루어지기때문에, 관용신이있을수없다. 예를 들어 오월신유일생이 정유시에 생하고, 다시 신이 더욱왕하였을경우 귀록용정화관살격(歸祿丁火官殺格)같이 보이나, 이것은 오중정화가 투출되어 편관용편관격으로 구성되어 시상일위귀(時上一位貴)라는 명칭을 얻고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에 신일 정유시나, 병일 계사시는 귀록이 되지않는다고 한것이다.
시 일 월 년
壬 癸 丙 甲
子 丑 子 子
*계일주가 전부 지지에 3자와 습토인 축이 모여있어, 세를 따르는 종격을 취한다.
사주첩경에서는 윤하격(潤下格)으로 론하였으나, 엄밀히 구분하여, 종왕격에 가까운 명이다.
윤하격은 방합이나, 삼합이 구성되어야하기에, 이루어진 원리를 지켜야 후학들이 혼동하지 않을것이라 여긴다, 이러한 명은 적천수의 한습(寒濕)의 장에서나, 종왕격(從旺格)으로 금수의 서북방향이나, 설기하는 동방목의 방향도 길한 곳이라고 첨부한다.
시 일 월 년
己 乙 丁 甲
卯 丑 丑 子
을일주가 축토의 계절에 태어나 천간에 기토가 나타나, 시상편재격을 이루었다, 억부법에 의한 용신을 잡은명이다. 술사(戌士)이며 의업에 종사한 명으로 학문과 명예를 얻은 명이다,신사대운에 사축의 금을 이루어, 용신인 목을 금극목하여, 경자년에 천격지형(天擊地刑)하여 사망하다,
"용신은 不可 損傷(불가손상)이며, 일주는 最宜健旺(최의건왕)해야 한다"
시 일 월 년
丙 甲 癸 丙
寅 子 巳 午
귀록용인격(歸祿用印格)이며, 상관용인격(傷官用印格)이라하여, 금수운 마을에 대귀(大貴)한 사주다,
*갑일주가 사월에 출생하고, 식상의 설기가 5개로서 일주가 심히 쇠약하다, 일지의 자수가 조후용신이며, 월간의 계수가 아름답고, 설기가 태다하였음에도 대귀하게 된것은 사중의 경금이 있기때문이라 첨부한다. 진상관격(眞傷官格)이라 총칭하면된다,
시 일 원 년
丙 丁 甲 甲
午 未 戌 午
귀록격을 이루고, 년지에 취록하여 더욱 기이하고, 몰관성유식상(沒官星有食傷)으로 관성인 수가 없고, 술미의 식상이 있어 순수한격으로 이루어져 아름다운 명이되었다, 양갑목이 상관인토를 극하여 불길(不吉)한듯이 보이나, 년상의 갑목이 지지의 오화를 생하고, 월상의 갑목은 술중의 신금이 있어 살지(殺地)가 되므로, 토를 극하는 힘이 약하고, 정화를 생하여 더욱 좋아진다. 이러한 이유로 대귀(大貴)하게 된 사주다.
*사주에서 팔법(八法)으로, 생극제화 형충회합(生剋制化 刑沖會合)의 작용이 있어, 수많은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역의 기본이며, 천체의 움직임이다. 이사주에서는 오술의 합화와 오미의 육합으로
사주전체가 천지교태(天地交泰)의 상으로 화로서 이루어진 종강격(從强格)에 가까운 명으로 용신은 화이며, 희신은 목이며 길신은 술미의 난토(暖土)라고 본다,
동방의 목운에 들어서 발복한 명이라고 추정한다.
시 일 월 년
丙 丁 丙 丙
午 未 申 申
일록거시격으로,신년 신월에 재를 이루었고,천간의 병화는 신상에 있어, 십이운성의 병궁(病宮)이 되어있고, 임수장생의 살지에 앉아,금을 극하고 신(身)을 보호할 기운이 없다.고로 오록에 의지하여 미토상관과 신금재를 작용할수 있는데, 오미신으로 매우 청국(淸局)을 이룬 귀격(貴格)의 사주다,
*해설을 보면, 이 사주가 신강사주인지, 신약의 사주인지를,혼동하게 풀이를 한것같은 문맥이 보인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여 미토는 신금을 생할수없다, 그것은 난토(暖土)이며, 일주가 신강하여, 신금의 재성이 주위의 화에, 약해져셔, 이 많은 화를 제거하는 수가 용신이며, 금이 희신이다.
축진의 습토는 길신이며, 미술의 난토는 구신으로 그래서 미토는 신금의 재서을 생할수없다는 이치가 나온다, 대운이 서북방향의 용신,희신운으로 달려서 귀하게 된명이다.
시 일 월 년
己 乙 甲 戊
卯 亥 寅 子
원래 시상편관격의 명이되어 격이 안된다고 하였으나, 월지에 장축(藏畜)하는 재성의 근(根)이 없으므로 귀록격이 성립하는것이다.뿐만 아니라, 갑목의 비견과 지지의 수목이 왕하여, 오히려 귀록격보다는 동방일편투기(東方一片透氣)로서,곡직인수격(曲直印壽格)에 관련된 사주인데, 그묘가 시간에 놓이고, 을일에 태어나서 이격을 대표로 내세운것이다.
또한 무자 을묘 갑인 정묘시도 곡직인수격이라해도 틀린말은 아닌것으로, 크게 성공한 사주로서 재상까지 지낸 귀격의 사주다,
사주상황에 따라서, 다름이 나오는것이니, 불가일례언(不可一例言)이라고 한예만을 고집하지 말아야한다.
*정확히 짚은 말씀이다, 사주는 변화이며, 팔자의 조화와 균형을 가지고 논해야지, 한부분만을 고집하지 말라는것이며다, 이 사주와 차기의 사주를 곡직인수격에 포함되었는데, 앞으로 사주를 배우는 후학을 위해서는, 구분을 할필요가 있다고 첨부한다, 갑을인생에 월령을 끼고, 인묘진방합이나, 해묘미의 삼합이 있는 명을 곡직격이라하고, 상기의 명은 종왕격으로 구분하면 된다고 본다.
운에서 방합이나, 삼합이 되면, 그에 따른 격국의 성립도 되기에,곡직격에 포함해도 되나, 이러한 구분을 확실히 할필요가 있어야, 초중급자가,혼동을 일으키지 않을것이라 생각한다.
천현갑 출산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