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생에서 7세 |
7세에서 14세 |
14세에서 21세 |
특징적 발달 |
신체 발달 Willing ∙이갈이는 신체발달의 종료를 의미하는 것임 EX) 위의 모습 척추의 모습 |
감정 발달(영혼 발달) Feeling ∙신체 기관 중 호흡과 순환을 담당하는 리듬체와 연관 ∙상상력의 단계 |
정신발달(자아체 발달) Thinking ∙권위에 대한 의문을 갖기 시작 ∙자기 자신의 자유를 발달 |
교육 원리 |
모방과 본보기 놀이 질서 |
교사의 권위 (authority) 제자로서의 자세 (discipleship) ∙머리가 아니라 감성과 관련된 교육 (상상력을 통해 세계를 표상하는 인식) EX) 읽기, 쓰기, 셈하기에 image를 활용 |
공감 Vs. 반감 ∙심층적인 학문적 생활태도의 시초 ∙이전의 지식을 자신의 논리로 확신 해 가는 과정 EX) 과학 Vs. 예술 색채화 Vs. 흑백화 |
슈타이너는 인간이 정신적으로 발달하면서 그 정신적 발달은 신체적 특징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첫 7년 주기의 시작을 ‘신체적인 탄생’으로 시작되며, 두 번째 7년 주기는 유치를 영구치로 ‘이갈이’하는 신체적 특징으로 나타난다. 또 세 번째 7년 주기는 ‘2차 성징’으로 나타나서 그 이후부터 청소년기가 시작된다.
2) 취학전 아동의 발달 단계
7년 주기의 첫 단계인 출생 후 7년 동안 아동은 신체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이 일어나는 시기이다. 인간이 출생할 당시에 신체적으로 모든 기관과 부위를 지니고 태어나지만 생후 7년 동안 신체 기관들은 인간의 기능에 맞게 성숙되어 가는 단계이다.
이 7년 주기는 다시 3 단계로 세분화된다.
① 출생에서 3세까지
인간의 신체적 출생은 부모로부터 육체의 유전적 요소를 받아서 아기 자신의 개별성을 나타내는 영혼적 정신적 존재가 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이다. 출생할 당시 인간은 외적으로 신체적 육체가 완성된 듯이 보이지만 많은 부분 기능적으로 미완성의 상태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행위의지(willing)에 의한 무의식적인 반복행동을 통하여 의식적인 행동으로 변화되어 간다. 아동이 곧게 일어서는 것을 배우는 과정을 상상해보면 알 수 있다.
영아는 보호없이 세계 속에 놓여 있는 상태로 신체 전체가 하나의 감각이나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이 시기 아동은 물리적 환경과 인적 환경을 포함하여 주변에 주어지는 모든 환경을 그대로 흡수하면서 성장하게 된다. 이 시기 아동에게는 특정 성인과의 개인적인 관계가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그 성인과 안정되고 지속적인 관계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② 3세에서 5세까지
이 시기는 상상의 연령으로서 어린이다운 상상이 가능하고 그 것을 기억할 수 있는 능력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그런 이유에서 이 시기 아동은 극화(pretend play)가 가능하게 된다. 이런 상상에 기초하여 환경 속의 단순한 물질을 생활 속의 실제 물건으로 재창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놀이에 나타나게 된다.
이 시기 아동에게 놀이는 자신 내부에 간직하고 있는 창조적인 상상력을 외부로 발현하는 행위로, 이를 통하여 아동은 현실 속에서 안정감을 갖고 성장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③ 5세에서 7세까지
이 시기는 정신적인 상(心象, mental image)이 존재하는 시기이다. 즉 사물이 실제 존재해야만 행동이 발생하는 차원이 아니어서 오히려 모든 행위는 아동의 내부 깊숙한 곳에서 발생하는 시기이다. 그러므로 놀이의 형태도 주변의 있는 사물에 기초해서 놀이를 시작하는 형태가 아니라, 먼저 어떤 놀이를 할 것인지 전체적으로 정신적인 그림을 그려본 후 놀이를 시작하는 것이다. 3세에서 5세까지의 놀이는 환상세계(fantasy world)에서 진행되었다면, 5세에서 7세까지의 시기에는 마음 속에 존재하는 시각적 허상(visual imaginary)에 더 많이 연결되어 있다.
