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was June 1824. Sunjo was king of the Joseon Dynasty. A vicious tiger came into the house of Kim Gwang-jae, a military official at a government office in Anbyeon, Hamgyeong Province. When the tiger caught Kim Gwang-jae in its teeth and tried to drag him out, Kim’s wife, Cho, who was over 60 years old, held onto her husband and would not let go. She said, “Take me instead of my husband,” and threw herself in front of the tiger. The tiger took her instead.
The governor of Hamgyeong notified the royal court, and the Office of Protocol built the Gate of the Virtuous Woman dedicated to Cho.
Even worse damage was caused by tigers when Yeongjo was king of Jose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show that around 140 people lost their lives to tigers in the summer and fall in 1734, the 10th year of Yeongjo. In spring of the next year, around 40 people were killed by tigers in Yeongdong, Gangwon Province. In 1752, the 28th year of Yeongjo, a tiger not only entered the capital city of Seoul, but even got into the backyard of Gyeongbok Palace.
The fearsome Korean tigers disappeared during Japanese rule, when people hunted them extensively. The tiger killed in Mount Daedeok, North Gyeongsang Province, in 1922 was the last tiger in South Korea. Apparently there are still tigers in the northern alpine regions of North Korea, but even there, there may be fewer than 10.
Tigers are an internationally endangered species. Of the eight subspecies of tigers, Caspian tigers, Bali tigers and Javan tigers went extinct in the 20th century. No South China tigers have been spotted, either, since 1983. Only around 1,500 Bengal tigers and Indochina tigers and 400 to 500 Sumatra tigers remain.
They say around 500 Korean tigers, known as Siberian tigers, remain in the Russian wilderness, and around 400 are in Russian zoos. There are around 900 tigers in Chinese zoos, but only 20 in the wild.
At the Joint Committee on Environmental Cooperation meeting between Korea and Russia at the end of last mont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quested that Russia send us three Korean tigers. There are more than 20 Korean tigers in Korean zoos, including the Seoul Zoo in Gwacheon, and all have been imported from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bred, but most are cousins or second cousins. Tigers with genetic diseases like cataracts or bad vision are becoming frequent after repeated inbreeding.
Professor Hwang Woo-suk once attempted to clone Korean tigers, but failed. Even if he had succeeded, they would not have been more than “living stuffed specimens” with the same genes. Reconnecting tigers to their genetic community is a top priority to maintain the health of Korean tigers. If this is difficult, we should focus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exchange genes.
The writer is a reporter specializing in environmental issues.
By Kang Chan-soo
|
|
|
|
[분수대] 한국호랑이
조선 순조 24년(1824년) 6월이었다. 함경도 안변 관아에서 군관으로 일하는 김광재의 집에 사나운 호랑이가 들어왔다. 호랑이가 김광재를 물고 나가려 하자 예순이 넘은 그의 아내 조(趙)씨가 남편의 몸을 붙잡고는 놓지 않았다. 아내는 ‘남편 대신 나를 물고 가라’며 스스로 호랑이 주둥이 앞에 몸을 던졌다. 호랑이는 남편 대신 아내를 물고 가버렸다. 함경감사가 이 같은 사실을 조정에 알렸고 예조에서는 조씨를 위해 열녀문을 세웠다.
영조 때는 호랑이 피해가 더 심했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영조 10년(1734년) 여름·가을 호랑이로 인해 140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듬해 봄에도 강원 영동지방에서 40여 명이 호랑이에게 물려 죽었다. 영조 28년(1752년)에는 호랑이가 서울 도성 안은 물론 경복궁 뒤뜰에까지 들어왔다.
공포의 대상이었던 한국호랑이도 일제 강점기 때 대대적인 사냥이 벌어지면서 사라졌다. 1922년 경북 대덕산에서 사살된 것이 남한의 마지막 호랑이였다. 북한에서는 북부 고산지대에 남아있다고 하지만 10마리가 채 안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호랑이는 세계적으로도 위기에 처해 있다. 호랑이의 8개 아종(亞種) 중 카스피호랑이·발리호랑이·자바호랑이는 20세기에 멸종됐다. 남중국호랑이도 83년 이후 관찰되지 않고 있다. 인도호랑이(벵골호랑이)와 인도차이나호랑이가 약 1500마리씩, 수마트라호랑이가 400~500마리 정도 남아 있을 뿐이다.
시베리아호랑이(아무르호랑이)라고 불리는 한국호랑이는 러시아의 야생에서 약 500마리, 동물원에서 400여 마리가 남아 있다고 한다. 중국의 동물원에는 900여 마리가 있지만 야생에는 20마리 정도에 불과하다.
환경부는 지난달 말 한·러 환경협력회의 때 러시아에 한국호랑이 세 마리를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과천 서울동물원을 비롯해 국내 동물원에도 미국·중국 등에서 들여와서 번식한 한국호랑이가 20마리 이상 있지만 대부분 사촌, 육촌 관계다. 근친교배가 거듭되면서 백내장·시력저하 같은 유전병을 가진 호랑이도 흔하다.
한때 황우석 교수가 한국호랑이 복제를 시도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성공했다 해도 호랑이들이 똑같은 유전자만 갖고 있다면 ‘살아있는 박제’에 불과하다. 건강한 한국호랑이를 유지하려면 끊어진 생태계를 잇는 게 먼저다. 그게 힘들면 유전자를 교환할 수 있는 국제협력에 관심을 쏟아야 한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