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프레드 노벨
|
알프레드 베르나르드 노벨은 1833년 10월 21일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이마누엘 노벨과 카롤리나
노벨의 넷째아들로 태어났다. 이마누엘은 발명가이자 공학자로, 1827년 카롤리나 안드리에타 알셀과
결혼했다. 원래 이들 부부는 8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알프레드와 3명의 남동생을 제외하고는 모두
어렸을 때 죽었다. 어린 시절의 알프레드는 병약한 편이었으나, 어머니와의 사이는 상당히 친밀했다.
뿐만 아니라 어린 시절부터 왕성한 지적 호기심을 보였으며 특히 폭탄에 관심이 많아 아버지로부터
공학의 기초를 배웠다. 한편 아버지 이마누엘은 그동안 벌여왔던 사업에 실패하자 1837년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게 된다. 거기서 이마누엘이 광산 발파용 폭탄과 공작기계를 제작해 성공을
거두자, 1842년 노벨 가족은 스톡홀름을 떠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아버지와 합류한다.
러시아에서 재기한 알프레드의 부모는 아들에게 개인 가정교사를 붙여줄 정도로 경제적인 여유를
회복하게 된다. 이에 힘입어 알프레드는 이미 16세에 유능한 화학자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스웨덴어는
물론 영어·프랑스어·독일어·러시아어에도 능통하게 된다.
알프레드 노벨은 1850년 러시아를 떠나 파리에서 1년간 화학을 공부한 후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장갑함 모니터호(號)를 만든 존 에릭슨 밑에 들어가 4년간 일한다. 그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온
알프레드는 크림 전쟁기에 군수품을 만들어 납품하던 아버지의 공장에서 일하게 된다. 1856년 전쟁이
끝나자, 회사는 증기선 부품 제작에 손을 댔으나 경영난에 시달리다 1859년 파산하기에 이른다.
알프레드는 부모와 함께 스웨덴으로 돌아왔으나, 남동생 로베르트 루드비그는 가족의 사업을 정리하기
위해 러시아에 남았다. 스웨덴으로 돌아온 직후 알프레드는 아버지 소유의 토지에 마련한 조그만
실험실에서 폭탄 제조 실험에 착수한다. 당시 광산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폭탄은 화약의
일종인 흑색화약이 유일한 제품이었다. 그 무렵 발견된 액체 폭탄인 니트로글리세린은 폭발성은
뛰어났지만, 휘발성이 강해 안전에 문제가 있었다. 그럼에도 노벨은 1862년 니트로글리세린을
제조하기 위해 공장을 세우는 한편, 니트로글리세린의 약점인 이상폭발을 제어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연구를 시작한다. 그 결과 1863년 노벨은 금속용기에 니트로글리세린을 채운 다음 목제 점화 플러그를
끼워넣는 방식을 사용해 실용적인 뇌관을 만드는 데 성공한다. 간단히 말해, 점화장치에 설치한 소량의
흑색화약을 폭발시켜 액체 니트로글리세린의 폭발을 유도하는 방식이었다. 이 뇌관의 발명으로 노벨은
폭탄 제조자로서 부를 쌓아나가는 한편 발명가로서의 명성을 얻기 시작한다. 1865년 노벨은 여기서
일보 전진해 '폭발성 캡슐'(blasting cap)이라는 뇌관을 발명한다. 폭발성 캡슐은 충격이나 적당한 열을
가하면 폭발하는 뇌산수은을 소형 금속용기에 채워넣어 만든 뇌관으로, 이의 발명과 함께 고성능 폭탄
시대가 열렸다.
그러나 니트로글리세린의 운반과 취급은 여전히 난제로 남아 있었다. 그만큼 니트로글리세린은 위험한
물질이었다. 1864년 노벨의 니트로글리세린 공장에서 일어난 폭발사고는 막내동생 에밀을 포함해 여러
명의 인명을 앗아갔다. 그러나 노벨은 이에 굴하지 않고 여러 기(機)의 니트로글리세린 제조 공장을
건립한다. 이들 공장은 그 당시로서는 안전수칙을 엄격하게 지켰으나, 우발적인 사고가 심심찮게
발생하곤 했다. 노벨의 생애에서 2번째 중요한 발명은 1867년 다이너마이트의 발명이었다. 노벨은
니트로글리세린을 투과성이 높은 규산이 함유된 규조토에 스며들게 해 말리면 사용과 취급이 훨씬
용이하고 편리하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하고는 이 새 제품에 다이너마이트('힘'을 뜻하는 그리스어
디나미스에서 따온 말)라는 이름을 붙여 영국(1867)과 미국(1868)에서 특허를 받았다. 다이너마이트는
노벨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가져다 주었을 뿐만 아니라 굴착공사, 수로발파, 철도 및 도로 건설에도
곧바로 사용되었다.
|
알프레드 노벨, portrait by Emil
Österman, 1915; 스톡홀름의 노벨
재단에서
Ann Ronan Picture Library/Image
Select
|
1870, 1880년대에 노벨은 유럽 전역에 다이너마이트 제조공장을 세우는 한편, 자기가 만든 폭탄을
생산·판매하기 위한 기업망을 구축한다. 이밖에도 노벨은 더 나은 폭탄을 개발하기 위한 실험을
계속해 1875년에는 훨씬 더 강력한 형태의 다이너마이트인 폭발성 젤라틴을 발명해 그 다음해 특허를
받는다. 이번에도 우연하게 이루어진 일로, 니트로글리세린 용액과 니트로셀룰로오스로 알려진 물질을
섞다 일반 다이너마이트보다 물 저항성과 폭발력이 뛰어난 물질을 발견했던 것이다. 그후 1887년
노벨은 최초의 니트로글리세린 무연화약이자 코르다이트 폭약의 전신인 발리스타이트를 개발한다.