(2) 발도르프 유아교육의 원리
1) 모방과 본보기(imitation & modeling)
아동은 그 자체가 완전한 감각기관이며 동시에 완전한 의지의 존재이다. 그러므로 7세 이전의 아동이 행하는 모방은 감각을 통한 수용과 의지에 의한 모사라는 이중적 과정을 지니고 있게 된다. 즉 모방은 의지적 행위로 나타나는데 동일한 상황을 경험한다 하더라고 아동이 나타내는 행동의 형태는 전차만별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것이 바로 각 아동의 의지에 의해 나타나는 행동인 것이다. 즉 모방이라는 것 안에는 커다란 의미의 자유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아동의 모방능력은 아동의 내면에 있는 자유의 표현으로서 이는 아동이 자기 주변의 인물들 속에서 비교될 수 있는 것을 인지한 경우에만 개발될 수 있는 능력이다. 그러므로 이 비교될 수 있는 것이란 결국 주어진 상황에서 자신의 삶과 자신의 본질이 일체를 이루는 인간을 의미한다.
2) 놀이
놀이는 단순히 아동이 ‘바쁘게’ 움직이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즉 모방이 자유놀이의 핵심을 이루는데, 아동은 자기 주변에 있는 성인이 행하는 행위를 경험으로 흡수하여 모방의 형태로 나타내게 된다.
놀이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놀이하고 있는 아이는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장면을 다시 놀이에서 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아동 주변에 있는 성인의 역할이 배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아동은 성인의 생활을 보고 배우게 되며, 이 모든 경험이 놀이에 반영되는 것이다.
둘째, 아동은 놀이를 위한 여러 가지 진지한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진정한 의미의 ‘기쁨’을 느끼게 된다. 예를 들어 자신이 갖고 놀고 싶은 놀이감 자동차를 만들어내기 위하여 자신의 경험에 기초한 창의성과 그것을 실제 만들어낼 수 있는 모든 기술을 동원하며, 그것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기다리는 인내가 필요하고 끝까지 만들어내고자 하는 의지가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 놀이가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아동은 이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노력과 인내를 경험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진정한 의미의 ‘기쁨’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셋째, 놀이는 그 놀이를 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생각(idea)과 만들어가지고 놀고 싶다는 욕구(willing)에서 시작된다. 아동은 이렇게 어려운 과정을 자신의 내적 환상 속에서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아동이 놀이에 참여하는 과정은 짧은 순간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소요된다. 이런 과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아동 주변 상황 속에서 무엇인가 형성되어 가는 과정이 보여져야 하며, 이런 과정을 통하여 다른 것으로 전환되고 새로운 것으로 창조되는 것을 함께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아이들이 가지고 놀 놀이감인 인형을 아동 앞에서 매일매일 만들어가는 과정은 아동에게 과정을 함께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3) 질서
아동은 질서로움 속에서 주위 사람과 환경에 대하여 신뢰감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신뢰감에 바탕을 두고 창의로운 재능을 스스로 형성하고 펼칠 수 있게 된다.
① 공간에서의 질서
이것은 환경 구성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데, 모든 물건이 있어야 할 장소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동은 스스로 공간적인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교육적 맥락에서 정리정돈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아동이 공간에 들어오기 전에 교사는 모든 환경을 질서롭게(물건이 있어야 할 장소에 놓여있는 상태로) 정리하여야 한다. 정리되어 있는 공간에서 아동은 더욱 깊이있는 놀이를 시작할 수 있다. 질서로움에 기초한 환경은 아동의 첫 번째 외피라고 할 수 있다.
② 시간에서의 질서(리듬)
시간을 질서있게 운영하는 것이 바로 하루 일과를 구성하는 원리이다. 이것은 인간의 호흡과 마찬가지로 들이쉬고, 내쉬는 것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때 가장 안정되고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루 일과는 인간 외부로부터 자극을 받아들이고 그 감명에 대하여 자신의 감성적 활동에 몰두하는 순간(들숨, inhale)과 자신 내부의 느낌과 감성을 밖으로 표출하는 순간(날숨, exhale)이 조화롭게 함께 존재해야 하는 것이다. 시간에서의 질서는 하루일과 뿐 아니라, 일주일, 한달, 일년을 주기로 규칙성을 지니고 주기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아동은 이런 리듬적인 질서를 통하여 삶의 뿌리를 내기게 되며, 이것이 바로 아동의 두 번째 외피를 구성하게 된다.
