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연형 (ない형) |
연용형 (ます형) |
종지형 |
연체형 |
가정형 |
명령형 |
의지형/권유형 | |
접사 |
~ない |
~ます |
원형그대로 |
원형그대로 |
~ば |
~よう | |
의미 |
부정의의미 |
~입니다, ~합니다 |
단어뜻 그대로 |
뒤에오는 말을 꾸며줌 |
~한다면 |
명령어 |
자신의의지 혹은 권유형 |
5단동사 |
어간+あ단+ない |
어간+い단+ます |
그대로 |
동사+명사 |
어간+え단+ば |
어간+え단 |
어간+お단 |
ex) つくる 만들다 |
つくらない 만들지않는다 |
つくります 만듭니다 |
つくる 만들다 |
つくる もの 만드는 것 |
つくれば 만든다면 |
つくれ 만들어라 |
つくろう 만들어야지/ 만들자 |
상1단동사 (い단동사) |
る탈락+ない |
る탈락+ます |
그대로 |
동사+명사 |
る탈락+れば |
る탈락+ろ |
る탈락+よう |
ex) おきる 일어나다 |
おきない 일어나지않는다 |
おきます 일어납니다 |
おきる 일어나다 |
おきる じかん 일어날시간 |
おきれば 일어나면 |
おきろ 일어나라 |
おきよう 일어나야지/ 일어나자 |
하1단동사 (え단동사) |
る탈락+ない |
る탈락+ます |
그대로 |
동사+명사 |
る탈락+れば |
る탈락+ろ |
る탈락+よう |
ex) たべる 먹는다 |
たべない 먹지않는다 |
たべます 먹습니다 |
たべる 먹는다 |
たべる じかん 먹는 시간 |
たべれば 먹으면 |
たべろ 먹어라 |
たべよう 먹어야지/ 먹자 |
か행 변격동사 |
こない |
きます |
くる |
くる ひと |
くれば |
こい |
こよう |
くる 오다 |
오지 않는다 |
옵니다 |
온다 |
오는 사람 |
오면 |
와라 |
와야지 / 오자 |
さ행 변격동사 |
しない |
します |
する |
する りゆう |
すれば |
しろ(せよ) |
しよう |
する 하다 |
하지 않는다 |
합니다 |
한다 |
하는 이유 |
하면 |
해라 |
해야지 / 하자 |
(*이 표는 직접 작성한 것이니, 상업적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금합니다)
아래의 변격동사 두개는, 각각 한개씩 뿐이므로 그냥 변형부분도 그냥 외우시면 됩니다.
그 외 위의 3가지는 위의 표를 보시고 그에 맞게 변형시키시면 됩니다.
참고로; "어간" 이란, 단어에 있어서 절대 바뀌지 않는 부분으로,
つくる의 경우 앞의 つく가 어간에 해당합니다. (tip. 늘 바뀌는 마지막 る는 '어미'라고합니다)
★ 동사 구분하는 법 ★
(1) 5단활용동사
- 기본형의 어미가 "る"가 아닌 모든 것. 즉 "う, く, す, つ, ぬ, む, ぐ, ぶ"로 끝나는 것.
ex) かく(쓰다),はなす(말하다)
- 기본형의 어미가 "る"로 끝나지만 "る" 바로 앞에 있는 소리가
イ단(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 또는
エ단(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이 아닌 것.
ex) ある(있다), わかる(알다), とる(집다), かぶる(쓰다)
(2) 1단 동사
- 기본형의 어미가 "る"로 끝나면서 "る" 바로 앞에 있는 소리가
イ단(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 - 상1단 동사 라고 함
또는
エ단(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 하1단 동사 라고 함
인 것
ex) みる(보다), できる(할 수 있다), たべる(먹다), おしえる(가르치다)
(3) 불규칙활용동사 (변격동사)
- くる(오다)
- する(하다)
(4) 예외 5단동사
원래 1단동사에 들어가야 마땅하나 예외로 5단활용동사에 들어갑니다. (무조건 외우세요)
入[は]いる(들어가다, 들어오다)
要[い]る(필요하다)
知[し]る(알다)
走[はし]る(달리다)
減[へ]る(줄다)
照[て]る(쬐다)
蹴[け]る(차다)
かえる(돌아가다, 돌아오다)
切[き]る(자르다)
參[まい]る(참가하다) 등등등...
예외동사는 발견하는 즉시 따로 메모해두고 무조건 외우시면 됩니다.
첫댓글 임상 왕언니
정선입니다. 방금 까페 가입했어요. 편안한 밤 되세요
아
반가워요 
. 오늘 늦게 들어왔어요. 
해 드릴께요
주말 잘 보내시고, 공부 많이~ 해 오세요. ㅋㅋ
와~~~ 대단해용...!!!!
당연히 퍼온 글인데... 내가 작성한걸루 아실것 같네요. 이제사 생각했어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