노벨은 다이너마이트와 기타 폭약에 대한 특허권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의 제조법을 도용한
경쟁자들과 다투다 특허권 소송을 벌이기도 했다.
한편 노벨의 남동생 루드비그와 로베르트는 카스피 해 주변의 바쿠(옛날에는 러시아령이었으나 지금은
아제르바이잔령임) 근처에서 새로 발견된 유전을 개발해 갑부가 된다. 러시아에 있는 남동생들 회사에
대한 자기 몫의 지분과 전세계에서 거두어들이는 폭탄판매 수입액은 노벨에게 막대한 부를 안겨준다.
그후 1893년 노벨은 스웨덴의 군수산업에 뛰어들어 그 다음해인 1894년에는 베름란드 근처에 있는
보포르스의 제철공장을 사들인다. 뿐만 아니라 폭탄 외에도 인조 비단이나 가죽과 같은 물건들을
발명해 전세계적으로 총 350개 이상의 특허권을 따냈다.
노벨의 복잡한 성격은 주변 사람들을 당황하게 만들었다. 사업 때문에 거의 1년 365일을 여행을 하면서
보내야 했지만, 노벨은 가끔씩 우울증에 시달리는 고독한 은둔자였다. 말년에는 은퇴해서 검약한
생활을 꾸려나갔지만, 저녁식사에 사람들을 초대하곤 했다. 그는 남의 말을 들어주는 능력이 뛰어났을
뿐만 아니라 기지가 번득이는 사람이기도 했다. 연애보다는 발명을 더 좋아해 평생을 독신으로
지냈으며 문학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 희곡과 소설, 시를 썼으나 출간은 하지 않았다. 그는 에너지가
넘쳐났던 사람으로 한동안 집중해서 일하고 나서도 여간해서는 쉬려 들지 않았다. 동시대인들
사이에서는 자유주의자, 심지어는 사회주의자로 알려져 있었으나, 실상 그는 민주주의를 불신했을
뿐만 아니라 여성의 참정권을 반대했으며 부하직원들에게도 너그럽긴 했지만 가부장적 태도를
견지했다. 노벨은 근본적으로 평화주의자에다 자신이 발명한 폭탄들이 전쟁을 종식시키는 데
기여하기를 바랐으나, 인류와 국가들에 대한 견해는 비관적이었다. 노벨은 1895년까지 협심증으로
고생하다 그 다음해인 1896년 12월 10일 이탈리아 산레모에 있는 별장에서 뇌출혈로 사망했다. 사망
당시, 가히 제국이라 할 만한 세계적 규모의 그의 사업체 수는 폭탄 제조공장과 탄약 제조공장을 합해
90여 기를 넘을 정도였다. 그가 1895년 11월 27일 파리에서 작성해 스톡홀름의 한 은행에
보관해두었던 유언장이 공개되자, 가족과 친지는 물론 일반인들까지 깜짝 놀랐다. 노벨은 인도주의와
과학의 정신을 표방하는 자선사업에 늘 아낌없는 지원을 했으며, 재산의 대부분을 기금으로 남겨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있는 상으로 인정받고 있는 노벨상을 제정했다(노벨의 유언장 참조).
우리는 노벨이 자신의 이름을 딴 상을 제정한 이유를 그저 추측할 따름이다. 노벨은 워낙 입이 무거웠던
편이라, 죽기 몇 달 전에도 자신의 결정을 아무한테도 알리지 않았다. 이 점과 관련해서는 1888년에
발생한 기괴한 사건이 그로 하여금 노벨상을 제정하게 한 계기로 작용한 게 아니었을까 하는 추측이
가장 그럴듯하다. 기괴한 사건이란 알프레드의 남동생 루드비그가 그 해 프랑스 칸느에 머물다 사망한
사건을 말한다. 당시 프랑스 신문들은 루드비그의 사망을 보도했지만, 그와 알프레드를 혼동한 어느
신문에서는 '죽음의 상인, 사망하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이와 관련해 사람들은 노벨이 이
때이른 사망기사를 통해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사후의 오명을 피하기 위해 상을 제정했을 거라는
추측을 하고 있다. 어쨌거나 분명한 사실은 알프레드 노벨이 설립한 상이 물리학, 화학, 생리학, 문학
분야에 대한 평생에 걸친 그의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평화상 설립과 관련해서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걸출한 평화주의자인 베르타 폰 주트너와의 교분이 강력한 동기로 작용했다는 설이 우세하다.
그러나 노벨은 역설과 모순으로 가득찬 인물로 남아 있다. 비상하면서도 고독하고,
비관주의자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이상주의자였던 그는 현대전에 사용된 강력한 폭탄을 발명했을 뿐만
아니라, 인류에 이바지한 지적인 업적에 수여하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상을 제정하기도 했다.
참고도서 목록
노벨의 개인적인 인간관계에 초점을 맞춘 마이클 이블라노프와 마저리 플루어의 노벨 전기 <알프레드
노벨 : 고독한 백만장자 Alfred Nobel : The Loneliest Millionaire>(1969), 그가 남긴 편지들과 그가
직접 쓴 희곡 <네메시스 Nemesis>를 통해 노벨을 묘사한 <알프레드 노벨 Alfred Nobel>(1993,
원래는 1991년 스웨덴어로 발행됨).
|
첫댓글 김대중대통령 노벨상수상 업적에 관련된 자료라 생각되어 게시판에 올리긴 했지만 카페 회원님들과 후광카페를 찾는 손님들께 노벨상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조금이 아니라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뚱이님 필명으로 자료실에 꼭 보관해 놓겠습니다...꾸~벅
귀한 자료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