③ 영혼적인 질서
아동은 감정적 느낌과 내면적으로 형성하려는 동기의 체험 속에서 인간적인 만남의 안정감과 유아가 스스로 딛고 설 수 있는 세계로의 신뢰감을 형성하게 되는데 어른이 스스로를 넘어서 세계 안의 존재로 생활하고 유아에게 기쁨이나 존경, 경외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고귀한 것에 대하여 열망과 진지함으로 접근하고자 할 때 비로소 아동의 영혼적인 질서로움이 형성될 수 있다(Sassmanshausen, 1997).
(3)교사의 역할
이 세상에 태어난 아동에게 첫 번째 교사는 부모이다. 부모는 아동을 이 세상에서 보호하는 보호막으로 아동이 안정감 속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여 도와주어야 한다. 교사는 부모와 같은 역할을 하되 아동이 사회적 맥락에서 행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아동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모방을 할 수 있는 행동만을 교사가 해서 아동에게 모델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아동에게 진행되는 교육은 설명이나 지시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성인 스스로 아동이 모방하기에 적절한 행동을 하므로서 아동 스스로 모방하여 서서히 발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이다. 아동이 모방하도록 하기 위하여 교사가 가장 치중해야 하는 것은 교사 자신의 일에 스스로 몰입하고 열정으로 최선을 다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 교사는 아동이 존재하는 공간적 질서와 시간적 질서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아동 발달이 이루어지는 매체인 놀이가 의미롭고 적절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놀이를 유도하는 역할이다. 이를 위하여 교사는 아동이 가지고 노는 놀이감을 만들고 아동의 식사를 준비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4. 발도르프 유아교육 현장
(1) 아동 집단 구성
발도르프 유치원에서 아동집단은 남아, 여아를 합하여 대략 20여명 내외로 구성된다. 이 때 3세부터 7세까지의 혼합연령 집단이 구성되는데, 아동은 혼합연령 집단 속에서 어린 아동은 나이 많은 형, 누나의 행동을 모방하고 나이 많은 아동은 동생들을 보살피고 도와주면서 가족적 맥락에서의 모방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한다. 교사는 매년 반이 바뀌는 것이 아니라 그 반을 계속 맡아서 아동이 성인과 안정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2) 일과 구성
일과구성의 주요 원리는 두 가지 주요 ‘호흡기’에 기초하여 구성한다. 즉 자신의 내적 욕구에 따라 놀이할 수 있는 ‘날숨’의 형태와 외부의 규칙이나 자극을 받아들이는 ‘들숨’의 형태가 조화롭게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하루 일과를 중심으로 한 그 예는 (표 2)와 같다.
그러나 아동에게 제공되는 시간은 하루 일과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주일이나 한달, 일년을 중심으로도 리듬을 갖고 진행되어야 한다. 일년의 주기는 부활절, 추수감사절, 크리스마스와 같이 주로 축제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3) 환경 구성
환경은 아동에게 하나의 보호막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환경을 구성할 때, 아동에게 적합한 색채, 소음 정도, 놀이감의 종류, 인적 환경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현대 아동은 혼란하고 복잡한 세계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유치원은 다양한 자극을 제공하기보다는 편안하고 안락하게 휴식할 수 있는 분위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아기 아동은 현실세계에 대한 정보나 자극보다는 환상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실내 벽면은 무늬나 도안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며, 밝은 파스텔 톤의 분홍빛 색상을 사용한다. 그리고 천장은 벽면보다 옅은 색상으로 처리하고 가구는 나무색으로 처리된 가구가 바람직하다. 또 실내에 제공되는 놀이감 중 조작놀이감은 나무토막, 솔방울, 도토리, 돌멩이, 조개껍질과 같은 천연소재를 제공하고, 상상놀이감은 교사가 천연직물과 천연솜으로 만든 인형과 손뜨개질 하여 만든 인형을 중심으로 제공한다.
