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①학생學生 - 일반적으로 옛날에 가장 널리 쓰이는 명칭임 지금은 안쓰기로함 -------------------------------------------------------------------------------------------------- ②처사處士 - 전문직종사자(현대에는 대부분이 전문직이므로(농업도 기술임) 관직이 없는 분은 처사로 표기) ③공관公官 - 기관장이 아닌 공직자,조합장 - 직급으로 표기 가능(교사,사무관,행정주사,행정서기 등 - 군경(軍警)은 군별과 계급(육군 상사, 육군 대위 등)
④유인孺人 - ① 조선 때 정구품·종구품인 문무관의 아내에게 주던 봉작 ②보통 사람의 아내의 신주나 명정에 쓰던 존칭 -------------------------------------------------------------------------------------------------- ⑤기장機長 - 기술사,기장,선장,기관장,기능장 등 ⑦법관法官 - 법조인,변호사,회계사,변리사,감정사 등 ⑧임원任員 - 기업고위직(기업 회장,사장,간부,부장 이상 등) ⑨의원議員 - 선출직 정치인 ⑩학자學者 - 학계에 계셨던 분, 교수,박사,석사 ⑪의사醫師 - 의사 ⑫공관장:總長,學長,校長,長官,知事,市長,廳長,郡守,署長,面長 등
⑬숙부인淑夫人 ①조선 때, 당상관 정3품 문무관의 아내에게 주던 봉작 ②기관장급 관직(사무관,고급 장교(중령),고급 경찰·소방관 이상 포함), 기장,회장,법관,임원,의원,학자, 의사 등의 아내 ----------------------------------------------------------------------------------------------------------------- ⑭통정대부通政大夫 - 90 세 이상 생존 시 경로직으로 봉작(과거에는 80세 였음) 경로직 ⑮절충장군折衝將軍 - 90 세 이상 생존 초급 군경소방관 장기복무 경력자의 경로직 경로직 |
#벽촌에 통정대부, 절충장군 등의 비석을 많이 볼 수 있는데 대부분 80세 이상 생존 후에 돌아가신 어르신께 내리는 경로직임
우리도 옛 관습을 계승하되 90세로 상향 조정코자함.
2. 지방 예시
현고(顯考) 신주나 축문에서 ‘돌아가신 아버지’를 일컫는 말
학생(學生) ① 배우는 사람. 주로 학교에 다니면서 공부하는 사람. <동의어>
② 벼슬하지 않고 죽은 사람의 명정·지방·신주 따위에 쓰는 존칭
부군(府君) (1) 한(漢)대 고을 태수(太守)의 존칭. (2) 죽은 아비·조부의 존칭. (3) 존자(尊者)·장자(長者)의 호칭.
(4) 부군당(府君堂)에 모신 신령.
현비(顯妣) 축문이나 신주에서 ‘돌아간 어머니’를 일컫는 말. 죽은 어머니의 경칭
유인(孺人) 대부(大夫)의 아내. 아내의 통칭
신위(神位)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 神主(신주).
현고처사부군신위 -----부 현조고 -----조부
현비유인김해김씨신위 -----모 현조비유인 -----조모
비[妃] 임금의 아내나 황태자의 아내.
증조부모 두 분
부모 두분 모실 때
3.묘비 예시 -문중묘지 평장묘
*묘비의 규격은 통일한다
*묘비 문구는 각 후손의 자의(自意)에 의한다.
*직위는 위에 적은 관직을 원칙으로하나 현시대에 맞게 표기할 수 있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밀
| ||
동작동 현충원
동작동 현충원
대전 현충원
4.19 묘지
제주
미국 알링턴 국립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