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 관리하기 프로토콜
1.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2. 대상자의 이름, 등록번호 등을 개방형으로 질문한 다음,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처방지 또는 컴퓨터 출력물)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3. 환의, 필요한 물품 및 기구를 준비하여 입원실로 안내한 후 환의를 갈아입도록 안내하고 입원팔찌를 끼운다.
4. 환의를 입은 후 간호사실에서 키와 체중을 측정하고 측정치를 대상자에게 알린다.
→ 입원 당시의 키와 체중을 측정하기 위함.
5. 대상자를 입원실로 안내한 후 담당의사에게 대상자의 입원 사실을 알린다.
6. 환자 이름표를 병실 앞과 침대에 붙인다.
7.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8.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9. 입원간호정보조사지의 각 항목을 대상자에게 질문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록한다.
10. 현재 통증이 있는지 질문하고 통증점수를 측정한다.
→ 통증강도 측정도구로는 숫자척도(numeric rating scale, NRS)가 가장 흔히 사용된다.
11. 욕창위험도를 사정한다.
12. 낙상위험도를 사정한다.
13. 낙상위험도에 따라 낙상 예방간호를 실시한다.
# 낙상 고위험군에 대한 낙상예방 간호
- 침대난간(side rail) 올림
- 침대바퀴 고정 등 환자교육(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 예방활동 교육자료 제공/교육, 24시간 보호자 옆에 있도록 교육, 인수인계시 낙상위험군의 정보 공유, 낙상 예방 스티커 부착, 시설환경 점검, 바닥에 액체가 떨어지면 즉시 닦음, 잠자기 전에 화장실에 다녀오도록 함)
14. 입원생활 안내문(입원 준비물, 식사시간, 탕비실 위치, 면회시간, 병실 내 전화사용, 간호사실 위치 및 전화번호, 간호사 호출 벨 사용법, 전기스위치 위치 및 작동법, 샤워실 이용, 금연, 화재시 대피요령, 진단서 및 진료기록 사본 발급, 환자권리와 책임, 주차안내, 학대와 폭력 피해자를 위한 신고기관, 국제의료센터, 장애인 서비스 기관, 외래 진료예약 안내, 고충상담안내, 편의시설 이용안내, 귀중품 관리, 도난주의, 각종 상담, 예배 또는 미사안내 등)을 가지고 설명한 후 안내문을 준다.
15. 복용중인 약물이 있는지 확인한다.
16. 준비해야 할 물품을 설명한다(물컵, 세면도구 등)
17. 입원 및 앞으로의 치료(수술)에 대해 불안해하는지 확인하고 불안완화 간호를 실시한다.
18.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19. 물과 비누로 손을 씻는다.
20. 수행 결과를 대상자의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사정 내용(간호정보 조사지 내용, 통증, 욕창, 낙상위험도)
2) 수행 내용
3) 교육 내용
입원 시 수집해야 하는 자료와 입원관리 절차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입원 관리 시 필요한 서류 서식과 물품을 준비할 수 있다.
- 입원 관리(대상자의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입원 생활 관련 주의사항, 통증, 욕창위험도, 낙상위험도 사정 등)를 수행할 수 있다.
- 입원 관리 수행 후 기록할 수 있다.
필요장비 및 물품
신장 및 체중 측정계
간호정보조사지
낙상위험도, 욕창위험도 및 통증 측정도구
청진기
혈압계
체온계
환자 이름표(침대, 병실 앞, 팔찌)
입원생활안내서
손소독제
전화기
의치보관용기(필요시)
관련 선행지식
1. 통증평가척도(numeric rating scale, NRS)
대표적인 통증평가척도는 NRS가 쓰이며, 0~1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이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얼굴 표정으로 그려진 통증평가척도는 의사소통이 어려운 아동의 통증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로 사용된다.
2. 욕창위험도 평가척도(Braden scale)
대상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시간이 길수록 욕창의 위험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그래서 입원 초기에 욕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지 확인할 수 있는 척도를 이용해 욕창 발생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braden scale을 많이 사용
3. 낙상위험도 평가척도(morse fall scale, MFS)
대부분의 병원은 입원을 하게되면 침대생활을 하게된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에게 낙상 사고가 일어날 위험이 높아진다. 대표적인 평가척도로는 MFS가 있으며, 병원마다 낙상위험을 평가하는 척도는 다르다.
퇴원 준비하기 프로토콜
1. 퇴원과 관련된 의사처방을 확인한다.
2. 퇴원과 관련된 세부사항을 대상자와 함께 확인한다.
3. 퇴원계에 전산입력하고 미비된 검사시행 유무를 파악하여 정리하며 퇴원을 알린다.
4. 대상자가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여 퇴원지침 양식을 작성한다.
5. 투약, 식이, 목욕, 활동제한(들어올리기 금지, 운전 금지 등), 상처간호, 특수기구 사용, 추후 방문에 대해 교육하고 대상자의 질문에 대답한다.
6. 합병증이 발생했을 때 발생 여부를 아는 방법과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 가정간호 및 지역사회 등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정보를 주기 위함.
7. 대상자가 보관해둔 귀중품 및 퇴원약 등을 챙겨준다.
8. 병동을 떠나는 시간과 수송방법 등 병원규정의 범위 내에서 대상자와 상의하여 결정한다.
9. 대상자 퇴원시간과 방법, 목적지, 대상자와 동반하는 사람, 물품, 처방을 기록한다.
10. 필요시 검사 및 외래예약을 한다.
11. 대상자의 퇴원을 퇴원계에 알린다.
12. 대상자와 관련된 주요정보를 기록하며 의무기록과에 모든 정보를 보관한다.
→ 비밀 유지 및 기록 유지.
참고 자료
기본간호학Ⅱ 2019 수문사 송경애 외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2019 수문사 송경애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