실외환경은 자연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과 나무와 잔디가 있는 공간이면 더할 나위없이 좋다. 우선 다양한 바닥 재질을 경험할 수 있도록 모래밭, 조그만 동산, 풀밭, 돌블록 산책길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아동 스스로 자연의 신비로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텃밭가꾸기를 하는 것이 좋다.
시 간 |
일 과 내 용 |
7:30 |
등원시작(8:30까지 전원 등원 완료) (교사는 7:10까지 출근) |
7:30~ 9:15 |
자유놀이(주로 실내), 간식 준비 |
9:15~10:30 |
정리시간 화장실 가서 손씻기(식탁차리기) 리듬놀이를 중심으로 한 아침 circle time 아침식사 |
10:30~11:30 |
자유놀이(주로 실외) 날씨가 좋은 경우 : 모래놀이, 줄넘기, 손수레, 갈퀴 날씨가 좋지 않은 경우 : 따라뛰기, 잡기, 산책 |
11:30~12:00 |
실외놀이 정리시간 신발을 실내화로 갈아 신기 손씻기 동화듣기(오전의 마무리) |
12:00~12:30 |
귀가하기 |
(표 2) 발도르프 유치원 하루 일과의 예
5. 제언
발도르프 교육에서 유치원 교육과정을 살펴보면서 ‘우리나라에 발도르프 교육이 정착된다면 어떤 모습일까’하는 것을 생각해본다. 발도르프 교육은 완전히 형성된 하나의 ‘교육과정’이 아니라 인간을 교육하는 ‘원리’이기 때문에, 그 ‘교육 원리’를 각 나라의 문화적 맥락에 맞추어 가장 적합한 형태를 재창출하여야 한다는 기본 전제가 있다.
위의 내용을 설명하면서 많은 부분 참고로 하였던 독일과 미국의 발도르프 교육의 모습이 그대로 우리나라에서 재현된다면 우리나라 아동에게 적합한 살아 움직이고 생명력있는 교육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아동에게 일년을 주기로 리듬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부활절이나 크리스마스를 축제로 기념하는 것은 기독교 문화가 바탕에 깔려있는 독일이나 미국의 고유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발도르프 교육에서 추구하고 있는 ‘인간 교육 원리’는 도입하되, 그 원리에 기초하여 진행할 교육 내용은 우리나라의 문화적 맥락에 맞게 재구성해야하는 과제를 갖게 된다. 이런 교육과정 재구성의 작업은 쉽게 이루어지지도 않고 단기간에 이루어질 내용도 아니다.
우리는 현재의 우리 교육을 바로 세우기 위하여 발도르프 교육에서 지향하는 인간에 대한 경외감과 존중은 곧바로 받아들이되 구체적인 교육을 진행하기 위하여 진지한 우리의 것에 대한 연구가 함께 진행되어야 비로소 바른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곽노의 (1999). 21세기 유아교육 모델로서 자유 발도르프 유아교육. 밝은 누리 : 서울.
이정희 역(1997). 슈타이너 전기. 한길사 : 서울.
정윤경(1998). 슈타이너 인지학적 교육론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Fraenkl-Lundborg, O. (2000). 인지학이란 무엇인가. 행동하는 정신, 제 2 권,
pp.2~13. 한국 루돌프 슈타이너 인지학 연구센터 : 서울.
Grunelius, E. M. (1996).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the Waldorf
School Plan. Waldorf Curriculum Series. Rudolf Steiner College
Press : Fair Oak.
Jaffke, F. (1987). Toymaking with Children. Floris Books. Edinburgh:
Great British.
Jaffke, F. (1991). 윤선영 역. 발도르프 킨더가르텐에서의 놀이와 작업. 창지사:
서울.
O'Neil, G. & O'neil, G. (1990). The Human Life. Edited by Lowndes
F.. Mercury Press. Spring Valley : N. Y.
Sassmanshausen, W. (1997). 발도르프 유치원의 열린 그리고 자유로운 교육
방안. 21세기 열린유아교육. 열린유아교육학회 97년도 국제 학술대회.
Steiner, R. (1972). Education Towards Freedom. East Grinstead:
England.
Wilkinson, R. (1996). The Spiritual Basis of Steiner Education. Sophia
Books. London : Eng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